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메소포타미아문명 (수메르, 아카드, 아시리아, BC4000)
|
|
|
[기원전 4500년 ~ 기원전 2000년] 수메르 문명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문명으로 그들이 어디서 왔는지는 정확히 모르지만, 수메르인은 대략 기원전 5,500년에서 기원전 4,000년 사이부터 수메르 지방에서 살기 시작하였다.
|
|
|
중동 (메소포타미아)
|
B.C. 4000 ~ B.C.1895
|
|
|
황하문명
|
|
|
[기원전 4500년 ~ 기원전 2000년] 중국의 황허 강 중하류 지역에 성립한 옛 문명의 총칭이다.
|
|
|
중국 (황하문명)
|
B.C. 4000 ~ B.C.2070
|
|
|
|
황하문명
|
|
|
|
[기원전 4500년 ~ 기원전 2000년] 중국의 황허 강 중하류 지역에 성립한 옛 문명의 총칭이다.
|
|
|
|
중국 (황하문명)
|
B.C. 4000 ~ B.C.2070
|
|
|
|
하나라 (중국)
|
|
|
|
[기원전 21세기 ~ 16세기] 흉노족 등의 유목 민족의 침입을 막기 위해 중국의 고대 진나라(시황제) 때 기존의 성곽을 잇고 부족한 부분은 새롭게 축조하여 만든 거대한 성곽이다. 이후 명나라 시대에 이르기까지 중국의 역대 왕조에서 지속적으로 보수하고 개축 및 신축하였다.
|
|
|
|
중국 (하나라)
|
B.C. 2070 ~ B.C.1600
|
|
|
|
상나라 (중국)
|
|
|
|
[기원전 16세기 ~ 11세기] 중국 역사상 최초의 왕조이다. 반경(盤庚)이 마지막으로 옮긴 수도가 은(殷)이기 때문에 은나라로 부르기도 한다.
|
|
|
|
중국 (상나라)
|
B.C. 1600 ~ B.C.1046
|
|
|
|
고죽국(孤竹國, BC 11세)
|
|
|
|
[기원전 11세기 ~ 664] 상주대부터 춘추시대 후기까지 중국 허베이성 탕산시에 존재한 국가이다. 국성은 자(子), 씨는 묵태(墨胎)이다. 백이와 숙제의 고사로 알려져 있고 기원전 664년에 제에 의해 멸망했다.
|
|
|
|
중국 (고죽)
|
B.C. 1100 ~ B.C.664
|
|
|
|
주나라(西周) (중국)
|
|
|
|
[기원전 11세기 ~ 8세기] 중국 고대 왕조의 하나. 문왕 때 번영하였고, 무왕이 은나라를 쳐부수고 나라를 세워 호경(鎬京)에 도읍하였다.
|
|
|
|
중국 (서주)
|
B.C. 1046 ~ B.C.771
|
|
|
|
춘추시대 (중국)
|
|
|
|
[기원전 770 ~ 403] 주나라(西周)가 이민족의 공격으로 수도를 호경(鎬京)에서 동쪽의 낙양(洛陽)으로 천도한 시점부터 전국시대의 성립 이전까지의 시대를 말한다.
|
|
|
|
중국 (춘추시대)
|
B.C. 770 ~ B.C.403
|
|
|
|
전국시대 (중국)
|
|
|
|
[기원전 403 ~ 221] 춘추 시대의 진(晋)나라가 한(韓), 위(魏), 조(趙)의 셋으로 나뉜 뒤, 진(秦)나라의 시황제(始皇帝)가 중국을 통일할 때까지의 시대(기원전 403~기원전 221년)를 가리킨다.
|
|
|
|
중국 (전국시대)
|
B.C. 403 ~ B.C.221
|
|
|
|
진나라의 중국통일 (중국)
|
|
|
|
[기원전 221 ~ 206] 진시황은 6국을 정복하여 전국시대를 종식시키고 초기에 36군을 설치하였으며 지방관을 파견하였다. 주변정복에 따라 군이 추가되었다
|
|
|
|
중국 (통일 진나라)
|
B.C. 221 ~ B.C.206
|
|
|
|
만리장성 (중국 진나라)
|
|
|
|
[기원전 222년 ~ ] 흉노족 등의 유목 민족의 침입을 막기 위해 중국의 고대 진나라(시황제) 때 기존의 성곽을 잇고 부족한 부분은 새롭게 축조하여 만든 거대한 성곽이다. 이후 명나라 시대에 이르기까지 중국의 역대 왕조에서 지속적으로 보수하고 개축 및 신축하였다.
|
|
|
|
중국 (진나라)
|
B.C. 220 ~ B.C.214
|
|
|
|
초한전쟁 (중국)
|
|
|
|
[기원전 206 ~ 202] 기원전 206년 진나라의 멸망 후 서쪽의 초나라 패왕 항우와 한나라 왕 유방과의 5년에 걸친 전쟁.
|
|
|
|
중국 (한나라)
|
B.C. 206 ~ B.C.202
|
|
|
|
만리장성 (중국 전한)
|
|
|
|
[기원전 120경] 전국시대에 조나라, 연나라, 진나라 등 세 나라가 쌓은 장성을 진시황이 통일 이후 연결해 지은 것이 시초이며, 한나라의 한무제가 한 번 더 대규모 공사를 하였다.
|
|
|
|
중국 (한나라)
|
B.C. 120 ~ 100
|
|
|
|
전한 (중국)
|
|
|
|
[기원전 202 ~ 기원후 8] 고조(高祖) 유방(劉邦)이 항우(項羽)와 대륙 쟁탈 뒤에 세운 왕조로서 진(秦)에 이어서 중국을 두 번째로 통일한 왕조
|
|
|
|
중국 (한나라)
|
B.C. 202 ~ 8
|
|
|
|
신 (중국, 기원후 8 ~ 23)
|
|
|
|
[기원후 8 ~ 23] 왕망이 전한의 뒤를 이어 창건한 왕조이다.
|
|
|
|
중국 (한나라)
|
8 ~ 23
|
|
|
|
후한 (중국)
|
|
|
|
[기원후 25 ~ 220] 전한이 신나라의 왕망에 의하여 멸망한 이후, 한 왕조의 일족인 광무제 유수가 한 왕조를 부흥시켰다.
|
|
|
|
중국 (한나라)
|
25 ~ 220
|
|
|
|
삼국 시대 (중국)
|
|
|
|
[220 ~ 280] 중국 후한 말 황건적의 난을 계기로 위나라, 촉나라, 오나라가 중국 대륙을 셋으로 나누어 다투던 시대. 대체로 위나라의 건국(220년)으로부터 진나라의 사마염이 통일을 이룰 때(280년)까지를 가리킨다.
|
|
|
|
중국 (삼국시대)
|
220 ~ 280
|
|
|
|
서진 시대(西晉) (중국)
|
|
|
|
[280 ~ 316] 삼국의 위나라를 이어서 그 신하 사마염이 세운 왕조. 도읍을 낙양(洛陽)으로 정하였다. 280년 오나라를 쳐부수어 천하를 통일하였으나, 오호(五胡)의 난으로 316년에 멸망하였다.
|
|
|
|
중국 (서진)
|
280 ~ 316
|
|
|
|
팔왕의 난 (중국)
|
|
|
|
[291 ~ 306] 290년 무제가 죽고 나이 어린 혜제가 즉위하자, 황족인 사마씨의 8명 제후들이 정권 쟁탈전에 말려들어 차례로 다툰 내란이다.
|
|
|
|
중국 (서진)
|
291 ~ 306
|
|
|
|
5호 16국 (300년대) (중국)
|
|
|
|
동진, 성한, 전량, 전조
|
|
|
|
중국 (5호 16국)
|
300 ~ 320
|
|
|
|
5호 16국 (330년대) (중국)
|
|
|
|
동진, 성한, 전량, 후조
|
|
|
|
중국 (5호 16국)
|
320 ~ 360
|
|
|
|
5호 16국 (360년대) (중국)
|
|
|
|
동진, 전량, 전진, 전연
|
|
|
|
중국 (5호 16국)
|
360 ~ 390
|
|
|
|
5호 16국 (390년대) (중국)
|
|
|
|
동진, 후량, 북위, 후진, 서진, 후연
|
|
|
|
중국 (5호 16국)
|
390 ~ 400
|
|
|
|
5호 16국 (410년대) (중국)
|
|
|
|
동진, 후진, 북연, 북하, 남연, 북량, 남량, 서량, 북위, 서진
|
|
|
|
중국 (5호 16국)
|
410 ~ 420
|
|
|
|
남북조시대 (460년대) (중국)
|
|
|
|
북위와 유송
|
|
|
|
중국 (남북조시대)
|
420 ~ 479
|
|
|
|
남북조시대 (490년대) (중국)
|
|
|
|
북위와 남제
|
|
|
|
중국 (남북조시대)
|
479 ~ 502
|
|
|
|
남북조시대 (540년대) (중국)
|
|
|
|
동위-서위와 소량
|
|
|
|
중국 (남북조시대)
|
502 ~ 557
|
|
|
|
남북조시대 (560년대) (중국)
|
|
|
|
북제-북주와 남진
|
|
|
|
중국 (남북조시대)
|
557 ~ 589
|
|
|
|
수나라 (중국)
|
|
|
|
[581 ~ 619] 남북조 시대의 혼란을 끝내고, 중국을 통일한 왕조이다
|
|
|
|
중국 (수나라)
|
581 ~ 618
|
|
|
|
당나라 도호부 (중국)
|
|
|
|
중국의 당(唐) 왕조 시대에 변방 경비 · 주변 이민족 통치 등을 위해 설치한 군사 기관이다.
|
|
|
|
중국 (당나라)
|
618 ~ 907
|
|
|
|
당나라 (중국)
|
|
|
|
[618 ~ 907] 중국 역사상 가장 찬란한 문화를 이룩하였던 왕조
|
|
|
|
중국 (당나라)
|
618 ~ 907
|
|
|
|
5대 10국 (후량, 907) (중국)
|
|
|
|
[907 ~ 923] 후량(後梁) 시대
|
|
|
|
중국 (5대 10국)
|
907 ~ 923
|
|
|
|
5대 10국 (후당, 923) (중국)
|
|
|
|
[923 ~ 936] 후당(後唐) 시대
|
|
|
|
중국 (5대 10국)
|
923 ~ 936
|
|
|
|
5대 10국 (후진, 936) (중국)
|
|
|
|
[936 ~ 946] 후진(後晉) 시대
|
|
|
|
중국 (5대 10국)
|
936 ~ 946
|
|
|
|
5대 10국 (후한, 947) (중국)
|
|
|
|
[947 ~ 951] 후한(後漢) 시대
|
|
|
|
중국 (5대 10국)
|
947 ~ 951
|
|
|
|
5대 10국 (후주, 947) (중국)
|
|
|
|
[951 ~ 960] 후주(後周) 시대
|
|
|
|
중국 (5대 10국)
|
951 ~ 960
|
|
|
|
북송 (중국)
|
|
|
|
[960 ~ 1127] 조광윤(趙匡胤)이 오대 최후의 왕조 후주의 공제 시종훈에게서 선양을 받아 개봉(開封)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이다.
|
|
|
|
중국 (송)
|
960 ~ 1127
|
|
|
|
몽골초원 (금, 요나라 멸망, 1125)
|
|
|
|
1125년, 금 태종은 요나라를 멸망시켰고, 요나라의 영토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
|
|
|
몽골초원 (금)
|
1125 ~ 1127
|
|
|
|
남송 (중국)
|
|
|
|
[1127 ~ 1279] 조광윤(趙匡胤)이 건국한 북송이 여진족의 금나라에게 1126년 멸망당하고, 종실 강왕(康王) 조구(趙構) (훗날 고종)가 남쪽으로 옮겨 양자강 이남의 땅 임안(臨安, 현재의 항저우)으로 천도하여 부흥한 정권을 가리켜 남송이라고 부른다.
|
|
|
|
중국 (남송)
|
1127 ~ 1279
|
|
|
|
몽골초원 (금, 북송 멸망, 1127)
|
|
|
|
[1115 ~ 1234, 금] 1127년, 금 태종은 여진족 군사들을 이끌고 송나라(북송)의 수도 카이펑을 함락시키고 마침내 북송을 정복한다.
|
|
|
|
몽골초원 (금)
|
1127 ~ 1206
|
|
|
|
원
|
|
|
|
[1271 ~ 1368] 1260년 칭기즈 칸의 손자이며 몽골 제국의 제5대 대칸으로 즉위한 쿠빌라이 칸이 1271년 몽골 제국의 국호를 '대원(大元)'으로 고침으로써 성립되었다.
|
|
|
|
중국 (원)
|
1271 ~ 1368
|
|
|
|
명 (1368~)
|
|
|
|
[1368 ~ 1644] 1368년부터 1644년까지 존속한 중국의 통일왕조로, 한족계 반란군 주원장이 원을 중국에서 몰아내고 세운 마지막 한족 왕조이다.
|
|
|
|
중국 (명)
|
1368 ~ 1644
|
|
|
|
북원 (1368~)
|
|
|
|
[1368년 ~ 1635년] 명나라의 주원장에게 밀려 몽골 고원의 초원지대로 돌아간 이후의 원나라를 부르는 말이다.
|
|
|
|
중국 (북원)
|
1368 ~ 1635
|
|
|
|
준가르 칸국 (1634년 ~)
|
|
|
|
[1634년 ~ 1758년] 서몽골 지역의 오이라트 출신의 부족연합체이다. 17세기~18세기에 걸쳐 오이라트의 주도권을 잡아, 이리 지방을 본거지로 하는 마지막 유목제국을 건설했다.
|
|
|
|
중앙아시아 (준가르 칸국)
|
1634 ~ 1758
|
|
|
|
청 (명청교체기, 청,명,순, 1636)
|
|
|
|
[1636년 ~ 1912년] 중국 역사상 최후의 통일 왕조이자, 근대 중국을 지배하였던 마지막 왕조이다. 1636년에 건국되었으며, 1644년부터 1912년까지 300여 년 동안 중국 대륙을 통치하였다.
|
|
|
|
중국 (청)
|
1636 ~ 1650
|
|
|
|
청 (1636~)
|
|
|
|
[1636년 ~ 1912년] 중국 역사상 최후의 통일 왕조이자, 근대 중국을 지배하였던 마지막 왕조이다. 1636년에 건국되었으며, 1644년부터 1912년까지 300여 년 동안 중국 대륙을 통치하였다.
|
|
|
|
중국 (청)
|
1650 ~ 1912
|
|
|
|
중화민국 (1912~)
|
|
|
|
[1912년 ~ 1949년] 1912년 쑨원이 청나라를 무너뜨리고 신해혁명을 일으키며 최초로 건국되었다.
|
|
|
|
중국 (중화민국)
|
1912 ~ 1949
|
|
|
【B.C. 4000 년】황하문명
|
|
|
|
[기원전 4500년 ~ 기원전 2000년] 중국의 황허 강 중하류 지역에 성립한 옛 문명의 총칭이다.
|
|
|
|
중국 (황하문명)
|
B.C. 4000 ~ B.C.2070
|
|
|
|
메소포타미아문명 (수메르, 아카드, 아시리아, BC4000)
|
|
|
|
[기원전 4500년 ~ 기원전 2000년] 수메르 문명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문명으로 그들이 어디서 왔는지는 정확히 모르지만, 수메르인은 대략 기원전 5,500년에서 기원전 4,000년 사이부터 수메르 지방에서 살기 시작하였다.
|
|
|
|
중동 (메소포타미아)
|
B.C. 4000 ~ B.C.1895
|
|
|
|
황하문명
|
|
|
|
[기원전 4500년 ~ 기원전 2000년] 중국의 황허 강 중하류 지역에 성립한 옛 문명의 총칭이다.
|
|
|
|
중국 (황하문명)
|
B.C. 4000 ~ B.C.2070
|
◇ 최근 등재 목록 ◇
|
인도 (마하메가바하나 왕조, 기원전 185년)
|
|
[기원전 2, 1세기 ~ 서기 4세기] 마우리아 제국이 쇠퇴한 이후 칼링가를 지배하던 고대 왕조였다.
|
|
인도 (마하메가바하나 왕조)
|
B.C. 185 ~ 400
|
|
|
|
인도 (서사트라프, 35년)
|
|
[35년 ~ 405년] 서기 1세기 경 쿠샨 제국의 지배를 받던 인도-스키타이인들이 북인도에 건설한 사트라프 국가이다. 데칸 고원의 인도 왕조인 사타바하나와 인접해 있었기 때문에 사타바하나와 자주 충돌하였다.
|
|
인도 (서사트라프)
|
35 ~ 405
|
|
|
|
인도 (바카타카왕조, 250년)
|
|
[250년 ~ 500년] 3세기 중반 데칸에서 시작된 고대 인도 왕조이다.
|
|
인도 (바카타카왕조)
|
250 ~ 500
|
|
|
|
인도 (사타바하나왕조, 기원전 230년)
|
|
[기원전 230년 ~ 서기 225년] 안드라인들에 의해 형성된 고전기 인도의 제국으로, 기원전 230년부터 서기 225년까지 데칸을 중심으로 번영한 국가이다.
|
|
인도 (사타바하나왕조)
|
B.C. 230 ~ 225
|
|
|
|
북아프리카 (무와히드 칼리파국, 1130년~)
|
|
[1130년 ~ 1269년] 베르베르인의 무슬림 칼리파 왕조였으며 12세기에 설립됐다. 모든 북부 아프리카를 정복해 리비아와 알안달루스, 무어인이 지배하던 이베리아반도까지 다스렸다.
|
|
아프리카 (무와히드칼리파국)
|
1130 ~ 1269
|
|
|
|
북아프리카 (무라비트 왕조, 1040년~)
|
|
[1040년 ~ 1147년] 베르베르인이 서사하라 에서 세운 최초의 이슬람 왕조인 베르베르 왕조.
|
|
아프리카 (무라비트 왕조)
|
1040 ~ 1147
|
|
|
|
서아프리카 (송가이 제국, 1464년~)
|
|
[1464년 ~ 1591년] 15세기 ~ 16세기동안 서아프리카에서 부흥한 제국 중 하나였다. 수도는 가오였다.
|
|
아프리카 (송가이제국)
|
1464 ~ 1591
|
|
|
|
서아프리카 (말리 제국, 1235년경~)
|
|
[1235년경 ~ 1670년대] 서아프리카에서 1235년부터 1670년까지 존재했던, 만딩고족이 세운 제국이었다. 순디아타 케이타에 의해 세워졌고,나이저 강을 따라 언어, 법, 관습 등을 퍼뜨렸다.
|
|
아프리카 (말리제국)
|
1235 ~ 1670
|
|
|
|
서아프리카 (가나 제국, 300년~)
|
|
[300년 ~ 1200년 경] 서아프리카에 존재했던 국가였다. 그리고 와가두[4] 제국 또는 가나 왕국으로도 불리기도 했다.
|
|
아프리카 (가나제국)
|
300 ~ 1235
|
|
|
|
서유럽 (아스투리아스 왕국, 718년~)
|
|
[718년 ~ 924년] 스페인 북서부에 존속했었던 기독교 국가이다. 오늘날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기원이 되는 나라이다.
|
|
유럽 (아스투리아스 왕국)
|
718 ~ 924
|
|
|
|
서유럽 (카스티야 왕국, 1065년~)
|
|
[1065년 ~ 1833년] 중세 시대 이베리아 반도의 크고 강력한 상태로 존재했던 왕국이였다.
|
|
유럽 (카스티야 왕국)
|
1065 ~ 1230
|
|
|
|
서유럽 (레온 왕국, 910년~)
|
|
[910년 ~ 1230년] 이베리아반도의 북서쪽에 위치한 독립 왕국이었다. 910년 비스케이만(반도의 북쪽 해안)을 따라 있었던 아스투리아스의 기독교 왕자들이 수도를 오비에도에서 레온으로 옮겼을 때 세워졌다.
|
|
유럽 (레온 왕국)
|
910 ~ 1230
|
|
|
|
서유럽 (나바라 왕국, 824년~)
|
|
[824년 ~ 1841년] 중세 유럽의 한 나라이다. 대서양 연안의 피레네산맥 지역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현재의 바스크 대부분을 영유하고 있었다.
|
|
유럽 (나바라 왕국)
|
824 ~ 1492
|
|
|
|
서유럽 (카스티야 연합왕국, 1230년~)
|
|
[1230년 ~ 1715년] 중세 및 근대에 걸쳐 이베리아반도에 존재했던 국가이다. 1230년 후사가 없어진 레온 왕국의 왕위에 카스티야 왕국의 국왕 페르난도 3세가 즉위하면서 탄생했다.
|
|
유럽 (카스티야 연합왕국)
|
1231 ~ 1492
|
|
|
|
서유럽 (후우마이야 왕조, 756년~)
|
|
[756년 ~ 1031년] 에스파냐 지방에 있었던 이슬람 왕조(756~1031년). 우마이야 왕조가 아바스 왕조에게 멸망되자 옴미아드 왕조의 일족인 압둘라흐만 1세가 에스파냐로 탈출하여 코르도바를 수도로 건국한 왕조를 말한다.
|
|
유럽 (후우마이야 왕조)
|
756 ~ 1031
|
|
|
|
서유럽 (아라곤 왕국, 1035년~)
|
|
[1035년 ~ 1492년] 이베리아반도의 중세 및 초기 근대 왕국이었다.
|
|
유럽 (아라곤 왕국)
|
1035 ~ 1492
|
|
|
|
서유럽 (그라나다왕국, 1238년~)
|
|
[1238년 ~ 1492년] 에스파냐 안달루시아의 도시그라나다를 중심으로 번영했던 이슬람 왕조
|
|
유럽 (그라나다왕국)
|
1238 ~ 1492
|
|
|
|
인도 (무굴 제국, 1758~)
|
|
[1526년 ~ 1857년] 16세기 초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오늘날의 인도 중부와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에 이르는 지역을 지배한 이슬람 국가이다.
|
|
인도 (무굴 제국)
|
1758 ~ 1857
|
|
|
|
인도 (무굴 제국, 1720~)
|
|
[1526년 ~ 1857년] 16세기 초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오늘날의 인도 중부와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에 이르는 지역을 지배한 이슬람 국가이다.
|
|
인도 (무굴 제국)
|
1720 ~ 1758
|
|
|
|
인도 (마라타 제국, 마다브라오 1세, 1758)
|
|
[1674년 ~ 1818년] 18세기 인도 아대륙의 상당 부분을 다스렸던 국가이다. 1674년에 시바지 보살레가 차트라파티, 즉 황제로 즉위하며 공식적으로 건국되었으며, 1818년에 페슈와(대재상) 바지라오 2세가 영국 동인도 회사 군대에게 패배하며 멸망하고 말았다.
|
|
인도 (마라타 제국)
|
1758 ~ 1818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