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
1920년 10월에 만주 지방에 있던 북로 군정서(北路軍政署)의 우리 독립군이 화룡현 청산리 계곡에서 5만의 일본군을 맞아 크게 쳐부순 싸움. 청산리 대첩이라고도 한다.
|
|
|
사건 : 역사 > 한국사 > 사건
1920년 10월에 만주 지방에 있던 북로 군정서(北路軍政署)의 우리 독립군이 화룡현 청산리 계곡에서 5만의 일본군을 맞아 크게 쳐부순 싸움. 청산리 대첩이라고도 한다.
1920년 8월 하순에 왕청현 서대파에 주둔하고 있던 북로 군정서의 주력 부대가, 일본군이 우리 독립군에 대해서 협공 작전을 펴기 시작했다는 정보를 얻었다.
이에 독립군은 김좌진 장군을 총사령으로 삼아 화룡현 청산리 백운평 삼림 속에 잠복하고 있다가, 3면으로 청산리를 포위한 일본군의 일부가 백운평 삼림으로 들어섬으로써 첫 전투가 벌어졌다.
이 싸움에서 500여 명의 일본군을 전멸시킨 독립군은 그 날 밤으로 포위망을 뚫고 갑산촌에 이르러 다시 천수평을 공격하여 일본군을 거의 섬멸하였다.
이어 일본군의 사단 사령부가 있던 어랑촌을 전격적으로 공격하여 일대 혈전을 벌인 끝에 대승리를 거두었다.
그 청산리 싸움에서 일본군의 사상자는 3,300여 명에 이르렀고, 우리 독립군도 100여 명의 희생자를 내었다. 이 싸움에서 참패를 당한 일본군은 그 뒤 그 곳의 우리 동포에게 무자비한 보복을 해 왔다.
참가자
청산리독립전쟁 경과
국권침탈 이후 일제의 탄압이 심해지며 조선 내 독립운동이 여의치 않자 많은 독립운동세력은 만주와 연해주로 근거지를 옮겨 무장독립투쟁을 벌이게 된다. 3.1운동으로 힘의 열세를 여실히 느낀 독립운동세력은 신흥무관학교 중심의 서로군정서, 김좌진 장군의 북로군정서, 의병세력 중심의 대한독립단, 광복군, 대한국민회 등을 결성해 일제에 대항할 체계적 군대 조직을 갖추게 된다.
독립군들은 만주와 연해주에 근거를 두고 치고 빠지는 유격대 및 게릴라식 전술로 일본군을 기습공격해 혁혁한 전과를 올렸다. 홍범도의 대한독립군은 1920년 6월, 봉오동에 주둔하던 일본군 1개 대대 병력을 포위, 기습해 대승리를 거뒀고, 이는 일본이 독립군에 대한 본격적인 토벌작전을 벌이게 된 계기가 됐다.
독립군 토벌계획을 세운 일제는 한반도 주둔군과 관동군, 시베리아 출병 부대를 동원해 세 방향에서 독립군을 포위, 공격하기로 결정했다.
일제의 포위망을 피해 주둔지를 이동하던 독립군은 1920년 8월 하순, 훈춘의 일본 영사관을 습격해 얻은 정보로 일군 14사단과 13사단의 일부가 장고봉을 거쳐 남하하고, 나남의 제 21사단이 도문간을 건너 북항하며, 만주철도 수비대가 쑹화강을 건너 서진, 3명으로 북로군정서군을 토벌하려 한다는 정보를 입수했다.
김좌진, 이범석 장군의 북로군정서군과 홍범도 장군의 연합부대는 일본군의 공격을 피하기에 백두산 일대가 적당하다고 보고, 세력 보존을 위해 병력 이동을 결정했다. 연합부대는 산세가 복잡한 청산리의 백운평 골짜기로 제대를 진출시켜 기습포진을 펴고 적을 기다렸고, 9월 10일 기마, 보병, 공병으로 구성된 일본군 1만 병력이 골짜기로 들어오기 시작했다. 아군은 적이 완전히 골짜기로 들어올 때까지 침묵을 지키다가, 이범석 장군의 사격을 필두로 일제히 공격을 개시해 적군 2200명을 사살하는 전과를 올렸다.
적군이 전열을 가다듬고 장기전 태세에 들어가자, 아군은 주력부대가 백운평에 있는 것처럼 위장하고, 120리를 강행해 갑산촌에 도착하며 적의 포위망서 벗어나고, 적 120 기병중대의 정보 문서를 입수해, 19사단 2만 병력을 공격해, 1000명을 사살하는 대승을 거뒀다.
|
◈ 조회순
|
|
2020.05.29
|
|
【문화】
□ 국가보훈처(처장 박삼득)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임병극(1885~미상) 선생을 2020년 6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고 밝혔다.【공훈관리과 - 이영자 (044-202-5780)】
|
|
|
|
2020.05.08
|
|
【문화】
□ 국가보훈처(처장 박삼득)는 청산리 전투를 대승으로 이끌고, 광복 후 초대 국무총리를 지낸 이범석 장군을 추모하고 기리는「철기 이범석 장군 제48주기 추모제」가 오는 11일(월) 오전 10시, 국립서울현충원 이범석 장군 묘전(국가유공자 제2묘역)에서 (사)철기이범석장군기념사업회(회장 박남수) 주관으로 열린다고 밝혔다.【기념사업과 - 정영진 (044-202-5531)】
|
|
|
|
2020.03.15
|
|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17C말 지리정보 어두웠던 조선 관리들, 백두산 차지하려는 淸 속셈 몰라
|
|
|
|
2020.02.17
|
|
【문화】
□ 국가보훈처(처장 박삼득)는 일제강점기 독립군의 최대 승리로 우리민족의 자주독립 역량을 입증한‘청산리대첩 100주년’을 기념하는 ‘독립군가 다시 부르기 경연대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기념사업과 - 김경나 (044)202-5537)】
|
|
|
|
2019.10.21
|
|
【--】
□ 국가보훈처(처장 박삼득)는 ‘제99주년 한국독립군 봉오동?청산리?대전자령 대첩 기념식’이 오는 21일(월) 오전 11시, 국립서울현충원(현충관)에서 (사)한국독립유공자협회(회장 조영진)과 (사)한국광복군동지회(회장 김영관) 공동 주관으로 열린다고 밝혔다.【기념사업과 - 김경나 (044)202-5531)】
|
|
|
|
2019.05.09
|
|
【--】
□ 청산리 전투를 대승으로 이끌고, 광복 후 초대 국무총리를 지낸 이범석 장군을 기리는「철기 이범석 장군 제47주기 추모제」가 10일(금) 오전 11시, 국립서울현충원 현충관에서 (사)철기이범석장군기념사업회(회장 박남수) 주관으로 열린다.【기념사업과 - 표경애 (044-202-5537)】
|
|
|
|
2018.10.19
|
|
【--】
제98주년 한국독립군 3대 대첩 기념식【기념사업과 - 김지숙 (044-202-5531)】
|
|
|
|
2018.05.10
|
|
【--】
철기 이범석 장군 제46주기 추모제【기념사업과 - 이종윤 (044-202-5537)】
|
|
|
◈ 최근등록순
|
|
2020.05.29
|
|
【문화】
□ 국가보훈처(처장 박삼득)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임병극(1885~미상) 선생을 2020년 6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고 밝혔다.【공훈관리과 - 이영자 (044-202-5780)】
|
|
|
|
2020.05.08
|
|
【문화】
□ 국가보훈처(처장 박삼득)는 청산리 전투를 대승으로 이끌고, 광복 후 초대 국무총리를 지낸 이범석 장군을 추모하고 기리는「철기 이범석 장군 제48주기 추모제」가 오는 11일(월) 오전 10시, 국립서울현충원 이범석 장군 묘전(국가유공자 제2묘역)에서 (사)철기이범석장군기념사업회(회장 박남수) 주관으로 열린다고 밝혔다.【기념사업과 - 정영진 (044-202-5531)】
|
|
|
|
2020.03.15
|
|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17C말 지리정보 어두웠던 조선 관리들, 백두산 차지하려는 淸 속셈 몰라
|
|
|
|
2020.02.17
|
|
【문화】
□ 국가보훈처(처장 박삼득)는 일제강점기 독립군의 최대 승리로 우리민족의 자주독립 역량을 입증한‘청산리대첩 100주년’을 기념하는 ‘독립군가 다시 부르기 경연대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기념사업과 - 김경나 (044)202-5537)】
|
|
|
|
2019.10.21
|
|
【--】
□ 국가보훈처(처장 박삼득)는 ‘제99주년 한국독립군 봉오동?청산리?대전자령 대첩 기념식’이 오는 21일(월) 오전 11시, 국립서울현충원(현충관)에서 (사)한국독립유공자협회(회장 조영진)과 (사)한국광복군동지회(회장 김영관) 공동 주관으로 열린다고 밝혔다.【기념사업과 - 김경나 (044)202-5531)】
|
|
|
|
2019.05.09
|
|
【--】
□ 청산리 전투를 대승으로 이끌고, 광복 후 초대 국무총리를 지낸 이범석 장군을 기리는「철기 이범석 장군 제47주기 추모제」가 10일(금) 오전 11시, 국립서울현충원 현충관에서 (사)철기이범석장군기념사업회(회장 박남수) 주관으로 열린다.【기념사업과 - 표경애 (044-202-5537)】
|
|
|
|
2018.10.19
|
|
【--】
제98주년 한국독립군 3대 대첩 기념식【기념사업과 - 김지숙 (044-202-5531)】
|
|
|
|
2018.05.10
|
|
【--】
철기 이범석 장군 제46주기 추모제【기념사업과 - 이종윤 (044-202-5537)】
|
|
|
|
2017.10.23
|
|
【--】
제97주년 한국독립군 봉오동ㆍ청산리ㆍ대전자령 대첩 기념식【기념사업과 - 이종윤 (044-202-5537)】
|
|
|
|
2017.05.10
|
|
【--】
철기 이범석 장군 제45주기 추모제【기념사업과 - 이종윤 (044-202-5537)】
|
|
|
[광고] |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
▣ 카달로그 작업
▣ 참조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