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고려 의종(毅宗)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고려 의종 (毅宗)
[1127 ~ 1173] 고려 제18대 왕(재위 1146~1170년). 이름은 현(晛), 시호는 장효(莊孝)이며, 인종의 맏아들이다.
◈ 지식지도 관계
고려 의종 (毅宗) 1146 1123 고려 인종 (仁宗) 1170 명종 (明宗) 경기체가 (景幾體歌) 동경 민란 (東京民亂) 산대놀이 (山臺戱) 시조 (時調) 전시과 (田柴科) 처용무 (處容舞) 향가 (鄕歌) 향악 (鄕樂) 1170 무신 정권 (武臣政權) 1170년 918 고려 (高麗) 고구려 (高句麗) 신라 (新羅) 후고구려 (後高句麗) 후삼국 (後三國) 12세기 1170년대 1392년 1171년 1172년 1173년 1174년 1176년 1169년 1140년 1145년 1122년 1392 조선 (朝鮮) 713 발해 (渤海) 1075 김부식 (金富軾) 1101 정습명 (鄭襲明) 1106 정중부 (鄭仲夫) 1123 김보당 (金甫當) 1146 이의민 (李義旼) 1055 의천 (義天) 1105 예종 (睿宗) 1119 김돈중 (金敦中) 1154 경대승 (慶大升) 1197 고려 신종 (神宗) 11c말 이자겸 (李資謙) 12C초 이의방 (李義方) 1351 공민왕 (恭愍王) 772 이고 (李翶) 901 궁예 (弓裔) 918 고려 태조 (太祖) 949 광종 (光宗) 984 최충 (崔沖) 도병마사 (都兵馬使) 향학 (鄕學) 1145 삼국사기 (三國史記) 1170 정중부의 난 1173 김보당의 난 1170 무신의 난 (武臣--亂)
◈ 조회순
2024.09.05
006. ‘거제둔덕기성’과 고려왕 ‘의종’ 이야기
【문화】 둔덕면 거림리에는 거제의 20여 개 성곽 중 하나인 거제둔덕기성이 있다. 고려 의종 집권 24년인 1170년 정중부 등 차별받던 무신들 이 문신들을 죽이는 난을 일으켰다. 의종과 그를 따르는 신하, 가족들은 거제 기성현으로 피하여 왔다.
2024.09.02
III. 2. 전하도
【문화】 거제도 사등면 견내량 마을은 임진왜란 당시 한산도 두억포에 있는 통제영을 지키는 중요한 방어 역할을 한 곳이었답니다. 그리고 통영군인 견유 마을에는 관해루가 있어 바다 풍경이 너무 아름다웠지요. 이 아름다운 풍경은 모두의 마음을 평화롭게 했어요. 그러나 거제군 쪽에 있던 무이루는 섬을 침범하는 오랑캐들이 많아 전쟁을 대비하여 감시하는 초소 역할을 했습니다.
2024.08.31
27. 폐왕성과 마고할미
【문화】 둔덕면 거림리 우봉산 줄기의 작은 봉우리 산정에 머리보다 약간 큰 자연석으로 끝을 가지런히 맞대어 겹겹이 쌓아 올린 성으로 고려 의종 24년(1170년) 에 일어난 정중부 무신의 난 때 왕이 폐위되어 거제도로 추방되어 3년간 지내던 곳이어서 폐왕성이라 부르고 있다. 성 밖은 석축의 기단부 주위에 둘을 쌓아 외부로부터 적을 경계하는 참호로 사용한 듯하며, 성의 서쪽과 서남쪽 산등성이에는 성곽이 쌓여져 있다.
2024.09.02
I. 7. 산방산과 삼신굴
【문화】 둔덕면 산방산은 고려 의종의 유배지인 둔덕기성을 마주하고 있습니다. 산철쭉, 진달래가 피는 봄이 오면 연분홍 꽃잎들이 꽃비처럼 내리며 장관을 이룹니다. 하늘과 땅의 경계마저 사라져, 산방산으로 가는 길은 온통 꽃 천지입니다.
 
◈ 최근등록순
2024.09.05
006. ‘거제둔덕기성’과 고려왕 ‘의종’ 이야기
【문화】 둔덕면 거림리에는 거제의 20여 개 성곽 중 하나인 거제둔덕기성이 있다. 고려 의종 집권 24년인 1170년 정중부 등 차별받던 무신들 이 문신들을 죽이는 난을 일으켰다. 의종과 그를 따르는 신하, 가족들은 거제 기성현으로 피하여 왔다.
2024.09.02
III. 2. 전하도
【문화】 거제도 사등면 견내량 마을은 임진왜란 당시 한산도 두억포에 있는 통제영을 지키는 중요한 방어 역할을 한 곳이었답니다. 그리고 통영군인 견유 마을에는 관해루가 있어 바다 풍경이 너무 아름다웠지요. 이 아름다운 풍경은 모두의 마음을 평화롭게 했어요. 그러나 거제군 쪽에 있던 무이루는 섬을 침범하는 오랑캐들이 많아 전쟁을 대비하여 감시하는 초소 역할을 했습니다.
2024.09.02
I. 7. 산방산과 삼신굴
【문화】 둔덕면 산방산은 고려 의종의 유배지인 둔덕기성을 마주하고 있습니다. 산철쭉, 진달래가 피는 봄이 오면 연분홍 꽃잎들이 꽃비처럼 내리며 장관을 이룹니다. 하늘과 땅의 경계마저 사라져, 산방산으로 가는 길은 온통 꽃 천지입니다.
2024.08.31
27. 폐왕성과 마고할미
【문화】 둔덕면 거림리 우봉산 줄기의 작은 봉우리 산정에 머리보다 약간 큰 자연석으로 끝을 가지런히 맞대어 겹겹이 쌓아 올린 성으로 고려 의종 24년(1170년) 에 일어난 정중부 무신의 난 때 왕이 폐위되어 거제도로 추방되어 3년간 지내던 곳이어서 폐왕성이라 부르고 있다. 성 밖은 석축의 기단부 주위에 둘을 쌓아 외부로부터 적을 경계하는 참호로 사용한 듯하며, 성의 서쪽과 서남쪽 산등성이에는 성곽이 쌓여져 있다.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정중부의 난 (6) 백과 고려 가요 (5) 백과 정서 (4) 백과 정중부 (4) 백과 고려 인종 (3) 백과 이의방 (3) 백과 정과정곡 (3) 백과 1172년 (2) 백과 1173년 (2) 백과 고려 (2) 백과 김보당의 난 (2) 백과 악학궤범 (2) 백과 예종 (2) 백과 이광필 (2) 백과
◈ 참조 키워드
거제시 (3) 백과 둔덕기성 (2)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고려의 임금.
인종 > 18. 의종 > 명종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