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5일 (월)
(음 4월 8일, 甲戌)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김홍도(金弘道)
•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
북천가(北遷歌)
•
공주시(公州市)
•
정진사전(鄭進士傳)
•
이광수(李光洙)
•
고대 소설(古代小說)
•
구운몽(九雲夢)
•
통도사(通度寺)
•
무정(無情)
•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
고려 가요(高麗歌謠)
•
화전가(花煎歌)
•
김동인(金東仁)
•
옥소전(玉簫傳)
•
시경(詩經)
•
김소월(金素月)
•
가사(歌辭)
•
용부가(庸婦歌)
▣
권제 (權踶)
바로가기
[1387 ~ 1445] 고려말, 조선 초기의 학자. 호는 지재(止齋)이며, 시호는 문경(文景)이다. 권근의 아들로 문장에도 능하여《고려사》 를 편찬하였고, 1445년에는 우찬성이 되어 정인지· 안지 등과 함께 《용비어천가》를 지었다.
인물
:
인물 > 한국
[1387 ~ 1445] 고려말, 조선 초기의 학자. 호는 지재(止齋)이며, 시호는 문경(文景)이다.
권근
의 아들로 어려서부터 머리가 총명하고 학문이 뛰어나 1414년에 문과 시험에 급제하였다. 그 후 대사헌을 거쳐 1429년(세종 11년) 진헌사로 명나라에 다녀와 경기도 관찰사가 되었다.
문장에도 능하여《
고려사
》 를 편찬하였고, 1445년에는 우찬성이 되어
정인지
·
안지
등과 함께 《
용비어천가
》를 지었다.
저서로 《역대세년가》 《지재집》 등이 있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권제
(權踶)
1387
악장
(樂章)
1453
정난 공신
1450년
1453년
918
고려
(高麗)
1352
권근
(權近)
1377
안지
(安止)
1396
정인지
(鄭麟趾)
1416
권람
(權擥)
1262
권부
(權溥)
1319
권희
(權僖)
1328
이색
(李穡)
1337
정도전
(鄭道傳)
1337
정몽주
(鄭夢周)
1363
권우
(權遇)
정현조
(鄭顯祖)
1415
한명회
(韓明澮)
1417
신숙주
(申叔舟)
1418
성삼문
(成三問)
1418
조선 세종
(世宗)
1436
신승선
(愼承善)
1441
남이
(南怡)
1455
조선 세조
(世祖)
1501
이황
(李滉)
1554
장현광
(張顯光)
훈구파
(勳舊派)
고려사
(高麗史)
1447
용비어천가
양촌집
(陽村集)
입학도설
(入學圖說)
1446
훈민정음
(訓民正音)
1453
계유정난
(癸酉靖難)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용비어천가
龍飛御天歌
악장
권제, 안지, 정인지 등
(1534)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