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3일 (토)
(음 4월 6일, 壬申)
집계기준 : 2025년 4월 28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통도사(通度寺)
•
열하일기(熱河日記)
•
가사(歌辭)
•
중용(中庸)
•
무정(無情)
•
베르길리우스
•
대한민국 대통령
•
경천사 10층 석탑
•
종로구(鍾路區)
•
1516년
•
안후이성(安徽省)
•
숙향전(淑香傳)
•
서정주(徐廷柱)
•
최은희(崔恩喜)
•
메밀꽃 필 무렵
•
반고(班固)
•
임진왜란(壬辰倭亂)
•
두보(杜甫)
•
타이가(taiga)
•
신영철(申瑩澈)
▣
관찰사 (觀察使)
바로가기
조선 시대의 지방 장관. 감사(監司), 도백(道伯)이라고도 한다. 고려 말에도 둔 적이 있었으나, 제도로서 확립된 것은 조선 시대에 들어와서이다. 문관직으로서 무관직인 절도사, 수군 절도사를 거의 겸하고 있었다.
지식
:
역사 > 한국사 > 관직
조선 시대의 지방 장관. 감사(監司), 도백(道伯)이라고도 한다.
고려 말에도 둔 적이 있었으나, 제도로서 확립된 것은 조선 시대에 들어와서이다. 문관직으로서 무관직인 절도사, 수군 절도사를 거의 겸하고 있었다.
중요한 일에 대해서는 중앙의 명령을 받지만, 자기가 관할하는 도에서는 행정, 사법, 경찰권과 징세권까지 가져 절대적인 권력을 행사하였다.
관찰사가 공무를 보는 관청을
감영
이라 하였다.
경기감영, 충청감영, 경상감영, 전라감영, 황해감영, 강원감영, 평안감영, 함경감영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관찰사
(觀察使)
감영
(監營)
도관찰출척사
군수
(郡守)
목사
(牧使)
부사
(府使)
사또
(使道)
신문고 제도
안찰사
(按察使)
향리
(鄕吏)
현령
(縣令)
유향소
(留鄕所)
조선시대의 지방행정제도
•
선화당(宣化堂)
•
직수아문(直囚衙門)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