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가모니가 탄생한 날로 석가 출가일(음력 2월 8일)과 열반일(음력 2월 15일), 성도일(음력 12월 8일) 등과 함께 불교의 4대 명절 중의 하나이다. 이를 초파일(初八日), 불탄일(佛誕日) 등이라고도 한다.
지식 :
석가모니가 탄생한 날로 석가 출가일(음력 2월 8일)과 열반일(음력 2월 15일), 성도일(음력 12월 8일) 등과 함께 불교의 4대 명절 중의 하나이다. 이를 초파일(初八日), 불탄일(佛誕日) 등이라고도 한다.
연원 및 변천
석가모니 부처님의 탄신일인 사월 초파일은 농경 사회의 농한기에 있었던 중요한 민속 명절이었다. 음력 4월 8일이 부처님의 탄신일로 정해진 내력은 분명하지 않으나, 사월 초파일의 연등 행사에 관해서는 고려 의종(毅宗)(1147~1170) 때 내시였던 백선연(白善淵)이 관세음보살의 화상을 모시고 수많은 등을 달아 부처님의 덕을 예양하였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이후 1245년(고종 320) 당시의 집권자였던 최우(崔瑀)(?~1249)가 부처님오신날을 경축하며 연등을 하고 각종 놀이를 했다고 하며, 공민왕(恭愍王)(1330~1374)은 사월 초파일 연등 때 어린이들을 궁중으로 불러 민간에서 성행하던 호기(呼旗) 놀이를 하게 했다고 전하고 있다.
조선 시대의 등 놀이는 절을 중심으로 행해졌지만 대도시에서의 연등 행사는 축제 이상의 의미가 있었다. 등 놀이가 불교 의식과 결합하여 기원 의례의 의미화로 나타난 것이다. 일월등, 종등, 북등, 칠성등, 오행등, 동물 형상 등 다양한 모습을 통해 풍년을 기원하고 마을의 안녕은 물론 수복, 만세의 뜻을 담고 있다. 사월 초파일의 등 놀이는 마을의 축제로서 마을 굿을 연상하게 하며, 동시에 단오제의 민속놀이처럼 농경의 생산을 촉진시키는 역할도 수행한 것이다. 이러한 초파일의 분위기 속에서 민중은 부처님과 천지신명을 아울러 즐겁게 하여 농사의 생장력을 강조하였고, 이런 민속 행사를 통해 생산 활동에서는 활력소를 얻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