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2일 (금)
(음 4월 5일, 辛未)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통도사(通度寺)
•
열하일기(熱河日記)
•
가사(歌辭)
•
대한민국 대통령
•
숙향전(淑香傳)
•
대운하(大運河)
•
중용(中庸)
•
베르길리우스
•
무정(無情)
•
종로구(鍾路區)
•
경천사 10층 석탑
•
1516년
•
안후이성(安徽省)
•
이승만(李承晩)
•
혜경궁 홍씨
•
아프로디테(Aphrodite)
•
초당문답가(草堂問答歌)
•
반고(班固)
•
메밀꽃 필 무렵
•
김동리(金東里)
▣
나석주 (羅錫疇)
바로가기
[1889 ~ 1926] 독립 운동가. 황해도 재령에서 태어났다.
인물
:
인물 > 한국
[1889 ~ 1926] 독립 운동가. 황해도 재령에서 태어났다.
23세때 만주로 망명하여 4년간
신흥 무관 학교
에서 군사 훈련을 받고 귀국하여 항일 공작원으로 활동하였다. 3·1 운동 후에는 군자금을 모아 상하이 임시 정부에 보내고, 동지들을 모아 일본 관헌을 죽인 뒤 중국으로 망명하였다.
그 뒤 김구가 이끄는
의열단
에 들어가, 우리 나라를 착취하기 위해 일본인이 만든 동양 척식 주식 회사와 식산 은행을 파괴할 임무를 띠고 1925년에 몰래 귀국하였다.
이듬해 식산 은행에 폭탄을 던지고, 일본인들을 쏘아 죽인 뒤 총격전 끝에 자결하였다.
1962년에 대한 민국 건국 공로 훈장 복장을 받았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나석주
(羅錫疇)
1889
한국의 독립운동
1923
조선혁명선언
1868
이시영
(李始榮)
1875
김달하
(金達河)
1883
김시현
(金始顯)
1885
황옥
(黃鈺)
1888
지청천
(池靑天)
1889
김원봉
(金元鳳)
이성우
(李成宇)
1890
김상옥
(金相玉)
1893
서상락
(徐相洛)
1894
최수봉
(崔壽鳳)
1894
한봉근
(韓鳳根)
1895
김익상
(金益相)
1895
박재혁
(朴載赫)
1896
이종암
(李鍾岩)
1900
이범석
(李範奭)
1919
의열단
(義烈團)
1920
신흥 무관 학교
1908
동양척식주식회사
1920
서로 군정서
동양 척식 주식 회사 폭탄 투척 의거
1920
밀양경찰서폭탄투척의거
1923
황옥 경부 폭탄사건
1923
종로경찰서투탄의거
•
명신학교(明信學校)
•
1926년
•
길림 대검거 사건
•
김창근(金昌根)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나석주 (김영철) - 나의 독립영웅 (85)
[역사 > 한국역사] (0)
의열단의 목숨을 건 항일투쟁 - 영상한국사 (160)
[역사 > 한국역사] (0)
여성독립운동가들 3. 남성독립투사들의 든든한 동반자이자 조력자 - 역덕이슈 오늘 (54)
[역사 > 한국역사] (0)
김창숙, 마지막 진정한 선비 - 역덕이슈 오늘 (38)
[역사 > 한국역사] (0)
의열단, 우리의 힘과 피로 싸운다 - 역덕이슈 오늘 (28)
[역사 > 한국역사] (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