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59 ~ 1720]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자 외척으로
인현왕후의 오빠이자
민진원과
민진영(閔鎭永)의 형이다. 스승은
송시열이며, 명성황후의 5대조이다. 본관은 여흥.
민유중과
송준길의 딸인 은진 송씨의 아들로 태어났다. 인현왕후와 민진원은 그의 동생들이다. 소년 시절 아버지
민유중과 백부
민정중의 스승이기도 한 송시열의 문하에서 문인으로 수학하였다. 1681년(숙종 7) 생원이 된 뒤 1686년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 정자 (正字)가 되었으나, 1689년(숙종 15년)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집권하자 삭탈관직되어 귀양 갔다. 1694년(숙종 20년)
갑술환국으로 인현왕후가 복위되자 세자시강원 설서(說書)로 복직되었다. 이후 다시 중용되어 사간원정언, 부응교를 거쳐, 97년 충청도관찰사가 되었다. 대사간, 강화부유수, 형조참의, 한성부판윤, 대사간, 의금부 지사 등을 역임했다.
1705년 조선 초기 좌정승 김종서의 죄를 회복하고, 관작의 복구를 청했으나 무산되었다. 1706년 의금부 지사(知事)로서, 유생 임보(林溥)가 세자모해설(世子謀害說)을 발설하여 일어난 옥사 때 왕 앞에서 함부로 논죄하다가 탄핵, 파직되었다. 그러나 의금부판사로 승진했다가 한때 소론의 탄핵으로 귀양을 갔다가 1717년 다시 기용되어 여러 요직을 거쳐 동지사(冬至使)로 청나라에 다녀오고 돈령부판사, 예조판서, 한성부판윤을 거쳐, 1718년 숭록대부에 올랐다. 내국제조(內局提調)로서 홍문관제학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였다. 1719년 의정부 우참찬, 개성부 유수로 있다가 죽었다.
인품이 뛰어나고 문집으로 《지재집》(趾齋集)이 전한다. 시호는 충문(忠文), 경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