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2일 (금)
(음 4월 5일, 辛未)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통도사(通度寺)
•
열하일기(熱河日記)
•
가사(歌辭)
•
겸재정선미술관
•
아프로디테(Aphrodite)
•
대운하(大運河)
•
제주특별자치도
•
혜경궁 홍씨
•
계축일기(癸丑日記)
•
인현 왕후(仁顯王后)
•
무정(無情)
•
강도몽유록(江都夢遊錄)
•
경천사 10층 석탑
•
종로구(鍾路區)
•
1516년
•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
이승만(李承晩)
•
메밀꽃 필 무렵
•
상춘곡(賞春曲)
•
강원도(江原道)
▣
김규진 (金圭鎭)
바로가기
[1868 ~ 1933] 서예가. 호는 해강(海岡), 또는 백운거사(百雲居士)이다. 그림은 사군자(四君子)를 잘 그렸으며, 산수화로는 창덕궁 희정당의 벽화가 유명하다. 글씨에도 뛰어났다.
인물
:
인물 > 한국
[1868 ~ 1933] 서예가. 호는 해강(海岡), 또는 백운거사(百雲居士)이다.
청나라에서 대가들의 글씨와 그림을 연구하고 돌아와 영친왕의 스승이 되었다.
우리 나라에서는 처음으로 사진술을 도입하였고,
안중식
·
조석진
과 함께 서화 연구소를 설립하여 근대 한국 서화 미술 발전에 공헌하였다.
그림은 사군자(四君子)를 잘 그렸으며, 산수화로는 창덕궁 희정당의 벽화가 유명하다. 글씨에도 뛰어났다.
저서로 《해강난죽보》와 《육체필론》 등이 있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김규진
(金圭鎭)
1868
1881
영선사
(領選使)
1918
서화 협회
1911년
1918년
1919년
1967년
1881년
1853
조석진
(趙錫晋)
1861
안중식
1904
이응노
(李應魯)
1843
장승업
(張承業)
1892
김은호
(金殷鎬)
1897
이상범
(李象範)
1899
노수현
(盧壽鉉)
1899
변관식
(卞寬植)
1899
지성채
(池盛彩)
1904
이용우
(李用雨)
1392
도화서
(圖化署)
1911
서화미술회
동백림 사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