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7월 31일 (목)
(음 윤6월 7일, 辛丑)
집계기준 : 2025년 6월 30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조신 설화(調信說話)
•
1519년
•
황순원(黃順元)
•
윤동주(尹東柱)
•
당 중종(唐 中宗)
•
여수 진남관
•
1770년대
•
한시(漢詩)
•
중국 정사(中國正史)
•
백범김구기념관
•
춘향전(春香傳)
•
동작구(銅雀區)
•
이순신(李舜臣)
•
난중일기(亂中日記)
•
최항(崔恒)
•
사기(史記)
•
허베이성([河北]省)
•
시경(詩經)
•
일본(日本)
•
단일 번식 가축
▣
군수 (郡守)
바로가기
조선 시대의 군의 수령. 1466년(세조 12년)에 고려 시대 이래의 제도를 바꾸어 군수라 하였다.
지식
:
사회과학 > 행정
조선 시대의 군의 수령. 1466년(세조 12년)에 고려 시대 이래의 제도를 바꾸어 군수라 하였다.
군내의 행정은 물론 치안과 사법도 담당하며 농업 진흥, 교육 장려, 호구 조사 및 부역의 공평 등에 힘썼고, 조세 및 공납의 징수와 수송의 책임도 맡았다. 《경국대전》에 따르면 군수는 모두 82명이 있었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군수
(郡守)
관찰사
(觀察使)
목사
(牧使)
부사
(府使)
사또
(使道)
신문고 제도
향리
(鄕吏)
현령
(縣令)
유향소
(留鄕所)
조선시대의 지방행정제도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