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유전의 직계로 성량이 거대하고 기법이 출중하여 당대 제1인자였으며, 『춘향가』로
대원군의 총애를 받았다.
전북 순창(淳昌) 출생. 동편제(東便制) 소리를 이어받은 명창으로서, 신재효(申在孝)의 지도를 받아 판소리 이론의 일인자가 되었다. 《춘향가》를 잘 부른 것으로 유명하며, 《춘향가》 중의 <천자풀이>는 당시 아무도 따를 수 없었다 한다. 판소리는 판소리사설 이면(내용)과 발림이 일치하여야 하고, 상성(上聲)과 하성을 사용하는 것도 사설 이면에 따라야 하며, 어단성장(語短聲長)이라 하여 낱말은 짧게 붙이고 말 끝은 길게 소리하여야 한다는 이론을 주장하였다. 특히 《춘향가》를 잘 부른 것으로 유명하며, 《춘향가》 중의 <천자풀이>는 당시 아무도 따를 수 없었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