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는 문명의 발생부터 중세 이전까지의 시기를 가리키며, 인류가 국가와 문명을 형성하고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기틀을 마련한 시대이다. 일반적으로 문자 사용의 시작과 함께 고대가 시작되며, 유럽에서는 서기 5세기 서구 로마 제국의 멸망까지를 고대로 본다.
시기 구분:
• 세계사: 기원전 3000년경 메소포타미아·이집트 문명 → 서기 5세기 로마 제국 붕괴까지
• 한국사: 고조선(기원전 2333년)부터 삼국 통일(676년) 또는 통일신라·발해 성립까지
주요 특징:
1. 국가 형성: 도시 국가 및 중앙집권적 고대 국가 출현
2. 문명 발전: 농경 사회 확립, 문자 사용, 법률과 종교의 발달
3. 신분제 사회: 계급 구조 확립, 왕권과 귀족 중심의 사회
4. 종교와 사상: 다신교 신앙, 철학의 기원(유교, 불교, 그리스 철학 등)
5. 기술과 문화: 청동기·철기 사용, 건축과 예술의 발전
6. 교류: 전쟁, 정복, 교역을 통한 문화 교류 활성화
한국의 고대:
• 고조선: 최초의 국가, 단군 신화
• 부여·고구려·백제·신라·가야: 삼국 시대의 발전과 경쟁
• 통일신라·발해: 고대 국가 체제의 완성 및 국제 교류
의의:
고대는 인류 문명의 초기 형성기로서, 국가 체제와 문화, 종교, 법률 등의 기본 틀이 마련된 시기이다. 이러한 유산은 이후 중세와 근대 문명 발전의 토대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