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을사늑약(乙巳勒約)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을사늑약 (乙巳勒約)
1905년(광무 9년) 11월 17일에 일본이 우리 나라의 식민지화 계획의 예비 수단으로 대한 제국의 외교권을 빼앗기 위해 강제로 맺은 조약. 제2차 한·일 협약, 또는 을사5 조약이라고도 한다.
을사늑약 (乙巳勒約) 1905년(광무 9년) 11월 17일에 대한 제국의 외교권을 빼앗기 위해 강제로 맺은 조약. 제2차 한·일 협약이라고도 한다. 러·일 전쟁을 승리로 이끈 일본은 우리 나라에 대한 식민지화 정책을 노골적으로 드러내어, 궁궐을 포위하고 무력 시위를 벌이면서 을사조약 체결을 강요하였다. 고종과 내각은 조약 체결을 정식으로 거부하였으나, 이토 히로부미가 적극 반대하는 참정 대신 한규설을 일본 헌병을 시켜 회의장에서 끌어 내고, 이른바 5적인 이완용, 박제순, 이지용, 이근택, 권중현에게 조약안에 서명하도록 하였다. 그러고는 이재극을 통해 황제의 재가를 강요한 다음, 그 날로 외무 대신 박제순과 일본의 특명 전권 공사 하야시 곤스케와의 사이에 조인 체결하게 했다.
◈ 지식지도 관계
을사늑약 (乙巳勒約) 1905 조약 (條約) 1860 천도교 (天道敎) 1904 한·일 의정서 국제 조약 (國際條約) 1910 일제 강점기 대한 민국 (大韓民國) 북한 (北韓) 1897 대한 제국 (大韓帝國) 1905년 20세기 (20世紀) 1900년대 1900년 1901년 1902년 1903년 1904년 1906년 1907년 1908년 1909년 1910년 1897년 1841 이토 히로부미 (伊藤博文) 1854 권중현 (權重顯) 1858 박제순 (朴齊純) 1858 이완용 (李完用) 1860 하야시 곤스케 (林権助) 1864 이재극 (李載克) 1865 이근택 (李根澤) 1870 이지용 (李址鎔) 1880 한규설 (韓圭卨) 1815 흥인군 (興寅君) 1820 흥선 대원군 1821 이호준 (李鎬俊) 1848 가쓰라 다로 (桂 太郎) 1852 데라우치 마사타케 1854 이윤용 (李允用) 1856 유길준 (兪吉濬) 1858 송병준 (宋秉畯) 1861 손병희 (孫秉熙) 1863 조선 고종 (高宗) 1868 이용구 (李容九) 1879 안중근 (安重根) 1905 을사 5적 (乙巳五賊) 1907 정미7적 (丁未七賊) 1910 경술국적 (庚戌國賊) 1905 통감부 (統監府) 1896 독립 협회 (獨立協會) 1904 일진회 (一進會) 1904 러·일 전쟁 (--日戰爭) 1905 가쓰라·태프트 밀약 1905 모로코 사건 1910 경술국치 (庚戌國恥)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을사늑약(제2차 한·일 협약) 국제법(근대이전) 박제순 / 하야시 곤스케 (25)
◈ 조회순
2019.11.13
을사늑약(조약) 장소, 중명전(重眀殿)
【여행】 올 11월 17일은 을사늑약(乙巳勒約, 1905년 대한 제국과 일본 사이에 강제로 맺은 무효 조약으로 학창시절 을사보호조약이라 배움)이 체결된 지 114년 되는 날로 이날을 잊지말자고제정한 순국선열의 날이기도 하다.
2024.04.11
「여수 거문도 근대역사문화공간」 , 「민영환 유서(명함) 」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 예고
【문화】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여수 거문도 근대역사문화공간」, 「민영환 유서(명함)」를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 예고하였다.【근대문화재과】
2019.11.18
【정치】  
2019.07.29
【--】 요즘 한일 갈등의 단초가 되는 1965년 "대한민국과 일본국 간의 기본관계에 관한 조약(약칭: 한일기본조약, 4개 협정과 25개 문서로 구성)"이 궁금해 더 알아본다. 1965년 한일기본조약을 조인했음에도 일제 강점기가 "불법"이라는 한국과 국제법상 "합법"이라는 일본이 인식차가 발생하는 이유는 이 조약이 비법률가에 의해 작성되었고 한국의 경제발전 자금을 급하게 조달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주장해 조약 문서가 조인된 지 40년이 지나 2005년에 비로소 공개되었다.
 
◈ 최근등록순
2024.04.11
「여수 거문도 근대역사문화공간」 , 「민영환 유서(명함) 」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 예고
【문화】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여수 거문도 근대역사문화공간」, 「민영환 유서(명함)」를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 예고하였다.【근대문화재과】
2019.11.18
【정치】  
2019.11.13
을사늑약(조약) 장소, 중명전(重眀殿)
【여행】 올 11월 17일은 을사늑약(乙巳勒約, 1905년 대한 제국과 일본 사이에 강제로 맺은 무효 조약으로 학창시절 을사보호조약이라 배움)이 체결된 지 114년 되는 날로 이날을 잊지말자고제정한 순국선열의 날이기도 하다.
2019.07.29
【--】 요즘 한일 갈등의 단초가 되는 1965년 "대한민국과 일본국 간의 기본관계에 관한 조약(약칭: 한일기본조약, 4개 협정과 25개 문서로 구성)"이 궁금해 더 알아본다. 1965년 한일기본조약을 조인했음에도 일제 강점기가 "불법"이라는 한국과 국제법상 "합법"이라는 일본이 인식차가 발생하는 이유는 이 조약이 비법률가에 의해 작성되었고 한국의 경제발전 자금을 급하게 조달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주장해 조약 문서가 조인된 지 40년이 지나 2005년에 비로소 공개되었다.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총 14 개) [모두보기]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1905년 (10) 백과 이토 히로부미 (10) 백과 러·일 전쟁 (8) 백과 박제순 (8) 백과 을사 5적 (8) 백과 한·일 신협약 (7) 백과 송병준 (6) 백과 안중근 (6) 백과 1909년 (5) 백과 나철 (5) 백과 이완용 (5) 백과 통감부 (5) 백과 1904년 (4) 백과 1906년 (4) 백과 1907년 (4) 백과 1910년 (4) 백과 경술국치 (4) 백과 대한 민국 건국 공로 훈장 (4) 대한 제국 (4) 백과 을미사변 (4) 백과 의병 (4) 백과 한·일 의정서 (4) 백과 한국의 독립운동 (4) 백과 헤이그 특사 사건 (4) 백과 1908년 (3) 백과 갑신정변 (3) 백과 건국 공로 훈장 (3) 백과 권중현 (3) 백과 대종교 (3) 백과 만국 평화 회의 (3) 백과 명성 황후 (3) 백과 쓰시마섬 (3) 백과 아관 파천 (3) 백과 이용구 (3) 백과 이지용 (3) 백과 일진회 (3) 백과 임오군란 (3) 백과 조선 고종 (3) 백과 조선 철종 (3) 백과 최익현 (3) 백과 하얼빈 의거 (3) 백과 홍주성전투 (3) 백과 흥선 대원군 (3) 백과 1900년 (2) 백과 1901년 (2) 백과 1902년 (2) 백과 1903년 (2) 백과 20세기 (2) 백과 가쓰라·태프트 밀약 (2) 백과 갑오개혁 (2) 백과 경술국적 (2) 백과 대한 독립 의군부 (2) 백과 대한 매일 신보 (2) 백과 대한 자강회 (2) 백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2) 백과 덕수궁 (2) 백과 동양척식주식회사 (2) 백과 동학 운동 (2) 백과 민겸호 (2) 백과 민종식 (2) 백과 서전 서숙 (2) 백과 시일야 방성 대곡 (2) 을사오적 암살단 (2) 백과 이근택 (2) 백과 이상설 (2) 백과 이위종 (2) 백과 이준 (2) 임병찬 (2) 백과 장지연 (2) 백과 조선 순종 (2) 백과 진보회 (2) 백과 창경궁 (2) 백과 창덕궁 (2) 백과 포츠머스 조약 (2) 백과 하야시 곤스케 (2) 백과 홍순목 (2) 백과 홍영식 (2) 백과
◈ 참조 키워드
시일야방성대곡 (4) 헤이그 특사 (4) 만국 평화 회의 (3) 백과 장지연 (3) 백과 고종 (2) 러·일 전쟁 (2) 백과 민영환 (2) 백과 순국선열의 날 (2) 이완용 (2) 백과 이위종 (2) 백과 이토 히로부미 (2) 백과 포츠머스 조약 (2) 백과 헤이그밀사 (2) 황성 신문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