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1일 (목)
(음 4월 4일, 庚午)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난중일기(亂中日記)
•
이상(李箱)
•
시경(詩經)
•
날개(-)
•
서울 특별시
•
고대 소설(古代小說)
•
김기림(金起林)
•
이순신(李舜臣)
•
만복사저포기
•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
북천가(北遷歌)
•
설화(說話)
•
논어(論語)
•
단심가(丹心歌)
•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
제주특별자치도
•
염상섭(廉想涉)
•
숙향전(淑香傳)
•
가사(歌辭)
•
명심보감(明心寶鑑)
▣
국내성 (國內城)
바로가기
고구려 초기의 도읍. 중국 동북 지방 즙안[輯安]현 통구 지방에 있었다. 유리왕 때 졸본에서 그 곳으로 옮겼다고 하며, 그 곳으로 옮겨 오면서 고구려는 세력이 강대해졌다.
지역
:
지역 > 한국
고구려 초기의 도읍. 중국 동북 지방 즙안[輯安]현 통구 지방에 있었다.
유리왕
때
졸본
에서 그 곳으로 옮겼다고 하며, 그 곳으로 옮겨 오면서 고구려는 세력이 강대해졌다.
427년
(장수왕 15년)에 평양으로 서울을 옮길 때까지 고구려의 도읍으로서, 고대 왕국의 형성과 발전의 터전이 되었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국내성
(國內城)
나·당 연합군
삼국 시대
선비족
(鮮卑族)
백암성
(白巖城)
모용씨
(慕容氏)
졸본
(卒本)
낙랑군
(樂浪郡)
대방군
(帶方郡)
돌궐
백제
(百濟)
부여
(夫餘)
위나암성
유연
(柔然)
서안평
(西安平)
고구려
(高句麗)
427년
신라
(新羅)
5세기
420년대
420년
421년
422년
423년
424년
425년
426년
428년
429년
기원전 17년
581
수
(隋)
713
발해
(渤海)
-19
유리왕
-37
동명성왕
(東明聖王)
147
고국천왕
18
대무신왕
(大武神王)
227
동천왕
(東川王)
300
미천왕
(美川王)
321
고국원왕
371
소수림왕
(小獸林王)
391
광개토대왕
413
장수왕
(長壽王)
427
비유왕
(毗有王)
53
태조왕
(太祖王)
616
연개소문
(淵蓋蘇文)
6세기말
을지문덕
(乙支文德)
황조가
(黃鳥歌)
612
살수 대첩
(薩水大捷)
무용총
(舞踊塚)
쌍영총
(雙楹塚)
장군총
(將軍塚)
안학궁
(安鶴宮)
고구려의 성
평양성
(平壤城)
•
3년
•
국동대혈(國東大穴)
•
지안 시(集安市)
◈ 최근등록순
이일걸의 지식창고
>
이일걸(蘇山)의 우리 땅 간도 대륙
2020.04.27
◈
장군총과 환도산성 및 국내성을 답사하다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장군총과 환도산성을 다녀오다
1
|
고구려
,
국내성
,
장군총
,
동북공정
,
국동대혈
이일걸의 지식창고
>
이일걸(蘇山)의 우리 땅 간도 대륙
2020.01.05
◈
연변대의 학술세미나 거부당하고 국동대혈을 답사하다
【--】
[스카이데일리 연재] 일제에 의해 조작된 장수왕의 평양 천도…실제는 고구려 역사에
0
|
고구려
,
국내성
,
장수왕
,
동북공정
,
지안 시
이일걸의 지식창고
>
이일걸(蘇山)의 우리 땅 간도 대륙
2019.09.22
◈
웅장한 장군총과 꿈에 그리던 광개토대왕비를 만나다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해동 최고의 보물’로 칭송 받는 광개토대왕비…비문 해석 논쟁 지속
1
|
광개토대왕비
,
국내성
,
장군총
,
퉁화 시
이일걸의 지식창고
>
이일걸(蘇山)의 우리 땅 간도 대륙
2019.09.16
◈
수많은 고구려의 적석총을 만나고 환도산성에 오르다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국내성으로 수도 천명하며 만들어진 산성…중국 역사 왜곡 흔적 다수
0
|
고구려
,
광개토대왕비
,
국내성
,
적석총
,
통구고분군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중국, 고구려 유적을 훼손하고, 고구려를 지방 정권으로 간주하다 - 영상한국사 (202)
[역사 > 한국역사] (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