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메소포타미아문명 (수메르, 아카드, 아시리아, BC4000)
|
|
|
[기원전 4500년 ~ 기원전 2000년] 수메르 문명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문명으로 그들이 어디서 왔는지는 정확히 모르지만, 수메르인은 대략 기원전 5,500년에서 기원전 4,000년 사이부터 수메르 지방에서 살기 시작하였다.
|
|
|
중동 (메소포타미아)
|
B.C. 4000 ~ B.C.1895
|
|
|
황하문명
|
|
|
[기원전 4500년 ~ 기원전 2000년] 중국의 황허 강 중하류 지역에 성립한 옛 문명의 총칭이다.
|
|
|
중국 (황하문명)
|
B.C. 4000 ~ B.C.2070
|
|
|
인더스 문명 (BC 3300)
|
|
|
[기원전 3300년 ~ 기원전 1900년] 기원전 3300년~기원전 1900년 무렵에 지금의 파키스탄, 인도의 펀자브 지방, 인더스 강 유역에서 발달한 인도 최초의 문명으로, 세계 4대 문명으로도 손꼽힌다.
|
|
|
인도 (인더스문명)
|
B.C. 3300 ~ B.C.1600
|
|
|
|
인더스 문명 (BC 3300)
|
|
|
|
[기원전 3300년 ~ 기원전 1900년] 기원전 3300년~기원전 1900년 무렵에 지금의 파키스탄, 인도의 펀자브 지방, 인더스 강 유역에서 발달한 인도 최초의 문명으로, 세계 4대 문명으로도 손꼽힌다.
|
|
|
|
인도 (인더스문명)
|
B.C. 3300 ~ B.C.1600
|
|
|
|
인도 (전기 베다 시대, BC 1600)
|
|
|
|
[기원전 1600년 ~ 기원전 1200년] 기원전 16세기 경에 아리아인이 인도의 펀자브 지방에 침입하였고, 기원전 11세기 경에 정착하였는데, 아리아인들이 인도를 침입한 뒤의 생활에 대해서 그들의 종교찬가 베다를 통해서 알 수 있기 때문에 이 시대를 베다 시대라고 한다.
|
|
|
|
인도 (베다시대)
|
B.C. 1600 ~ B.C.1200
|
|
|
|
인도 (후기 베다 시대, BC 1200)
|
|
|
|
[기원전 1200년 ~ 기원전 600년] 펀자브 지방에 정착하였던 아리아인들은 기원전 10세기에 동쪽으로 이주하여 야무나 강과 갠지스 강의 중간에 있는 비옥한 평원을 점령하였다. 이때 브라만교의 문화가 완성되었다.
|
|
|
|
인도 (베다시대)
|
B.C. 1200 ~ B.C.600
|
|
|
|
인도 (16대국 시대, BC 600)
|
|
|
|
[기원전 600년 ~ 기원전 321년] 펀자브 지방에 정착하였던 아리아인들은 기원전 10세기에 동쪽으로 이주하여 야무나 강과 갠지스 강의 중간에 있는 비옥한 평원을 점령하였다. 이때 브라만교의 문화가 완성되었다.
|
|
|
|
인도 (16대국시대)
|
B.C. 600 ~ B.C.321
|
|
|
|
인도 (난다 제국, BC 345)
|
|
|
|
[기원전 345년 ~ 기원전 321년] 마하파드마 난다가 마가다 지역에 세운 제국이다. 수드라 출신의 왕조로, 막강한 군사력으로 전 십육대국 국가들을 정복하여 사실상 십육대국 시대를 종식하였다.
|
|
|
|
인도 (16대국시대)
|
B.C. 345 ~ B.C.321
|
|
|
|
인도 (마우리아 제국, BC 321)
|
|
|
|
[기원전 321년 ~ 기원전 185년] 기원전 320년부터 기원전 185년까지 존속했던 고전기 인도의 제국으로, 인도 역사상 가장 광대한 영토를 거느렸던 제국 중 하나이다.
|
|
|
|
인도 (마우리아 제국)
|
B.C. 321 ~ B.C.185
|
|
|
|
인도 (사타바하나왕조, 기원전 230년)
|
|
|
|
[기원전 230년 ~ 서기 225년] 안드라인들에 의해 형성된 고전기 인도의 제국으로, 기원전 230년부터 서기 225년까지 데칸을 중심으로 번영한 국가이다.
|
|
|
|
인도 (사타바하나왕조)
|
B.C. 230 ~ 225
|
|
|
|
인도 (숭가 제국, 기원전 185년)
|
|
|
|
[기원전 185년 ~ 기원전 73년] 기원전 187년경 마우리아의 군사령관인 푸샤미트라에 의해 창시되며 기원전 73년까지 존속한 인도 중왕국 시대의 제국이다.
|
|
|
|
인도 (숭가 제국)
|
B.C. 185 ~ B.C.73
|
|
|
|
인도 (마하메가바하나 왕조, 기원전 185년)
|
|
|
|
[기원전 2, 1세기 ~ 서기 4세기] 마우리아 제국이 쇠퇴한 이후 칼링가를 지배하던 고대 왕조였다.
|
|
|
|
인도 (마하메가바하나 왕조)
|
B.C. 185 ~ 400
|
|
|
|
인도 (인도-그리스 왕국, 기원전 180년굥)
|
|
|
|
[기원전 180년경 ~ 서기 10년] 오늘날의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북인도 서부에 존속하였던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계 인도 왕국들을 말한다
|
|
|
|
인도 (숭가 제국)
|
B.C. 180 ~ 10
|
|
|
|
인도 (서사트라프, 35년)
|
|
|
|
[35년 ~ 405년] 서기 1세기 경 쿠샨 제국의 지배를 받던 인도-스키타이인들이 북인도에 건설한 사트라프 국가이다. 데칸 고원의 인도 왕조인 사타바하나와 인접해 있었기 때문에 사타바하나와 자주 충돌하였다.
|
|
|
|
인도 (서사트라프)
|
35 ~ 405
|
|
|
|
인도 (쿠샨 제국)
|
|
|
|
[60 ~ 480] 기원 전후부터 5세기에 걸쳐서 이란계(系)의 쿠샨족이 북서 인도에 세운 왕조. 5세기 말경 에프탈에게 멸망당하였다.
|
|
|
|
인도 (쿠샨 제국)
|
60 ~ 480
|
|
|
|
인도 (바카타카왕조, 250년)
|
|
|
|
[250년 ~ 500년] 3세기 중반 데칸에서 시작된 고대 인도 왕조이다.
|
|
|
|
인도 (바카타카왕조)
|
250 ~ 500
|
|
|
|
인도 (굽타 제국, 240~)
|
|
|
|
[240 ~ 550] 서기 4세기 초부터 서기 6세기 후반까지 존재했던 고대 인도 제국이다. 서기 약 319년부터 467년까지 인도 아대륙의 대부분을 지배하며 절정에 이르렀다
|
|
|
|
인도 (굽타 제국)
|
240 ~ 550
|
|
|
|
인도 (바르다나, 500~)
|
|
|
|
[500 ~ 647] 굽타 제국이 쇠퇴하던 서기 500년에 타네사르 지역에서 형성된 소왕국으로, 580년에 푸슈야부티의 군주인 프라바카라 바르다나가 카나우지로 수도를 옮기면서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
|
|
|
인도 (바르다나)
|
500 ~ 647
|
|
|
|
인도 (찰루키아 왕조, 543)
|
|
|
|
[543년 ~ 753년] 6세기에서 12세기까지 인도 남부와 중부 지역을 통치했던 고전기 인도의 왕조이다.
|
|
|
|
인도 (찰루키아)
|
543 ~ 753
|
|
|
|
인도 (구르자라-프라티하라 왕조, 730)
|
|
|
|
[730년 ~ 1036년] 8세기 중반부터 11세기까지 인도 북부 대부분을 지배했던 고전후 시대 인도 아대륙의 제국이다. 초기에는 우자인을 수도로 삼다가 나중에 카나우지로 천도하였다.
|
|
|
|
인도 (프라티하라)
|
730 ~ 1036
|
|
|
|
인도 (팔라 제국, 750)
|
|
|
|
[750년 ~ 1174년] 750년에서 1174년경까지 동인도 지역을 지배한 중세 인도의 제국으로, 인도 아대륙 최후의 불교 왕조이다.
|
|
|
|
인도 (팔라 제국)
|
750 ~ 1174
|
|
|
|
인도 (라슈트라쿠타 왕조, 753)
|
|
|
|
[753년 ~ 982년] 6세기에서 10세기 사이에 인도 아대륙 대부분을 통치했던 인도 왕조이다.
|
|
|
|
인도 (라슈트라쿠타)
|
753 ~ 982
|
|
|
|
중앙아시아 (고르 제국, 1011)
|
|
|
|
[1011년 ~ 1215년] 아프가니스탄의 구르에 있던 투르크계의 이슬람 왕조. 처음 가즈니 왕조에 예속되어 있었으나 차차 세력을 얻어 1186년에 기야스 웃딘 무함마드(재위 1163년~1202년)가 주가(主家)를 넘어뜨리고 아프가니스탄에서 서북인도에 걸친 영토의 지배자가 되었다.
|
|
|
|
중동 (아프가니스탄)
|
1011 ~ 1215
|
|
|
|
인도 (델리 술탄국(노예 왕조), 1206)
|
|
|
|
[1206년 ~ 1290년] 델리 술탄국의 첫 번째 왕조인 노예 왕조는 아프가니스탄 지역을 근거지로 둔 구르 왕조의 무하마드가 암살되자 그의 무장이었던 아이바크가 인도 북부 펀자브 지역과 갠지스 평원을 중심으로 독립하여 세운 왕조이다.
|
|
|
|
인도 (델리 술탄국)
|
1206 ~ 1290
|
|
|
|
인도 (델리 술탄국(할지 왕조), [1290)
|
|
|
|
[1290년 ~ 1320년] 1290년에서 1320년까지 델리 술탄국의 전성기를 이끈 왕조이다. 존속기간은 약 30년정도 밖에 안되지만 대대적인 남진정책을 감행하여 인도를 거의 정복했고 몽골의 침입도 격파하였다.
|
|
|
|
인도 (델리 술탄국)
|
1290 ~ 1320
|
|
|
|
인도 (델리 술탄국(투글루크 왕조), 1320)
|
|
|
|
[1320년 ~ 1414년] 델리 술탄국의 세 번째 투르크계 이슬람 왕조로, 알라웃딘이 죽은 뒤 델리 술탄국의 왕위계승을 두고 발생한 최종적인 승리자가 된 기야스웃딘 투글루크가 1320년에 왕위에 오르면서 투글루크 왕조를 개창하였다.
|
|
|
|
인도 (델리 술탄국)
|
1320 ~ 1414
|
|
|
|
인도 (비자야나가라제국, 1336)
|
|
|
|
[1336년 ~ 1646년] 데칸 고원의 비자야나가르에 도읍하여 남인도 지역에 영향력을 떨쳤던 드라비다계 힌두 제국이다. 1336년 하리하라 1세와 그의 동생 부카 등 다섯 형제가 창건하였다.
|
|
|
|
인도 (비자야나가라제국)
|
1336 ~ 1646
|
|
|
|
인도 (델리 술탄국(사이이드 왕조), 1414)
|
|
|
|
[1414년∼1451년] 14세기말 투글루크 왕조의 쇠퇴를 틈타 귀족인 히즈르칸이 1414년 델리를 점령하여 술탄의 지위에 올라 사이이드 왕조를 개창하였다.
|
|
|
|
인도 (델리 술탄국)
|
1414 ~ 1451
|
|
|
|
인도 (델리 술탄국(로디 왕조), 1451)
|
|
|
|
[1451년 ~ 1526년] 1451년에는 로디 왕조가 델리 술탄국을 지배하였으나 1526년에 무굴 제국에 의해 로디 왕조와 델리 술탄국이 멸망하였다.
|
|
|
|
인도 (델리 술탄국)
|
1451 ~ 1526
|
|
|
|
인도 (비자푸르 술탄국, 1489)
|
|
|
|
[1489년 ~ 1687년] 인도의 바흐마니 왕국이 분열을 틈타서 1489년 데칸 지방을 중심으로 독립했던 이슬람 왕국이다.
|
|
|
|
인도 (비자푸르 술탄국)
|
1489 ~ 1687
|
|
|
|
인도 (무굴 제국, 바부르, 1526)
|
|
|
|
[1526년 ~ 1857년] 16세기 초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오늘날의 인도 중부와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에 이르는 지역을 지배한 이슬람 국가이다.
|
|
|
|
인도 (무굴 제국)
|
1526 ~ 1530
|
|
|
|
인도 (무굴 제국, 악바르, 1530)
|
|
|
|
[1526년 ~ 1857년] 16세기 초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오늘날의 인도 중부와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에 이르는 지역을 지배한 이슬람 국가이다.
|
|
|
|
인도 (무굴 제국)
|
1530 ~ 1605
|
|
|
|
인도 (무굴 제국, 아우랑제브, 1605)
|
|
|
|
[1526년 ~ 1857년] 16세기 초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오늘날의 인도 중부와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에 이르는 지역을 지배한 이슬람 국가이다.
|
|
|
|
인도 (무굴 제국)
|
1605 ~ 1707
|
|
|
|
인도 (마이소르 왕국, 1610)
|
|
|
|
[1399년 ~ 1947년] 1610년, 비자야나가르의 왕 벤카타 2세의 통치기에 영주 라자 워디야 1세(재위 1578 - 1617)는 비자야나가르 왕국에서 마이소르 왕국의 독립을 선언하였다.
|
|
|
|
인도 (마이소르 왕국)
|
1610 ~ 1947
|
|
|
|
인도 (마라타 제국, 건국, 1674)
|
|
|
|
[1674년 ~ 1818년] 18세기 인도 아대륙의 상당 부분을 다스렸던 국가이다. 1674년에 시바지 보살레가 차트라파티, 즉 황제로 즉위하며 공식적으로 건국되었으며, 1818년에 페슈와(대재상) 바지라오 2세가 영국 동인도 회사 군대에게 패배하며 멸망하고 말았다.
|
|
|
|
인도 (마라타 제국)
|
1674 ~ 1720
|
|
|
|
인도 (무굴 제국, 아우랑제브 이후, 1707)
|
|
|
|
[1526년 ~ 1857년] 16세기 초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오늘날의 인도 중부와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에 이르는 지역을 지배한 이슬람 국가이다.
|
|
|
|
인도 (무굴 제국)
|
1707 ~ 1720
|
|
|
|
인도 (마라타 제국, 바지라오 1세, 1720)
|
|
|
|
[1674년 ~ 1818년] 18세기 인도 아대륙의 상당 부분을 다스렸던 국가이다. 1674년에 시바지 보살레가 차트라파티, 즉 황제로 즉위하며 공식적으로 건국되었으며, 1818년에 페슈와(대재상) 바지라오 2세가 영국 동인도 회사 군대에게 패배하며 멸망하고 말았다.
|
|
|
|
인도 (마라타 제국)
|
1720 ~ 1758
|
|
|
|
인도 (무굴 제국, 1720~)
|
|
|
|
[1526년 ~ 1857년] 16세기 초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오늘날의 인도 중부와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에 이르는 지역을 지배한 이슬람 국가이다.
|
|
|
|
인도 (무굴 제국)
|
1720 ~ 1758
|
|
|
|
인도 (마라타 제국, 마다브라오 1세, 1758)
|
|
|
|
[1674년 ~ 1818년] 18세기 인도 아대륙의 상당 부분을 다스렸던 국가이다. 1674년에 시바지 보살레가 차트라파티, 즉 황제로 즉위하며 공식적으로 건국되었으며, 1818년에 페슈와(대재상) 바지라오 2세가 영국 동인도 회사 군대에게 패배하며 멸망하고 말았다.
|
|
|
|
인도 (마라타 제국)
|
1758 ~ 1818
|
|
|
|
인도 (무굴 제국, 1758~)
|
|
|
|
[1526년 ~ 1857년] 16세기 초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오늘날의 인도 중부와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에 이르는 지역을 지배한 이슬람 국가이다.
|
|
|
|
인도 (무굴 제국)
|
1758 ~ 1857
|
|
|
|
인도 (영국령인도제국, 1858)
|
|
|
|
[1858년 ~ 1947년] 1877년에 성립된 영국의 식민 제국이었다. 영국 국왕이 인도 황제를 겸임하였다.
|
|
|
|
인도 (영국령인도제국)
|
1858 ~ 1947
|
|
|
【B.C. 3300 년】인더스 문명 (BC 3300)
|
|
|
|
[기원전 3300년 ~ 기원전 1900년] 기원전 3300년~기원전 1900년 무렵에 지금의 파키스탄, 인도의 펀자브 지방, 인더스 강 유역에서 발달한 인도 최초의 문명으로, 세계 4대 문명으로도 손꼽힌다.
|
|
|
|
인도 (인더스문명)
|
B.C. 3300 ~ B.C.1600
|
|
|
|
메소포타미아문명 (수메르, 아카드, 아시리아, BC4000)
|
|
|
|
[기원전 4500년 ~ 기원전 2000년] 수메르 문명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문명으로 그들이 어디서 왔는지는 정확히 모르지만, 수메르인은 대략 기원전 5,500년에서 기원전 4,000년 사이부터 수메르 지방에서 살기 시작하였다.
|
|
|
|
중동 (메소포타미아)
|
B.C. 4000 ~ B.C.1895
|
|
|
|
황하문명
|
|
|
|
[기원전 4500년 ~ 기원전 2000년] 중국의 황허 강 중하류 지역에 성립한 옛 문명의 총칭이다.
|
|
|
|
중국 (황하문명)
|
B.C. 4000 ~ B.C.2070
|
|
|
|
인더스 문명 (BC 3300)
|
|
|
|
[기원전 3300년 ~ 기원전 1900년] 기원전 3300년~기원전 1900년 무렵에 지금의 파키스탄, 인도의 펀자브 지방, 인더스 강 유역에서 발달한 인도 최초의 문명으로, 세계 4대 문명으로도 손꼽힌다.
|
|
|
|
인도 (인더스문명)
|
B.C. 3300 ~ B.C.1600
|
◇ 최근 등재 목록 ◇
|
인도 (마하메가바하나 왕조, 기원전 185년)
|
|
[기원전 2, 1세기 ~ 서기 4세기] 마우리아 제국이 쇠퇴한 이후 칼링가를 지배하던 고대 왕조였다.
|
|
인도 (마하메가바하나 왕조)
|
B.C. 185 ~ 400
|
|
|
|
인도 (서사트라프, 35년)
|
|
[35년 ~ 405년] 서기 1세기 경 쿠샨 제국의 지배를 받던 인도-스키타이인들이 북인도에 건설한 사트라프 국가이다. 데칸 고원의 인도 왕조인 사타바하나와 인접해 있었기 때문에 사타바하나와 자주 충돌하였다.
|
|
인도 (서사트라프)
|
35 ~ 405
|
|
|
|
인도 (바카타카왕조, 250년)
|
|
[250년 ~ 500년] 3세기 중반 데칸에서 시작된 고대 인도 왕조이다.
|
|
인도 (바카타카왕조)
|
250 ~ 500
|
|
|
|
인도 (사타바하나왕조, 기원전 230년)
|
|
[기원전 230년 ~ 서기 225년] 안드라인들에 의해 형성된 고전기 인도의 제국으로, 기원전 230년부터 서기 225년까지 데칸을 중심으로 번영한 국가이다.
|
|
인도 (사타바하나왕조)
|
B.C. 230 ~ 225
|
|
|
|
북아프리카 (무와히드 칼리파국, 1130년~)
|
|
[1130년 ~ 1269년] 베르베르인의 무슬림 칼리파 왕조였으며 12세기에 설립됐다. 모든 북부 아프리카를 정복해 리비아와 알안달루스, 무어인이 지배하던 이베리아반도까지 다스렸다.
|
|
아프리카 (무와히드칼리파국)
|
1130 ~ 1269
|
|
|
|
북아프리카 (무라비트 왕조, 1040년~)
|
|
[1040년 ~ 1147년] 베르베르인이 서사하라 에서 세운 최초의 이슬람 왕조인 베르베르 왕조.
|
|
아프리카 (무라비트 왕조)
|
1040 ~ 1147
|
|
|
|
서아프리카 (송가이 제국, 1464년~)
|
|
[1464년 ~ 1591년] 15세기 ~ 16세기동안 서아프리카에서 부흥한 제국 중 하나였다. 수도는 가오였다.
|
|
아프리카 (송가이제국)
|
1464 ~ 1591
|
|
|
|
서아프리카 (말리 제국, 1235년경~)
|
|
[1235년경 ~ 1670년대] 서아프리카에서 1235년부터 1670년까지 존재했던, 만딩고족이 세운 제국이었다. 순디아타 케이타에 의해 세워졌고,나이저 강을 따라 언어, 법, 관습 등을 퍼뜨렸다.
|
|
아프리카 (말리제국)
|
1235 ~ 1670
|
|
|
|
서아프리카 (가나 제국, 300년~)
|
|
[300년 ~ 1200년 경] 서아프리카에 존재했던 국가였다. 그리고 와가두[4] 제국 또는 가나 왕국으로도 불리기도 했다.
|
|
아프리카 (가나제국)
|
300 ~ 1235
|
|
|
|
서유럽 (아스투리아스 왕국, 718년~)
|
|
[718년 ~ 924년] 스페인 북서부에 존속했었던 기독교 국가이다. 오늘날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기원이 되는 나라이다.
|
|
유럽 (아스투리아스 왕국)
|
718 ~ 924
|
|
|
|
서유럽 (카스티야 왕국, 1065년~)
|
|
[1065년 ~ 1833년] 중세 시대 이베리아 반도의 크고 강력한 상태로 존재했던 왕국이였다.
|
|
유럽 (카스티야 왕국)
|
1065 ~ 1230
|
|
|
|
서유럽 (레온 왕국, 910년~)
|
|
[910년 ~ 1230년] 이베리아반도의 북서쪽에 위치한 독립 왕국이었다. 910년 비스케이만(반도의 북쪽 해안)을 따라 있었던 아스투리아스의 기독교 왕자들이 수도를 오비에도에서 레온으로 옮겼을 때 세워졌다.
|
|
유럽 (레온 왕국)
|
910 ~ 1230
|
|
|
|
서유럽 (나바라 왕국, 824년~)
|
|
[824년 ~ 1841년] 중세 유럽의 한 나라이다. 대서양 연안의 피레네산맥 지역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현재의 바스크 대부분을 영유하고 있었다.
|
|
유럽 (나바라 왕국)
|
824 ~ 1492
|
|
|
|
서유럽 (카스티야 연합왕국, 1230년~)
|
|
[1230년 ~ 1715년] 중세 및 근대에 걸쳐 이베리아반도에 존재했던 국가이다. 1230년 후사가 없어진 레온 왕국의 왕위에 카스티야 왕국의 국왕 페르난도 3세가 즉위하면서 탄생했다.
|
|
유럽 (카스티야 연합왕국)
|
1231 ~ 1492
|
|
|
|
서유럽 (후우마이야 왕조, 756년~)
|
|
[756년 ~ 1031년] 에스파냐 지방에 있었던 이슬람 왕조(756~1031년). 우마이야 왕조가 아바스 왕조에게 멸망되자 옴미아드 왕조의 일족인 압둘라흐만 1세가 에스파냐로 탈출하여 코르도바를 수도로 건국한 왕조를 말한다.
|
|
유럽 (후우마이야 왕조)
|
756 ~ 1031
|
|
|
|
서유럽 (아라곤 왕국, 1035년~)
|
|
[1035년 ~ 1492년] 이베리아반도의 중세 및 초기 근대 왕국이었다.
|
|
유럽 (아라곤 왕국)
|
1035 ~ 1492
|
|
|
|
서유럽 (그라나다왕국, 1238년~)
|
|
[1238년 ~ 1492년] 에스파냐 안달루시아의 도시그라나다를 중심으로 번영했던 이슬람 왕조
|
|
유럽 (그라나다왕국)
|
1238 ~ 1492
|
|
|
|
인도 (무굴 제국, 1758~)
|
|
[1526년 ~ 1857년] 16세기 초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오늘날의 인도 중부와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에 이르는 지역을 지배한 이슬람 국가이다.
|
|
인도 (무굴 제국)
|
1758 ~ 1857
|
|
|
|
인도 (무굴 제국, 1720~)
|
|
[1526년 ~ 1857년] 16세기 초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오늘날의 인도 중부와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에 이르는 지역을 지배한 이슬람 국가이다.
|
|
인도 (무굴 제국)
|
1720 ~ 1758
|
|
|
|
인도 (마라타 제국, 마다브라오 1세, 1758)
|
|
[1674년 ~ 1818년] 18세기 인도 아대륙의 상당 부분을 다스렸던 국가이다. 1674년에 시바지 보살레가 차트라파티, 즉 황제로 즉위하며 공식적으로 건국되었으며, 1818년에 페슈와(대재상) 바지라오 2세가 영국 동인도 회사 군대에게 패배하며 멸망하고 말았다.
|
|
인도 (마라타 제국)
|
1758 ~ 1818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