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7월 5일 (토)
(음 6월 11일, 乙亥)
집계기준 : 2025년 6월 30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스자좡시(石家庄市)
•
사미인곡(思美人曲)
•
한시(漢詩)
•
난설헌집(蘭雪軒集)
•
닝보시(宁波市)
•
백제(百濟)
•
도산 서원(陶山書院)
•
여수시(麗水市)
•
주역(周易)
•
대학장구(大學章句)
•
날개(-)
•
요르단(Jordan)
•
와이오밍 주
•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
프렌치·인디언 전쟁
•
아이리스 아웃
•
알카이오스(Alcaeos)
•
김소월(金素月)
•
발해강역고(渤海疆域考)
•
이상(李箱)
▣
고유섭 (高裕燮)
바로가기
[1904 ~ 1944] 미술사가. 호는 우현(又玄)이다. 저서에 《송도고적》 《고려청자》 《한국미술사 및 미술 논고》 등이 있다.
인물
:
인물 > 한국
[1904 ~ 1944] 미술사가. 호는 우현(又玄)이다.
경기도 인천에서 태어나 1925년에 보성 고보를 졸업하고, 1927년에 경성 제대(지금의 서울 대학교) 철학과에 들어가 미술사를 공부하였다.
1933년에 개성 박물관장이 되고, 그 뒤 연희 전문 학교·이화 여자 전문 학교 교수 등을 지내면서 국내의 명승· 고적·사찰을 답사, 연구하였다.
저서에 《송도고적》 《고려청자》 《한국미술사 및 미술 논고》 등이 있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고유섭
(高裕燮)
1904
1934
진단 학보
1934년
1031
김상기
(金上琦)
1888
문일평
(文一平)
1888
이윤재
(李允宰)
1891
이병기
(李秉岐)
1894
김윤경
(金允卿)
1894
최현배
(崔鉉培)
1896
이희승
(李熙昇)
1896
이병도
(李丙燾)
1896
신석호
(申奭鎬)
1900
손진태
(孫晋泰)
1903
이은상
(李殷相)
1903
김두헌
(金斗憲)
1904
이상백
(李相佰)
1904
조윤제
(趙潤濟)
1904
송석하
(宋錫夏)
1905
김태준
(金台俊)
1905
이선근
(李瑄根)
1934
진단 학회
1930
청구학회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총 34 작품) [
모두보기
]
경인팔경
京仁八景
근/현대 수필
고유섭
(7)
고유섭 수필집
근/현대 수필
고유섭
(7)
전별의 병
근/현대 수필
고유섭
(6)
브루노 타우트의 일본미의 재발견
근/현대 수필
고유섭
(5)
무종장
無終章
근/현대 수필
고유섭
(3)
아포리스멘
Aphorismen
근/현대 수필
고유섭
(3)
해변에 살기
근/현대 수필
고유섭
(3)
평생아자지
平生我自知
근/현대 수필
고유섭
(3)
명산대천
名山大川
근/현대 수필
고유섭
(2)
시조 한 수
근/현대 수필
고유섭
(2)
학난
學難
근/현대 수필
고유섭
(1)
춘수
春愁
근/현대 수필
고유섭
(1)
◈ 최근등록순
가담항설의지식창고
>
좋은 정보 수집
2024.07.17
◈
고유섭의 한국미학 - 정세근 (충북대)
【문화】
【2017년 제3회 한중인문학포럼 자료】 이 글은 우리나라 최초의 현대적 미학자라고 할 수 있는 한 인물에 대한 짧은 소개다. 한중인문학 교류를 하면서 잘 알려지지 않은 사상가를 소개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시의적이라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4
|
고유섭
,
고유섭의 한국미학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