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울진군(蔚珍郡)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울진군 (蔚珍郡)
경상 북도 북동쪽 끝에 자리잡고 있는 군. 서쪽 경계에 태백 산맥이 뻗어 높은 산들이 솟아 동해 에 면하여 급한 경사를 이룬다. 해안 지대를 따라서 약간의 평지가 있다.
▣ 울진군의 마을 (하위)
◈ 지식지도 관계
울진군 (蔚珍郡) 대한불교 조계종 누정 (樓亭) 해돋이 명소 경상 북도 (慶尙北道) 백암 온천 울진 성류굴 관동 팔경 (關東八景) 651년 617 원효 (元曉) 625 의상 (義湘) 불영사 (佛影寺) 불국사 (佛國寺) 월송정 (越松亭) 망양정 (望洋亭) (미정의) 덕구온천
▣ 주요 정보
◈ 조회순
2024.05.18
울진현
【인문】 【세종실록지리지 - 강원도 > 울진현】본래 고구려의 우진야현(于珍也縣)인데, 신라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고쳐서 군(郡)으로 하였고, 고려에서 울진현이라 일컬었으며, 본조에서도 그대로 따랐다. (현의 사람들이 전하기를, “옛 이름은 半伊郡, 또는 仙槎郡이었다” 한다)
2019.12.11
【행정】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2020년 5월 29일에 열릴 예정인 ‘제25회 바다의 날 기념식’ 개최지로 경북 울진군을 선정하였다.【해양정책과 - 정재관 (044-200-5223)】
2025.04.15
【문화】 - 백극재란 인물이 울진 현령으로 임명되어 임지로 내려가던 중 급서했는데, 그의 아내가 불영사에서 관을 놓고 지극히 기도하자 다시 살아났다는 이야기 옛날 광산 백극재 선생이 울진 현령으로 임명되었다. 하지만 임지로 내려가는 도중 갑자기 전염병에 걸려 세상을 떠났다.
2025.04.15
【문화】 의상대사가 당나라에서 귀국하여 화엄법회를 열고 교화에 힘쓸 때였다. 어느 날 노인 한 사람이 8명의 동자를 데리고 의상대사를 찾아왔다. 『대사시여! 우리는 동해안을 수호하는 호법 신장이옵니다. 이제 인연이 다하여 이곳을 떠나면서 스님께 부탁드릴 말씀이 있어 이렇게 찾아왔습니다.』
2025.04.15
【문화】 조선 숙종의 왕후인 인현왕후 민씨는 여양부원군 민유중의 따님으로 30의 젊은 나이로 돌아가신 인경왕후의 다음 왕비로서 대비전이 친히 중전으로 간택한 왕후이며, 가례를 지낸지 6년이 지나도 태기가 없으므로 크게 걱정하여 스스로 왕께 후궁을 간택할 것을 아뢰었으나, 왕께서는 왕후의 나이가 어림을 이유로 후궁을 맞기를 주저하니, 몇 차례의 간곡한 아룀에 마지못하여 후궁 간택의 전교를 내리고 희빈 장씨를 맞이하였다.
2025.04.15
【문화】 불교에서는 동지팥죽에 얽힌 설화가 있다. 갑오년(1892) 동지 날에 있었던 일이다. 경북울진 불영사 공양주 스님이 새벽에 일어나 팥죽을 쑤려고 부엌으로 갔다. 아궁이에 불을 지피려고 살펴보니 불씨는 꺼지고 재만 남아 있었다. 팥죽을 쑤어 부처님께 공양을 올려야 하는데 절 안에 남은 불씨는 없고, 언제 불을 지펴 죽을 쑬 지 공양주 스님은 앞이 캄캄하기만 했다.
2025.04.15
【문화】 불영사(佛影寺)는 울진군 서면 불영사길 48 천축산(天竺山)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11교구 본사 불국사의 말사이다. 불영사가 자리한 불영사 계곡은 명승 제6호로 지정된 15㎞에 이르는 길고도 장엄한 계곡이다. 예전에는 워낙 교통이 불편하여 찾는 이가 많지 않았으나 1985년 불영사 계곡을 끼고 달리는 36번 국도가 포장되면서 여름철 피서지로 각광을 받게 되었다.
2024.05.18
평해군
【인문】 【세종실록지리지 - 강원도 > 평해군】본래 고구려의 근을어(斤乙於)인데, 고려에서 평해군(平海郡)으로 고쳤고, 현종(顯宗) 때에 예주(禮州) 임내를 삼았다가, 명종(明宗) 2년 임진(壬辰)에 비로소 감무를 두고, 충렬왕(忠烈王) 때에 토성(土姓)의 첨의평리(僉議評理) 황서(黃瑞)가 임금을 따라 원나라에 들어가서, 임금을 모시고 돌아온 공으로 인하여 지평해군사(知平海郡事)로 승격하였는데, 본조에서도 그대로 따랐다.
 
◈ 최근등록순
2025.04.15
【문화】 - 백극재란 인물이 울진 현령으로 임명되어 임지로 내려가던 중 급서했는데, 그의 아내가 불영사에서 관을 놓고 지극히 기도하자 다시 살아났다는 이야기 옛날 광산 백극재 선생이 울진 현령으로 임명되었다. 하지만 임지로 내려가는 도중 갑자기 전염병에 걸려 세상을 떠났다.
2025.04.15
【문화】 의상대사가 당나라에서 귀국하여 화엄법회를 열고 교화에 힘쓸 때였다. 어느 날 노인 한 사람이 8명의 동자를 데리고 의상대사를 찾아왔다. 『대사시여! 우리는 동해안을 수호하는 호법 신장이옵니다. 이제 인연이 다하여 이곳을 떠나면서 스님께 부탁드릴 말씀이 있어 이렇게 찾아왔습니다.』
2025.04.15
【문화】 조선 숙종의 왕후인 인현왕후 민씨는 여양부원군 민유중의 따님으로 30의 젊은 나이로 돌아가신 인경왕후의 다음 왕비로서 대비전이 친히 중전으로 간택한 왕후이며, 가례를 지낸지 6년이 지나도 태기가 없으므로 크게 걱정하여 스스로 왕께 후궁을 간택할 것을 아뢰었으나, 왕께서는 왕후의 나이가 어림을 이유로 후궁을 맞기를 주저하니, 몇 차례의 간곡한 아룀에 마지못하여 후궁 간택의 전교를 내리고 희빈 장씨를 맞이하였다.
2025.04.15
【문화】 불교에서는 동지팥죽에 얽힌 설화가 있다. 갑오년(1892) 동지 날에 있었던 일이다. 경북울진 불영사 공양주 스님이 새벽에 일어나 팥죽을 쑤려고 부엌으로 갔다. 아궁이에 불을 지피려고 살펴보니 불씨는 꺼지고 재만 남아 있었다. 팥죽을 쑤어 부처님께 공양을 올려야 하는데 절 안에 남은 불씨는 없고, 언제 불을 지펴 죽을 쑬 지 공양주 스님은 앞이 캄캄하기만 했다.
2025.04.15
【문화】 불영사(佛影寺)는 울진군 서면 불영사길 48 천축산(天竺山)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11교구 본사 불국사의 말사이다. 불영사가 자리한 불영사 계곡은 명승 제6호로 지정된 15㎞에 이르는 길고도 장엄한 계곡이다. 예전에는 워낙 교통이 불편하여 찾는 이가 많지 않았으나 1985년 불영사 계곡을 끼고 달리는 36번 국도가 포장되면서 여름철 피서지로 각광을 받게 되었다.
2024.05.18
울진현
【인문】 【세종실록지리지 - 강원도 > 울진현】본래 고구려의 우진야현(于珍也縣)인데, 신라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고쳐서 군(郡)으로 하였고, 고려에서 울진현이라 일컬었으며, 본조에서도 그대로 따랐다. (현의 사람들이 전하기를, “옛 이름은 半伊郡, 또는 仙槎郡이었다” 한다)
2024.05.18
평해군
【인문】 【세종실록지리지 - 강원도 > 평해군】본래 고구려의 근을어(斤乙於)인데, 고려에서 평해군(平海郡)으로 고쳤고, 현종(顯宗) 때에 예주(禮州) 임내를 삼았다가, 명종(明宗) 2년 임진(壬辰)에 비로소 감무를 두고, 충렬왕(忠烈王) 때에 토성(土姓)의 첨의평리(僉議評理) 황서(黃瑞)가 임금을 따라 원나라에 들어가서, 임금을 모시고 돌아온 공으로 인하여 지평해군사(知平海郡事)로 승격하였는데, 본조에서도 그대로 따랐다.
2024.02.28
문화재청, 호국선열의 넋 깃든 국가유산 순의제향 등 20건 선정해 지원
【문화】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호국선열의 충의를 기리기 위하여 조성되거나 역사적 사건·인물과 관련되어 있는 국가유산에서 개최되는 기념행사를 국비로 지원하는 「국가유산 호국선열 기념행사 지원사업」을 올해부터 신규 추진하기로 하고, 올해 지원 사업으로 사적 「진주성」에서 개최되는 임진왜란 3대첩인 진주대첩 순의제향 행사, 시도기념물 「울진 대풍헌」에서 열리는 울진 수토문화제 등 20건을 선정했다.【보존정책과】
2019.12.12
【행정】      2020년 5월, 울진 국립해양과학관 개관식과 더불어 개최 예정 【항만물류과】
2019.12.11
【행정】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2020년 5월 29일에 열릴 예정인 ‘제25회 바다의 날 기념식’ 개최지로 경북 울진군을 선정하였다.【해양정책과 - 정재관 (044-200-5223)】
2019.10.31
【--】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100대 국정과제*로 추진 중인 「해양폐기물 및 해양오염퇴적물 관리법안」을 비롯한 해양수산부 소관 법률 제 · 개정안 7건이 31일(목)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다고 밝혔다.【규제개혁법무담당관 - 황혜영 (044-200-5164)】
2019.10.13
【행정】 □ 이 총리의 이번 방문은 태풍 미탁(MITAG)이 지나간 직후인, 지난 10월 4일(금) 강원도 삼척시 피해현장 점검 이후, 두번째 현장 점검입니다.【사회조정실】
2019.10.10
【재해】 정부는 10월 10일 제18호 태풍 ‘미탁’으로 큰 피해를 입은 강원도 삼척시와 경상북도 울진군, 영덕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고 국가 지원을 확대합니다.【복구지원과 신영섭(044-205-5314)】
2019.10.07
【재해】      행정부지사, 행정안전부 장관, 태풍 피해지역 방문... 응급복구 신속 마무리 당부 【자연재난과】
2019.10.06
【재해】      경상북도 의용소방대, 영덕, 울진으로 바쁜 발걸음... 복구활동에 구슬땀      경북소방본부, 휴일도 반납한 채 실종자 수색에 전념 【소방본부】
2019.10.04
【행정】 □ 이낙연 국무총리는 오늘 오전 09시경 부산 사하구 구평동에서 발생한 야산 토사유출 매몰사고와 울진군 울진읍에서 발생한 해안가 사면 붕괴 매몰사고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지시했습니다.【사회조정실】
2019.09.30
【관광】      전국공모 선발된 10-60대 남녀노소 80명 9박10일간의 대장정 출발      울진→영덕→포항→경주→울릉 지질명소 따라 총 600㎞ 대장정 【환경정책과】
2019.07.28
【행정】 우수기관에는 영천․경산지역자활센터 2곳 선정 【사회복지과】
2019.07.25
【재해】 7월 21일 11시 04분 경북 상주시에 규모 3.9 지진 발생에 이어 7월 25일 01시 46분 경북 울진군 북동쪽 58km 해역에서도 규모 2.7 지진이 발생했다.【자연재난과 (280-3007)】
2017.10.17
초짜 선원 전두성의 항해일지 6 (Fin)
【여행】 2017년 9월 10일부터 20일까지 범선 코리아나 호에 승선하여 여수-부산-후포 간을 왕복 항해한 기록 / 여덟째 날 (9월 17일 일요일) / 아침부터 비가 내린다. / 이제 독도 항해 계획은 사라져 버렸고 요트협회의 용선계약은 오늘까지다. / 오전에 선원 세 분, 궁인창, 이효웅, 구영국 님이 하선하여 귀가하였다.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경상 북도 (16) 백과 관동 팔경 (3) 백과 누정 (3) 백과 651년 (2) 백과 국무 총리 (2) 백과 의상 (2) 백과 천연 기념물 (2) 백과 해양수산부 (2) 백과
◈ 참조 키워드
불영사 (5) 백과 설화 (4) 백과 영덕군 (4) 백과 불영사 계곡 (3) 여수시 (3) 백과 갈매마을 (2) 곰치 (2) 곰치탕 (2) 곰치회 (2) 꽁치젓갈 (2) 대게 (2) 덕구계곡 (2) 문경시 (2) 백과 바다의날 (2) 백과 생달계곡 (2) 영동군 (2) 백과 원곡마을 (2) 의상 (2) 백과 추풍령역 (2) 태풍 미탁 (2) 특별재난지역 (2) 황장산 (2) 후포항 (2)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 마을 소식 (없음)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주요 정보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분류정보 (상위)
(C) 경상북도의 마을
포항시 (浦項市)
경주시 (慶州市)
김천시 (金泉市)
안동시 (安東市)
구미시 (龜尾市)
영주시 (榮州市)
영천시 (永川市)
상주시 (尙州市)
문경시 (聞慶市)
경산시 (慶山市)
군위군 (軍威郡)
의성군 (義城郡)
청송군 (靑松郡)
영양군 (英陽郡)
영덕군 (盈德郡)
청도군 (淸道郡)
고령군 (高靈郡)
성주군 (星州郡)
칠곡군 (漆谷郡)
예천군 (醴泉郡)
봉화군 (奉化郡)
울진군 (蔚珍郡)
울릉군 (鬱陵郡)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