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현종 때 상복을 입는 문제로 일어난 두 차례의 당파 싸움(서인 <-> 남인).
조선 후기에 차남으로 왕위에 오른 효종의 정통성과 관련하여 1659년 효종 승하 시와 1674년 효종비(妃) 인선왕후의 승하 시에 두 차례에 걸쳐 일어났다. 이때 인조의 계비 자의대비의 복제가 쟁점이 되었기 때문에 복상문제(服喪問題)라고도 부른다.
서인은 효종이 적장자가 아님을 들어 왕과 사대부에게 동일한 예가 적용되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1년설과 9개월설을 주장하였고, 남인은 왕에게는 일반 사대부와 다른 예가 적용되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3년설과 1년설을 각각 주장하여 대립하였다. 당초
허목,
윤휴와
송시열의 예론대결로 흘러가던 중
윤선도가 송시열은 효종의 정통성을 부정했다고 지적하였고, 이 사건을 계기로 예송은 토론에서 이념 대립으로 격화된다. 효종상인
기해예송(1차)과 인선왕후상인
갑인예송(2차)으로 두차례 전개되었다.
제1차 예송 논쟁은 1659년 효종이 세상을 떠나자, 효종의 계모인 자의 대비 조씨가 몇 년 동안 상복을 입어야 하는가의 문제로 일어났다. 이 때 남인은 3년을 주장하고, 서인은 1년을 주장하였는데 결국은 서인의 의견이 받아들여졌다.
제2차는 1674년 효종의 왕비인 인선 대비 장씨가 죽자 또다시 자의 대비 조씨가 상복을 입는 기간에 대한 문제로 일어났다. 여기서 서인은 9개월을, 남인은 1년을 주장하였다. 이 싸움은 단순한 예송 논쟁에서 벗어나 정권 쟁탈 싸움으로 이어져 서인은 쫓겨나고 남인이 권력을 잡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