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7월 31일 (목)
(음 윤6월 7일, 辛丑)
집계기준 : 2025년 6월 30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조신 설화(調信說話)
•
1519년
•
똥(-)
•
당 중종(唐 中宗)
•
황순원(黃順元)
•
국립 중앙 박물관
•
중국 정사(中國正史)
•
백범김구기념관
•
1770년대
•
여수 진남관
•
한시(漢詩)
•
춘향전(春香傳)
•
동작구(銅雀區)
•
이순신(李舜臣)
•
난중일기(亂中日記)
•
허베이성([河北]省)
•
최항(崔恒)
•
전운옥편(全韻玉篇)
•
이광수(李光洙)
•
강남구(江南區)
▣
구지가 (龜旨歌)
바로가기
김수로왕의 건국 신화에 등장하는 시가. 신라 유리왕 19년에 가락국 사람들이 왕을 맞이하기 위하여 집단적으로 불렀다고 전한다.
백과사전 내용을 확인합니다
[내용보기]
작품
:
작품 > 한국문학 > 시
김수로왕의 건국 신화에 등장하는 시가. 신라 유리왕 19년에 가락국 사람들이 왕을 맞이하기 위하여 집단적으로 불렀다고 전한다.
《삼국유사》의 기록에 의하면, 부족 국가 시대의 가락에서 추장인 구간(九干)들이 집회를 열고 군장(君長)을 뽑았는데 그 때 구지봉(龜旨峰) 위에서 신탁(神托)이 들려와, 이에 이 노래를 불러 왕을 영접하는 의식으로 삼았다고 한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구지가
(龜旨歌)
고전 문학
(古典文學)
고대 가요
(古代歌謠)
가사
(歌辭)
경기체가
(景幾體歌)
고대 소설
(古代小說)
고대 수필
(古代隨筆)
고려 가요
(高麗歌謠)
김수로왕 신화
내원성가
시조
(時調)
연양가
(延陽歌)
한국 문학
(韓國文學)
향가
(鄕歌)
정견모주 설화
강릉시
(江陵市)
금관 가야
(金官伽倻)
149
김수로왕
(金首露王)
수로부인
허황옥
(許黃玉)
이진아시
정견모주
이비가
(夷毗訶)
199
거등왕
(居登王)
780
선덕왕
(宣德王)
해가사
(海歌辭)
공무도하가
대악
(碓樂)
지리산가
황조가
(黃鳥歌)
회소곡
(會蘇曲)
치술령곡
선운산가
760
도솔가
(兜率歌)
1894
갑오개혁
(甲午改革)
정읍사
(井邑詞)
김해 수로왕릉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구지가
龜旨歌
고대가요
(214)
◈ 참조 원문/전문
해가사
海歌詞
고대가요
(39)
삼국유사 기이편 가락국기
三國遺事 紀異篇 駕洛國記
한국역사
일연
(23)
◈ 최근등록순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
고대시가
2019.06.02
◈
구지가(龜旨歌)
【학습】
현전 최고의 집단 무요, 주술성을 지닌 현전 최고의 노동요로 가락국 건국신화에 삽입되어 있는 주술적인 노래이다. <삼국유사> 권2, 가락국기
20 (+8)
|
구지가
,
고대가요
,
42년
,
신라가요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