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계의 조선 개국에 공이 있는 신하들을 위해
1392년 공신으로 봉함.
일등공신(一等功臣)
16人+나중에 추가됨. 나중에 좌명개국(佐命開國) 공신으로 변경
익대보조공신 문하 좌시중(翊戴補祚功臣門下左侍中) 성산백(星山伯)
배극렴(裵克廉)
좌명개국공신 문하 우시중(佐命開國功臣門下右侍中) 평양백(平壤伯)
조준(趙浚)
좌명공신 문하 시랑찬성사 판팔위사(佐命功臣門下侍郞贊成事判八衛事) 상락군(上洛君)
김사형(金士衡)
좌명공신 문하 시랑찬성사 의흥친군위 절제사(佐命功臣門下侍郞贊成事義興親軍衛節制使) 봉화군(奉化君)
정도전(鄭道傳)
좌명개국공신 상의문하부사(商議門下府事) 의흥친군위(義興親軍衛) 도절제사(都節制使) 의안백(義安伯)
이화(李和)
좌명공신(佐命功臣)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 팔위 상장군(八衛上將軍) 계림군(雞林君)
정희계(鄭熙啓)
보조공신(補祚功臣) 참찬문하부사 의흥친군위 절제사(節制使) 청해군(靑海君)
이지란(李之蘭)
좌명공신 판중추원사 의흥친군위 동지절제사(佐命功臣判中樞院事義興親軍衛同知節制使) 의령군(宜寧君)
남은(南誾)
보조공신 지중추원사 의흥친군위 동지절제사(補祚功臣知中樞院使義興親軍衛同知節制使) 화녕군(和寧君)
장사길(張思吉)
보조공신 첨서중추원사(補祚功臣僉書中樞院事) 서원군(西原君)
정총(鄭摠)
보조공신 중추원 부사(補祚功臣中樞院副使) 한산군(漢山君)
조인옥(趙仁沃)
좌명공신 중추원 학사(中樞院學士)겸 사헌부 대사헌(司憲府大司憲) 의성군(宜城君)
남재(南在)
보조 공신 중추원사 의흥친군위 동지절제사(補祚功臣中樞院使義興親軍衛同知節制使) 익화군(益和君)
김인찬(金仁贊)
전각(殿閣)을 세워서 형상을 그리고 비(碑)를 세워 공을 기록
작위(爵位)를 봉하고 토지를 주며
아버지·어머니·아내에게는 3등을 뛰어 올려서 봉작(封爵)을 증직(贈職)
직계 아들에게는 3등을 뛰어 올려서 음직(蔭職), 직계 아들이 없는 사람은 생질(甥姪)과 사위에게 2등을 뛰어 올려서 음직.
적장(嫡長)은 대대로 이어받아 그 녹(祿)을 잃지 않게 함.
자손은 정안(政案, 벼슬아치의 임명 기록장)내에 일등 공신 아무개의 자손이라고 자세히 써서, 비록 범죄가 있더라도 사면
사면권을 영구한 세대(世代)에까지 미치게 할 것
배극렴, 조준 식읍(食邑) 1천 호(戶), 식실봉(食實封) 3백 호, 전지 2백 20결, 노비 30구
이방원, 이방의, 이방간 전지 2백 결, 노비 30구
김사형, 정도전,남은 전지 2백 결, 노비 25구
이제, 이화, 정희계, 이지란, 장사길, 조인옥, 남재, 조박, 정탁 전지 1백 70결, 노비 20구
정총, 오몽을, 김인찬 전지 1백 50결, 노비 15구
이등 공신(二等功臣)
11人, 후에 몇명 더 추가 됨. 나중에 협찬개국(協贊開國)공신으로 변경
보조공신 동지중추원사 의흥친군위 동지절제사(補祚功臣同知中樞院事義興親軍衛同知節制使) 은천군(銀川君)
조기(趙琦)
전각을 세워서 형상을 그리고 비를 세워 공을 기록
아버지·어머니·아내에게는 2등을 뛰어 올려서 봉작을 증직
직계 아들에게는 2등을 뛰어 올려서 음직, 직계 아들이 없으면 생질과 사위에게 1등을 뛰어 올려서 음직
전지 100결, 노비 10구, 구사 5명, 진배파령 8명
적장(嫡長)은 대대로 이어받아 그 녹을 잃지 않게 함.
자손은 정안(政案) 내에 개국 이등 공신 아무개의 자손이라고 자세히 써서, 범죄가 있더라도 사면
사면권을 영구한 세대에까지 미치게 할 것
삼등 공신(三等功臣)
16人, 나중에 익대개국(翊戴開國)공신으로 변경
전각을 세워서 형상을 그리고 비를 세워 공을 기록
아버지·어머니·아내에게는 한 등을 뛰어 올려서 봉작을 증직
직계 아들에게는 1등을 뛰어 올려서 음직, 직계 아들이 없으면 생질과 사위를 녹용(錄用)
전지 70결, 노비 7구, 구사 3명, 진배파령 6명
적장은 대대로 이어받아 그 녹을 잃지 않게 함
자손은 정안(政案) 내에 개국 삼등 공신 아무개의 자손이라고 자세히 써서, 비록 범죄가 있더라도 사면
사면권은 영구한 세대에까지 미치게 할 것
원종 공신(原從 功臣)
1~3등 혹은 4등에 못미치는 공신.
전 문하 평리(門下評理) 유만수(柳蔓殊)·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 최영지(崔永沚)·전 판자혜부사(判慈惠府事) 최단(崔鄲)·참지문하부사(參知門下府事) 김입견(金立堅)·전 밀직사(密直使) 조임(趙琳)·판개성부사(判開城府事) 윤사덕(尹師德)·상의중추원사(商議中樞院事) 황희석(黃希碩), 전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 안주(安柱)·도흥(都興), 전 양광도 병마 도절제사(楊廣道兵馬都節制使) 육여(陸麗)·상의문하부사(商議門下府事) 정요(鄭曜)·전 한양 윤(漢陽尹) 이빈(李彬)·전 안주 목사(安州牧使) 이승원(李承源)·전 광주 등처 병마 절제사(廣州等處兵馬節制使) 최운해(崔雲海), 전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 이무(李茂)·김수익(金受益), 전 개성 윤(開城尹) 구성로(具成老)·상의중추원사(商議中樞院事) 이인수(李仁壽)·전 밀직 부사(密直副使)정자규(鄭子珪)·전 광주 등처 병마 절제사(廣州等處兵馬節制使) 권화(權和)·전 청주 절제사(淸州節制使) 왕승귀(王承貴)·상의중추원사(商議中樞院事)곽충보(郭忠輔)·전 전주 절제사(全州節制使) 진을서(陳乙瑞)·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 이의(李薿)·전 강릉 절제사(江陵節制使) 이옥(李沃)·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 김을귀(金乙貴) 등 213人
나중에 계속 추가 됨.
정당 문학(政堂文學) 이염(李恬) 및 71인, 11인, 595인, 39인 등 추가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