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박효관(朴孝寬)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박효관 (朴孝寬)
[? ~ ?] 조선 말기의 가객. 1876년(고종 13년)에 그의 제자인 안민영과 함께 《가곡원류》를 엮어 내어 당시까지의 가곡을 총정리함으로써 시가 문학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박효관 (朴孝寬) [? ~ ?] 조선 말기의 가객. 자 경화(景華), 호 운애(雲崖). 1876년(고종 13년)에 그의 제자인 안민영과 함께 《가곡원류》를 엮음 일생을 시와 노래, 술과 거문고를 벗하며 지낸 뛰어난 가객으로 풍류계에서 많은 존경을 받았다. 흥선 대원군으로부터도 아낌을 받아 '운애(雲崖)'라는 호를 받았으며, 대원군을 위한 송수가를 시조로 읊기도 했다. 그의 시조 작품 13수가 《가곡원류》에 실려 전하며, 문학과 음악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그의 가곡창은 하준권(河俊權)하규일(河圭一)을 거쳐 오늘에 전해진다.
◈ 지식지도 관계
박효관 (朴孝寬) 오동래 (吳東萊) 1816 안민영 (安玟英) 가곡 (歌曲) 시조 (時調) 가사 (歌詞) 가사 (歌辭) 계면조 (界面調) 고려 가요 (高麗歌謠) 고전 문학 (古典文學) 단가 (短歌) 대원군 (大院君) 사설 시조 (辭說時調) 엇시조 (--時調) 평시조 (平時調) 향가 (鄕歌) 연시조 (連時調) 김홍집 내각 종로구 (鍾路區) 1876년 하준권 (河俊權) 1820 흥선 대원군 1845 이재면 (李載冕) 1867 하규일 (河圭一) 이세춘 (李世春) 김유기 (金裕器) 1360 맹사성 (孟思誠) 1501 이황 (李滉) 1556 이항복 (李恒福) 1680말 김천택 (金天澤) 1690 김수장 (金壽長) 1786 김정희 (金正喜) 1788 남연군 이구 1815 흥인군 (興寅君) 1818 여흥부 대부인 민씨 1835 박유전 (朴裕全) 1842 명완벽 (明完璧) 1849 조선 철종 (哲宗) 1851 명성 황후 (明成皇后) 1858 이완용 (李完用) 1863 조선 고종 (高宗) 1870 이준용 (李埈鎔) 1903 이은상 (李殷相) 승평계 (昇平契) 경정산 가단 1876 가곡원류 (歌曲源流) 강호사시가 고금가곡 (古今歌曲) 도산십이곡 1728 청구영언 (靑丘永言) 1763 해동가요 (海東歌謠) 1866 병인 양요 (丙寅洋擾) 1871 신미양요 (辛未洋擾) 1910 경술국치 (庚戌國恥) 필운대 (弼雲臺) (미정의) 계월 (미정의) 김군중 (미정의) 김사준 (미정의) 김성심 (미정의) 신재윤 (미정의) 안경지 (미정의) 연연 (미정의) 은향 (미정의) 함계원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가곡원류 歌曲源流 총서 박효관, 안민영 (253)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안민영 (9) 백과 가곡원류 (8) 백과 가곡 (5) 백과 최수보 (5) 백과 시조 (4) 백과 하규일 (4) 백과 하준권 (4) 백과 가사 (3) 백과 오동래 (3) 백과 청구영언 (3) 백과 해동가요 (3) 백과 1876년 (2) 백과 금옥총부 (2) 백과 장우벽 (2) 백과 정중보 (2) 백과 종로구 (2) 백과 홍진원 (2)
◈ 참조 키워드
가곡 (4)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