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민영환(閔泳煥)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민영환 (閔泳煥)
[1861 ~ 1905] 구한국 말의 문신. 호는 계정 (桂庭)이고, 시호는 충정(忠正)이며, 민겸호의 아들이다.
백과사전 내용을 확인합니다[내용보기]  
◈ 지식지도 관계
민영환 (閔泳煥) 1861 조약 (條約) 1917 러시아 혁명 러시아 제국 1905년 1896년 1882년 1897 대한 제국 (大韓帝國) 1795 민치구 (閔致久) 1838 민겸호 (閔謙鎬) 1868 니콜라이 2세 1630 민유중 (閔維重) 1799 민치록 (閔致祿) 1818 여흥부 대부인 민씨 1830 민승호 (閔升鎬) 1841 이토 히로부미 (伊藤博文) 1854 권중현 (權重顯) 1858 박제순 (朴齊純) 1858 이완용 (李完用) 1860 하야시 곤스케 (林権助) 1864 이재극 (李載克) 1865 이근택 (李根澤) 1870 이지용 (李址鎔) 1880 한규설 (韓圭卨) 통리기무아문 1881 별기군 (別技軍) 1905 통감부 (統監府) 1882 임오군란 (壬午軍亂) 1905 을사늑약 (乙巳勒約) 1882 제물포 조약 1904 러·일 전쟁 (--日戰爭)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조회순
2016.05.23
충정공 민영환
【--】 서울 조계사 옆에는 휴관 중인 우정총국((郵征總局)과 시민광장 구석에 자그마한 충정공(忠正公) 민영환(閔泳煥, 1861∼1905, 45세) 동상이 있습니다. 아시겠지만 27살에 호조판서가 된 충정공은 1905년 을사늑약에 반대해 45세에 자결하였고 피가 떨어진 땅에서 대나무(혈죽)가 자랐다는 기록(고려대 박물관)이 있는 분입니다.
2024.04.11
「여수 거문도 근대역사문화공간」 , 「민영환 유서(명함) 」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 예고
【문화】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여수 거문도 근대역사문화공간」, 「민영환 유서(명함)」를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 예고하였다.【근대문화재과】
 
◈ 최근등록순
2024.04.11
「여수 거문도 근대역사문화공간」 , 「민영환 유서(명함) 」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 예고
【문화】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여수 거문도 근대역사문화공간」, 「민영환 유서(명함)」를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 예고하였다.【근대문화재과】
2016.05.23
충정공 민영환
【--】 서울 조계사 옆에는 휴관 중인 우정총국((郵征總局)과 시민광장 구석에 자그마한 충정공(忠正公) 민영환(閔泳煥, 1861∼1905, 45세) 동상이 있습니다. 아시겠지만 27살에 호조판서가 된 충정공은 1905년 을사늑약에 반대해 45세에 자결하였고 피가 떨어진 땅에서 대나무(혈죽)가 자랐다는 기록(고려대 박물관)이 있는 분입니다.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최익현 (3) 백과 1896년 (2) 백과 1905년 (2) 백과 김구 (2) 백과 이승훈 (2) 백과 이준 (2) 백과 조병세 (2) 백과
◈ 참조 키워드
을사늑약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전체 의견 0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참조정보
백과 참조
조부 : 민치구
부 : 민겸호
목록 참조
【전문】민영환의 유서 - 1905년 11월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