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
|
▣ 참조 유튜브 (최근등록순)
- 하위디렉터리 포함
|
|
음악 > 국악
|
2018.12.10
|
|
|
국립국악원[National Gugak Center]
|
9:12 |
해금/공경진
|
|
|
음악 > 국악
|
2017.12.11
|
|
|
국립국악원[National Gugak Center]
|
8:48 |
해금/윤문숙
|
|
|
음악 > 국악
|
2016.07.05
|
|
|
국립국악원[National Gugak Center]
|
5:34 |
국립국악원 토요정담[2015.05.02.]
|
|
|
음악 > 국악
|
2015.12.07
|
|
|
국립국악원[National Gugak Center]
|
7:05 |
사설시조 ‘눈섭은 수나뷔 앉은 듯···’의 시적 분위기를 음악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단악장 형식으로 전체 3부분으로 구성된다.
|
|
|
음악 > 국악
|
2015.12.07
|
|
|
국립국악원[National Gugak Center]
|
1:36:44 |
이야기 손님/심영순(요리연구가)
|
|
|
음악 > 국악
|
2015.10.12
|
|
|
국립국악원[National Gugak Center]
|
5:25 |
견명곡은 1997년 3월 3일에 작곡된 곡으로 동물을 소재로 작곡한 김영재 선생의 작품인 계명곡, 조명곡과 함께 대표적인 동물 묘사곡이다.
|
|
|
음악 > 국악
|
2015.10.12
|
|
|
국립국악원[National Gugak Center]
|
1:29:06 |
국립국악원 토요정담 - 한복디자이너 이서윤
|
|
|
음악 > 국악
|
2015.09.20
|
|
|
국립국악원[National Gugak Center]
|
11:44 |
다랑쉬는 높은 봉우리라는 제주도 말이며, 1948년 4.3 사건의 아픔이 남아있는 곳으로 이곳의 슬픈 역사를 통해 영감을 얻고 이름 없이 죽어간 이들을 위해 작곡된 곡이다. ‘ⓐ-ⓑ-ⓐ’의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소위 남도 계면조, 서도소리 양식, 서양의 프리지안 선법 등이 사용되었다. 박자는 9/8박으로 일관되지만 빠르기와 리듬형태에 변화를 주었고, 전체적으로 전통적 어법과 서구적 요소의 섬세한 결합이 이루어진 작품이다.
|
|
|
음악 > 국악
|
2015.09.14
|
|
|
국립국악원[National Gugak Center]
|
8:25 |
해금의 김영재 명인이 영남, 호남, 서도 지방의 민속음악 중 슬픈 가락만을 뽑아 엇모리장단에 얹어 작곡한 해금 독주곡이다.
|
|
|
음악 > 국악
|
2015.09.13
|
|
|
국립국악원[National Gugak Center]
|
1:35:00 |
국립국악원 토요정담 - 샹송을 사랑하고, 와인을 즐기는 4차원 여배우 예지원.
|
|
|
음악 > 국악
|
2015.05.10
|
|
|
국립국악원[National Gugak Center]
|
1:20:10 |
이야기손님/전유성(개그맨)
|
|
|
음악 > 국악
|
2015.03.30
|
|
|
국립국악원[National Gugak Center]
|
8:07 |
해금명인 김영재가 경남, 호남, 서도지방의 민속음악 중 슬픈 가락을 뽑아 엇모리 장단에 맞춰 작곡한 곡이다.
|
|
|
|
▣ 카달로그 작업
|
▷ 지식지도 |
▷ 원문/전문 (없음) |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 관련 동영상 |
|
▣ 참조정보
없 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