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그외 관심 원문 :   
【오늘】 2025년 7월 3일 (목) (음 6월 9일, 癸酉) 집계기준 : 2025년 6월 30일
1년 열두 달 동안 농가에서 할일을 읊은 조선 시대의 가사.
◈ 지식지도 관계
농가월령가 (農家月令歌) 고전 문학 (古典文學) 가사 (歌辭) 월령체 (月令體) 가사 문학 (歌辭文學) 개화 가사 내방 가사 (內房歌辭) 동학 가사 시조 (時調) 유배 가사 (流配歌辭) 기행가사 남양주시 (南楊州市) 1573 고상안 (高尙顔) 1786 정학유 (丁學游) 1320 나옹 (懶翁) 1401 정극인 (丁克仁) 1536 정철 (鄭澈) 1561 박인로 (朴仁老) 1762 정약용 (丁若鏞) 1788 황상 (黃裳) 누항사 (陋巷詞) 동동 (動動) 상춘곡 (賞春曲) 서왕가 (西往歌) 봉선화가 (鳳仙花歌) 관등가 (觀燈歌) 1580 관동별곡 (關東別曲) 1588 사미인곡 (思美人曲) 1783 정학연 (丁學淵)
1849년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최근등록순
2019.07.17
【학습】 조선 헌종 때 정학유(丁學游)가 지은 가사. 1책. 필사본. 월령체(月令體) 장편가사이다. 작자가 고상안(高尙顔)이라는 설도 있었으나, 정학유로 고증되었다. 필사 이본으로는 권경호본(權卿鎬本, 1876)·이탁본(李鐸本)·정규영본(丁奎英本, 1925)·안춘근본(安春根本)·이능우본(李能雨本) 등이 전하고 있다.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