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사관학교는 대한민국 육군 장교 양성 기관이며, 서울특별시 노원구에 있다. 화랑대(花郞臺)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대한민국 국방부 육군본부 직할부대로 지휘관인 육군사관학교장은 육군 중장(차관급)이다.
1945년 12월 5일 군사영어학교로 시작하여 1946년 5월 1일 남조선국방경비사관학교, 6월 15일 조선경비사관학교, 1948년 9월 5일에 육군사관학교로 바뀌었다.
남조선국방경비대가 창설되면서 경비사관의 양성을 목적으로 태릉에 설치되었고, 초대교장은
이형근 참령이 맡았다. 군사교육 초기에는 일본식이 많이 혼재해 있었는데 점점 주한 미군 군사고문단의 교육 프로그램에 따라 미국식으로 바뀌었다. 1~9기까지는 군경력자들이 입교하여 단기 교육으로 임관했다. 1949년 10기(생도 1기)부터 정규과정으로 2년제 교육 실시 방침을 세웠으나, 장교수급 문제로 1년으로 단축되었고, 그나마 한국 전쟁의 발발로 많은 동기생을 전쟁터에서 잃은 채 1950년 7월 10일 대전시에서 소위로 임관했다. 1950년 6월 1일 첫 정규 4년제 사관생도들을 모집하여 333명의 생도들이 입교했으나, 입교 24일만에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임관 전인 생도 1기생들과 포천군 방면의 조선인민군을 방어하다가 많은 동기생을 잃었다, 이후, 사관학교가 일시 폐교돼 육군종합학교에서 훈련을 받고 단기 소위로 임관하였다.
이후 1951년 10월에 경상남도 진해시에서 새로운 체제로 재개교하여 정규 4년제로 재편하여 11기 생도들을 선발했고, 정규교육을 하여 1955년 10월 11기생의 임관 시부터 학사 학위를 수여 했다. 다만 육사 11기는 200명을 입교시킨 했으나 한국전쟁에 투입될 것을 우려한 일부 생도들의 자퇴 등으로 인해 실제로는 156명이 임관했다. 1973년 이후 문학사와 공학사 학위도 수여 한다.
1994년 11월 이래 공군사관학교, 해군사관학교와 함께 군사과학대학원을 설치 운영하였으나 2001년 대학원 5기 졸업생을 배출한 이후로 신입생 선발을 하지 않아 잠정적으로 운영이 중단된 상태이다. 1998년부터 여성 생도의 입학이 허용되어 25명의 여성이 입학했다. 육군사관학교는 대한민국 국군의 창군과 이후의 성장 과정에서 영향을 끼쳐왔다.
2000년 6월에 육사병원을 개축했고 2002년 3월에 육사출신 여군장교가 최초 임관했으며, 2003년 1월 에 제1회 심일상 시상식, 2006년 5월에는 개교 60주년 행사가 열렸다. 2007년 11월에는 ISoDoMA를 최초 개최했으며, 2012년 9월에는 대통령 부대표창 수상을 받았다. 2015년 4월에 제1회 육군사관학교장 배 전국 대학생 국궁대회가 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