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구리시 경기도 구리시 정보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저작물 (목치)
경기도 구리시 정보
◈ 구리시의 역사문화자원
◈ 내 고장의 역사적인물 - 고언백(?∼1609), 범경문(1738∼1800), 신잠(1491∼1554), 신종호(1456∼1497), 오억령(1552∼1618), 오익(1574∼1618), 정기원(1559∼1597), 홍응(1428∼1492), 김규식(1880∼1931), 문일평(1888∼1939), 방정환(1899∼1931), 오세창(1864∼1953), 조봉암(1899∼1959), 지석영(1855∼1935) / ◈ 내 고장의 문화유산 - 동구릉, 명빈묘, 아차산성, 고구려 유적, 유물
목   차
[숨기기]
 

1. 역사문화자원

 
 

1.1. 내 고장의 역사적인물

◈ 고언백(?∼1609)
조선 선조 때의 무신. 임진왜란 당시 양주목사로 건원릉을 수호하고 왜적을 물리침. 또한 건원릉의 주산인 검암산 정상에 2대의 고루를 세워 약탈을 일삼던 왜병을 격퇴했다.
 
◈ 범경문(1738∼1800)
조선 후기의 시인으로 인창동 최촌말에 묘가 있다. 17, 18세 때 문장으로 신진사대부들에 이름이 있었으며 여향시인인 김시모, 김진태 등과 창작활동을 하였다.
 
◈ 신잠(1491∼1554)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화가. 시, 서, 화에 능하여 3절로 일컬어졌으며 특히 묵죽(墨竹)과 포도그림을 잘 그렸다. 국립중앙박물관의 심매도와 화조도가 그의 작품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저서로 『영천집』이 있다.
 
◈ 신종호(1456∼1497)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아천동에 묘가 있다. 성종 5년(1474) 성균진사시에 장원급제, 1480년 식년문과에 장원, 감찰에 임명, 1486년 문과중시에 장원이 되어 세 번이나 장원을 함으로써 칭송을 받았다. 문장과 시, 글씨에도 뛰어났으며 저서로는 『삼괴당집』이 있다.
 
◈ 오억령(1552∼1618)
조선 중기 문신. 아천동에 단이 있다. 선조 3년(1570) 사마시, 1582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1601년 부제학으로 청백리에 뽑혔다. 문장이 뛰어났고, 초서, 예서, 전서에 능했다. 저서로 『만취문집』이 있다.
 
◈ 오익(1574∼1618)
조선 중기의 문신. 아천동에 단이 있다. 선조 36년(1603) 진사로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 예문관 봉교로 춘추관 기사관이 되어 임진왜란 때 불탄 실록의 재간에 참여. 글씨에 능하였고 함흥의 『환조정등신도비』 비문을 썼다.
 
◈ 정기원(1559∼1597)
조선 중기의 문신, 교문동에 단과 신도비가 있다. 선조 18년(1585)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문장이 뛰어나고 글씨도 잘 썼다.
 
◈ 홍응(1428∼1492)
조선 초기의 문신, 아천동에 묘가 있다. 문종 1년(1451) 증광문과에 장원급제, 1466년 발영시에 급제, 문장이 뛰어나고 글씨를 잘 썼으며, 어진 재상으로 이름났다.
 
◈ 김규식(1880∼1931)
구지면 사노리 출신으로 독립운동가. 한말에 의병활동 한일합방 후에는 만주에서 무장투쟁, 1963년 정부에서 건국훈장 국민장 추서.
 
◈ 문일평(1888∼1939)
국사학자이자 언론인. 호는 호암. 본관은 남평 묘역이 망우리에 있다.
 
◈ 방정환(1899∼1931)
아동문학가 호는 소파(小波). 망우리에 묘소가 있다.
 
◈ 오세창(1864∼1953)
서예가이자 언론인, 독립운동가 기미독립선언서 33명중 1인. 묘소가 망우리에 있다.
 
◈ 조봉암(1899∼1959)
독립운동가, 초대농림부장관, 호는 죽산(竹山). 묘소가 망우리에 있다.
 
◈ 지석영(1855∼1935)
한말 의사이자 국어학자. 호는 송촌(松村). 우리나라 우두법의 효시자. 망우리에 묘역이 있다.
 
 

1.2. 내 고장의 문화유산

■ 사적
◈ 동구릉 제193호 인창동 산2-1
◈ 명빈묘 제364호 아천동 산14
 
■ 중요무형문화재
◈ 악기장 제42호 교문 1동 보유자 윤덕진
◈ 갈매동 도당굿 도지정 제15호 갈매동
 
■ 유형문화재(도지정)
◈ 나만갑 신도비 제126호 사노동 산170
 
■ 비지정 문화재
◈ 아차산 3층석탑 : 아천동 소재
범굴사 불량권 : 아천동 소재
아차산 석곽분 : 우미내 소재
아차산 보루성 : 아차산 일대의 15개 보루성
 
■ 구리시 보호수(기념물)
◈ 은행나무 도지정 제5-37호 아천동242
◈ 소나무 제5-12-8-1-4호 마을나무 아천동 산 49-2
 
◈ 아차산성
아차산은 백제의 한성시대(기원전 18∼ 475)에 축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1973년 국가지정 사적 제234호로 지정되었다.
 
아차산성은 396년 광개토대왕이 함락한 성 중의 하나로 「광개토왕비」에 나타나 있고 『삼국사기(三國史記)』 에도 475년 고구려 장수왕이 군사 3만을 거느리고 쳐들어와 백제 개로왕을 사로잡아 ‘아단성’에서 참수하였다는 내용이 나오는데 아단성이 지금의 아차산이라고 하는 것이 정설이다.
 
◈ 고구려 유적, 유물
아차산이 고구려 유적·유물의 보고로 관심이 집중된 것은 구리문화원이 1994년 아차산 일대의 지표조사과정에서 고구려의 토기가 출토된 때부터다.
 
서울대 고구려 유적·유물조사단이 아차산 일대의 지표를 조사한 결과 보루성(堡壘城)이라는 소규모 요새지 15곳을 발견하고 우선 두 곳을 발굴한 결과 놀랍게도 지금까지 한반도 전역에서 출토된 고구려 유적·유물보다 많은 1,500여 점의 무기류, 집기류 등이 발굴되어 새삼 구리시의 아차산이 고구려역사의 유적지로 학계로부터 주목을 받게 되었다.
경기도 구리시 정보
• 구리시의 어제와 오늘
• 구리시의 역사문화자원
• 구리시의 생활문화자원
(2005.06.13. 23:51)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