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66년부터
1556년까지 볼가 강 인근에 위치한 칸국이었다. 국명의 유래는 투르크인 귀족(Tarqan)의 성지라는 뜻의 하지 타르한(Hajji Tarkhan), 즉 오늘날의
아스트라한으로부터 유래했다.
킵차크 칸국의 계승국들 중 하나이다.
킵차크 칸국이 내부 분열과 쇠퇴를 겪자 15세기 중반
크림 칸국,
카잔 칸국 등과 함께
킵차크 칸국으로부터 떨어져 나왔다. 킵차크 칸국의 대칸 쿠축 무함마드의 손자
카심 1세를 시조로 한다.
아스트라한은 동서방 교역로 사이에 위치한 도시였기 때문에 일찍부터 중개 무역으로 번성했던 곳이었다. 카심 1세의 뒤를 이은
압둘 카림 재위 이후 아스트라한 칸국은 지리적 이점을 잘 이용해 칸국을 통과하는 유목민들과의 무역을 번성시킴으로써 나라를 부강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동서 교역로 사이에 위치했다는 것은 때로는 부작용으로 작용하기도 하였는데, 바로 이민족들의 잦은 침입이었다. 아스트라한 칸국은 대부분이 튀르크 계열 유목민들로 이루어져 있었고, 외부와의 전쟁이 있을 때마다 국가의 지도자인 칸 대신 각기 부족장들이 나섰기 때문에 중앙 정부의 권력이 꽤나 약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아스트라한을 중심으로 삼는 일종의 도시 국가에 가까웠기 때문에 국력이 크림 칸국이나 모스크바 대공국에도 미치지 못했다.
16세기 초부터 격화된 칸위 다툼으로 인해 서서히 무너지기 시작했으며,
크림 칸국과
노가이 칸국의 침공으로 국력을 상당히 소모했다. 게다가 1552년 카잔 칸국을 점령한
루스 차르국의
이반 4세가
1556년을 군대를 이끌고 아스트라한에 쳐들어왔고 끝내 루스 차르국에 병합되어 멸망하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