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7월 27일 (일)
(음 윤6월 3일, 丁酉)
집계기준 : 2025년 6월 30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박인환(朴寅煥)
•
정약용(丁若鏞)
•
이상(李箱)
•
정철(鄭澈)
•
파주시(坡州市)
•
중용장구(中庸章句)
•
1510년
•
진서(晉書)
•
날개(-)
•
무정(無情)
•
도산 서원(陶山書院)
•
도화원기(桃花源記)
•
사분율(四分律)
•
기원전 523년
•
에코(Echo)
•
현은(玄檃)
•
서왕가(西往歌)
•
김영한(金英韓)
•
자경별곡(自警別曲)
•
팔왕의 난(八王--亂)
▣
김치 (-)
바로가기
우리 나라 특유의 채소 가공 식품의 한 가지. 배추, 무, 오이 등을 소금에 절여서 고춧가루, 마늘, 파, 생강, 젓갈 등의 양념을 버무려 담가 놓고 먹는 우리 나라 고유의 반찬이다.
백과사전 내용을 확인합니다
[내용보기]
지식
:
산업 > 식품.영양
우리 나라 특유의 채소 가공 식품의 한 가지. 배추, 무, 오이 등을 소금에 절여서 고춧가루, 마늘, 파, 생강, 젓갈 등의 양념을 버무려 담가 놓고 먹는 우리 나라 고유의 반찬이다.
김치를 담그는 것은 채소를 오랫동안 저장하는 방법도 된다. 김치가 익는 것은 소금물의 농도와 저장 온도의 영향이 크다. 김치는 지방, 풍습, 기호, 계절에 따라 재료와 담그는 방법 및 시기가 다르다.
김치는 크게 보통 김치와 김장 김치로 나눌 수 있다.
보통 김치는 오래 저장하지 않고 손쉽게 담가 먹는 것으로
나박김치
,
열무김치
,
오이소박이김치
등이 있다.
김장 김치는 담가 두고 겨우내 먹는 김치인데,
통배추김치
,
보쌈김치
,
동치미
등이 있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김치
(-)
나박김치
돌나물김치
동치미
물김치
발효 식품
(醱酵食品)
보쌈 김치
(褓----)
비늘김치
총각김치
(總角----)
한국 요리
(韓國料理)
간장
(--醬)
결명자차
(決明子茶)
고추장
(----醬)
구이
국
국수
녹차
(綠茶)
다식
(茶食)
된장
(--醬)
떡
떡국
막걸리
만두
(饅頭)
미음
(米飮)
밥
버터
(butter)
빵
생강차
(生薑茶)
생채
(生菜)
숙채
(熟菜)
술
(酒)
식초
(食醋)
식품
(食品)
약주
(藥酒)
요구르트
(yogurt)
유밀과
(油蜜果)
유자차
(柚子茶)
장김치
장아찌
적
(炙)
전
(煎)
전골
젓갈
죽
(粥)
찌개
찜
치즈
(cheese)
편육
(片肉)
자반
소주
(燒酒)
청주
(淸酒)
1809
규합총서
(閨閤叢書)
1670
음식디미방
(미정의)
열무김치
(미정의)
오이소박이김치
(미정의)
통배추김치
•
김장(-)
•
깍두기(-)
•
염장 식품(鹽藏食品)
◈ 최근등록순
열린보도자료의 지식창고
>
광주광역시 보도자료
2019.10.15
◈
[행정]농식품공무원연구원, 김치타운 현장교육 참여
【산업】
(김치타운관리사무소, 613-8213)【】
0
|
광주광역시
,
김치
,
김치박물관
,
하나로 광주 김치타운
열린보도자료의 지식창고
>
광주광역시 보도자료
2019.10.07
◈
[문화]광주시, 김장문화 체험 프로그램 운영
【문화】
- 11월23일까지 광주김치타운…인문학 강의, 실기실습 등【】
0
|
광주광역시
,
김장
,
김치
,
광주김치타운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김치에 깃든 우리의 공동체 의식(Korean)
[한국문화] (0)
Our Community Consciousness in Kimchi (English)
[한국문화] (0)
김장과 품앗이, 품앗이 문화와 공동체 의식
[한국문화] (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