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7월 30일 (수)
(음 윤6월 6일, 庚子)
집계기준 : 2025년 6월 30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사랑 손님과 어머니
•
이순신(李舜臣)
•
조신 설화(調信說話)
•
1510년
•
1517년
•
1770년대
•
배비장전(裵裨將傳)
•
백범김구기념관
•
중국 정사(中國正史)
•
서유기(西遊記)
•
황순원(黃順元)
•
한시(漢詩)
•
춘향전(春香傳)
•
여수 진남관
•
소나기
•
이무영(李無影)
•
똥(-)
•
1519년
•
난중일기(亂中日記)
•
시경(詩經)
▣
9재 학당 (九齋學堂)
바로가기
고려 시대 사학 기관의 하나. 최충이 세운 학교로서 문헌공도라고도 한다.
지식
:
역사 > 한국사 > 일반
고려 시대 사학 기관의 하나. 최충이 세운 학교로서
문헌공도
라고도 한다.
문종
때
최충
은 벼슬을 그만둔 후 후진 양성을 위해 사학을 열었는데, 시설이나 교육면에서
국자감
을 능가하여 과거 응시자가 많이 몰려들었다.
이 9재는 후일 관학에 영향을 끼쳐
예종
때 전문 분야에 따른
7재
설치의 모범이 되었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9재 학당
(九齋學堂)
문헌공도
사학 12도
칠재
(七齋)
국자학
(國子學)
문충공도
사문학
(四門學)
산학
(算學)
서학
(書學)
성균관
(成均館)
율학
(律學)
여진 정벌
1067
흥왕사
(興王寺)
1120년
1119년
1046년
992년
918
고려
(高麗)
1046
고려 문종
(文宗)
1105
예종
(睿宗)
984
최충
(崔沖)
최유길
(崔惟吉)
1010
고려 현종
(顯宗)
1025
최유선
(崔惟善)
1025
김양감
(金良鑑)
1031
고려 덕종
(德宗)
1034
고려 정종
(靖宗)
1046
고려 순종
(順宗)
1055
의천
(義天)
1061
윤관
(尹瓘)
1095
고려 숙종
(肅宗)
10c말
최온
(崔溫)
1123
고려 인종
(仁宗)
11c초
이자연
(李子淵)
877
신숭겸
(申崇謙)
948
강감찬
(姜邯贊)
982
고려 성종
(成宗)
984
왕가도
(王可道)
992
황보 유의
9c말
김낙
(金樂)
992
국자감
(國子監)
태학
(太學)
향학
(鄕學)
홍문공도
도이장가
(悼二將歌)
1019
귀주 대첩
(龜州大捷)
•
1068년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