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11일 (일)
(음 4월 14일, 庚辰)
집계기준 : 2025년 5월 5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시경(詩經)
•
홍길동전(洪吉童傳)
•
남석하(南碩夏)
•
설문 해자(說文解字)
•
서동지전(鼠同知傳)
•
통도사(通度寺)
•
만언사(萬言詞)
•
윌리엄 셰익스피어
•
1934년
•
이태준(李泰俊)
•
척화오신(斥和五臣)
•
베니스 국제 영화제
•
동국정운(東國正韻)
•
흥부전(興夫傳)
•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
대수양(大首陽)
•
정선필 금강전도
•
사서 삼경(四書三經)
•
서경(書經)
•
이무영(李無影)
▣
강백년 (姜栢年)
바로가기
[1603 ~ 1681] 조선 시대의 문신. 호는 설봉(雪峰)·한계(閑溪)이고,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인물
:
인물 > 한국
[1603 ~ 1681] 조선 시대의 문신. 호는 설봉(雪峰)·한계(閑溪)이고,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1627년에 문과에 급제한 뒤 벼슬이 좌참찬·판중추부사에 이르렀다. 성품이 강직하여 두 번이나 벼슬에서 물러나기도 하였으나, 그의 곧은 성품이 다시 왕에게 인정되어 부름을 받았다.
1660년에 동지부사가 되어 청나라에 다녀왔다.
문장에 뛰어났으며, 죽은 뒤 영의정의 벼슬이 내려졌고
청백리
에 뽑혔다.
저서에 《
설봉집
》 《
한계만록
》 등이 있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강백년
(姜栢年)
1603
1566
강주
(姜籒)
1650
강현
(姜鋧)
1713
강세황
(姜世晃)
청백리
(淸白吏)
1394
기로소
(耆老所)
김장
문인화
(文人畵)
성리학
(性理學)
진경 산수화
풍속화
(風俗畵)
양관
(陽關)
1343
최유경
(崔有慶)
1353
길재
(吉再)
1360
맹사성
(孟思誠)
1401
정갑손
(鄭甲孫)
1402
정창손
(鄭昌孫)
1417
박팽년
(朴彭年)
1431
김종직
(金宗直)
1434
허종
(許琮)
1467
이현보
(李賢輔)
1486
김정
(金淨)
1491
이언적
(李彦迪)
1497
백인걸
(白仁傑)
1499
이준경
(李浚慶)
14c중
서견
(徐甄)
1501
이황
(李滉)
1504
홍섬
(洪暹)
1509
김취문
(金就文)
1513
정종영
(鄭宗榮)
1516
심수경
(沈守慶)
1539
최경창
(崔慶昌)
1542
류성룡
(柳成籠)
1547
이원익
(李元翼)
1548
김장생
(金長生)
1556
이항복
(李恒福)
1568
최진립
(崔震立)
1570
김상헌
(金尙憲)
1572
김신국
(金藎國)
1581
이시백
(李時白)
1599
이중경
(李重慶)
이영
(李寧)
최만리
(崔萬理)
김순
(金洵)
1693
이정보
(李鼎輔)
1745
김홍도
(金弘道)
1769
신위
(申緯)
1902
박열
(朴烈)
1907
김연수
(金演洙)
1911
박영준
(朴榮濬)
1965
이훈
(李薰)
1919
대한민국 임시정부
한계만록
1721
신임사화
(辛壬士禍)
(미정의)
설봉집
•
강운상(姜雲祥)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