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2일 (금)
(음 4월 5일, 辛未)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통도사(通度寺)
•
열하일기(熱河日記)
•
오륜가(五倫歌)
•
겸재정선미술관
•
황무지(The Waste Land)
•
아프로디테(Aphrodite)
•
제주특별자치도
•
대운하(大運河)
•
혜경궁 홍씨
•
난중일기(亂中日記)
•
숙향전(淑香傳)
•
서울 특별시
•
인현 왕후(仁顯王后)
•
조용조(租庸調)
•
강도몽유록(江都夢遊錄)
•
종로구(鍾路區)
•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
이승만(李承晩)
•
강원도(江原道)
•
메밀꽃 필 무렵
▣
기해 박해 (己亥迫害)
바로가기
1839년(헌종 5년)의 천주교 박해 사건. 기해사옥이라고도 한다.
사건
:
역사 > 한국사 > 사건
1839년
(헌종 5년)의 천주교 박해 사건. 기해사옥이라고도 한다.
신유박해
후 천주교 탄압이 풀리면서 조선 교구가 독립되고, 서양인 신부들이 들어와 선교하는 등 교세를 떨치자, 새로 집권한 풍양 조씨가 이에 탄압을 가한 것이다.
모방
,
샤스탕
,
앵베르
등 서양인 신부 와 많은 교도가 죽임을 당하였고, 헌종은
척사 윤음
을 발표하고
5가 작통법
을 강화하여 천주교의 전파를 금하였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기해 박해
(己亥迫害)
1839
1801
신유 박해
(辛酉迫害)
천주교 박해
1591
남인
(南人)
벽파
(僻派)
로마 가톨릭교회
시파
(時派)
1839년
19세기
(19世紀)
1830년대
1886년
1860년
1866년
1868년
1840년
1846년
1830년
1831년
1832년
1833년
1834년
1835년
1836년
1837년
1838년
1827년
1815년
1801년
1791년
1795년
1797년
1785년
1797
앵베르
1803
모방
1803
샤스탕
1736
권철신
(權哲身)
1742
이가환
(李家煥)
1745
정순 왕후
(貞純王后)
1752
주문모
(周文謨)
1756
이승훈
(李承薰)
1758
정약전
(丁若銓)
1760
정약종
(丁若鍾)
1762
정약용
(丁若鏞)
1776
조만영
(趙萬永)
1782
조인영
(趙寅永)
1822
김대건
(金大建)
1834
조선 헌종
(憲宗)
1839
척사윤음
1791
신해 박해
(辛亥迫害)
1801
황사영 백서 사건
1859
경신박해
1866
병인 박해
1866
병인 양요
(丙寅洋擾)
(중복)
5가작통법
•
조병현(趙秉鉉)
•
정하상(丁夏祥)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