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
십간을 천간(天干), 십이지를 지지(地支)라고도 하며, 이것을 아울러 줄여서 간지(干支)라고도 한다. 십간은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등의 10가지이며, 십이지는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의 12가지이다.
|
|
|
지식 : 사회과학 > 문화.풍속.민속
십간을 천간(天干), 십이지를 지지(地支)라고도 하며, 이것을 아울러 줄여서 간지(干支)라고도 한다.
역법(曆法)의 연, 월, 일, 시나 방향을 나타내기 위하여 고대 중국에서 창안된 것이다.
십간은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등의 10가지이며, 십이지는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의 12가지이다.
십간과 십이지를 짝맞추어 나가면 60가지의 간지가 이루어진다. 이를 육십 갑자 또는 육갑이라 한다.
이들 60가지의 간지 를 해마다 하나씩 배당해 태세(太歲) 또는 세차(歲次)라 하고, 다달에 배당하여 월건(月建)이라 하며, 나날에 배당하여 일진(日辰)이라 한다.
우리 나라에서는 예로부터 60회째 생일에 회갑(回甲) 잔치를 하는 풍습이 있는데, 이 회갑 또는 환갑(還甲)이라는 말은 태어난 해의 간지와 똑같은 간지의 해가 돌아왔다는 뜻이다.
십이지는 중국 은대(殷代)부터, 십간은 한대(漢代)부터 있어 왔으며, 이를 짝맞추어 연월 등의 차례를 짓게 된 것은 후한(後漢) 시대이고, 다시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 등의 오행(五行)과 배합시켜 그 결합으로 길흉을 판단하는 풍습이 생겼다.
또한 십이지를 쥐(자), 소(축), 범(인), 토끼(묘), 용(진), 뱀(사), 말(오), 양(미), 원숭이(신), 닭(유), 개(술), 돼지(해)의 12가지 동물로 상징하기도 한다.
|
|
▣ 참조 카달로그
|
|
◈ 주요 언급 키워드
|
|
|
[광고] |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
▣ 카달로그 작업
|
▶ 지식지도 |
▷ 원문/전문 (없음) |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 관련 동영상 (없음) |
|
▣ 참조정보
없 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