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3일 (토)
(음 4월 6일, 壬申)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통도사(通度寺)
•
가사(歌辭)
•
중용(中庸)
•
베르길리우스
•
열하일기(熱河日記)
•
대한민국 대통령
•
안후이성(安徽省)
•
숙향전(淑香傳)
•
대운하(大運河)
•
이상(李箱)
•
서정주(徐廷柱)
•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
최은희(崔恩喜)
•
두보(杜甫)
•
반고(班固)
•
계몽편(啓蒙篇)
•
종로구(鍾路區)
•
무진기행(霧津紀行)
•
나수연(羅壽淵)
•
임진왜란(壬辰倭亂)
▣
동동 (動動)
바로가기
지은이와 지은 연대를 알 수 없는 고려 가요 .
작품
:
작품 > 한국문학 > 가요
지은이와 지은 연대를 알 수 없는
고려가요
.
고려 시대부터 입으로만 전해 내려오다가 조선 시대에 와서 그 가사가 《
악학궤범
》에 한글로 실리게 되었다. 모두 13장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초장은 서사(序詞)이고 나머지 12장은 정월부터 12월까지 계절에 따라 노래한 형식이다.
내용은 계절이 바뀜에 따라 새로워지는, 임을 여읜 한 여인이 임을 그리워하는 정을 노래하고 있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동동
(動動)
고려 가요
(高麗歌謠)
경기체가
(景幾體歌)
고전 문학
(古典文學)
한국 문학
(韓國文學)
향가
(鄕歌)
1493
악학궤범
(樂學軌範)
가시리
사모곡
(思母曲)
상저가
(相杵歌)
시용향악보
악장가사
(樂章歌詞)
여민락
(與民樂)
정석가
(鄭石歌)
청산별곡
(靑山別曲)
정동방곡
(靖東方曲)
처용가
(處容歌)
1393
납씨가
(納氏歌)
1393
문덕곡
(文德曲)
정읍사
(井邑詞)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동동
動動
고려가요
미상
(516)
◈ 최근등록순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
고려가요
2019.06.08
◈
동동(動動)
【학습】
지은이와 지은 연대를 알 수 없는 고려 가요 .
53 (+5)
|
고려 가요
,
동동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