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대동여지도(大東與地圖)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대동여지도 (大東與地圖)
(22첩) 조선 말기에 고산자(古山子) 김정호(金正浩)가 만든 우리 나라의 지도.
◈ 지식지도 관계
대동여지도 (大東與地圖) 1861 실학 (實學) 1861년 1834년 이탈리아 왕국 19세기 (19世紀) 1830년대 1860년대 1860년 1862년 1863년 1864년 1865년 1866년 1867년 1868년 1869년 1830년 1831년 1832년 1833년 1835년 1836년 1837년 1838년 1839년 1814 김정호 (金正浩) 1789 순원 왕후 (純元王后) 1797 빌헬름 1세 1803 최한기 (崔漢綺) 1812 찰스 디킨스 1820 흥선 대원군 1849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1861 동치제 (同治帝) 대동지지 (大東地志) 동여도 (東與圖) 청구도 (靑丘圖) 1861 남북 전쟁 (南北戰爭)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0)
◈ 참조 원문/전문
고산자를 회함 근/현대 수필 최남선 (3)
◈ 조회순
2025.04.13
소재구 학예관, 국립박물관 수장고 유물 목록 조사... 최남선 아들 소장된 매입 사실 확인
【문화】 고산자 김정호가 만든 《대동여지도》/ 소재구 국립중앙박물관 유물관리부 학예연구관은 연구심이 남달라 퇴근 시간이 지나서도 밤늦게까지 남아 박물관 수장고에 있는 유물을 들여다보고 목록을 조사했다. 국립중앙박물관의 유물은 대한제국 순종 황제가 1909년 지은 제실박물관(帝室博物館)에서 시작하여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박물관, 이왕가박물관, 송석하 선생이 지은 남산 국립민족박물관의 소장품을 모두 합친 것으로 1946년에 덕수궁 석조전 건물에서 처음 개관하였다.
2015.11.24
대동여지도의 김정호 -4편- 거리 측정기
【문화】 조선 시대 지도를 만들기 위한 거리를 어떻게 잴 수 있을까? 1441년(세종 23) 기리고차(記里鼓車.거리를 기록하는 북 달린 마차)라고 하는 수레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했다는 기록이 있다. 그럼 거리를 측정하던 수레라는 기리고차는 어떻게 생겼고 어떤 원리로 거리를 잴까 하고 궁금해진다. 결론적으로 기리고차는 오늘날 개발된 정밀한 거리 측정 장치들과 비교해도 그 원리나 우수성에 있어 결코 뒤지지 않아 조상의 지혜와 슬기를 살펴볼 수 있다.
2015.11.22
대동여지도의 김정호 -1편-
【--】 여행 가길 좋아한다. 가기 전에 우선 지도상에 어디쯤인지 위치와 거리 등을 먼저 알아본다. 그리고 지도를 프린팅 하거나 스마트폰의 앱 지도나 내비게이션을 이용해 찾아간다. 지도는 잘 알다시피 여행, 등산, 퀵서비스 처럼 생활의 편리함 뿐만 아니라 행정, 산업, 군사 목적 등 여러 부문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2015.11.22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2편-
【--】 김정호는 누구인지에 대해 알아보았고 오늘은 대동여지도에 대해 포스팅한다. 일반 백성이 지도를 제작한다는 것은 꿈도 꾸지 못할 일이다. 김정호의 걸작 대동여지도는 주변의 최한기, 신헌 등의 도움을 받아 만들었다고 본다.
2015.11.23
대동여지도 김정호 -3편- 다른 지도들
【--】 이미 앞에서 "김정호는 누구인지" 와 그가 제작하고 간행한 조선지도의 걸작인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에 대해 알아보았다. 오늘은 김정호가 제작한 청구도(靑邱圖), 동여도(東輿圖), 대동여지전도(大東輿地全圖)에 대해서 포스팅한다. 특히 대동여지도를 축소한 대동여지전도에는 대마도를 제주도처럼 조선 영역으로 표시하여 눈에 띈다.
2023.12.22
문화재청, 2023년 환수한 국외 문화유산 1,083건 1,550점
【문화】 국외에 소재하는 우리 문화유산 환수에 대한 국민적 관심 속에서 2023년 올 한 해 동안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이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사장 김정희, 이하 ‘국외재단’)과 함께 환수한 국외 문화유산이 총 1,083건 1,550점에 달한다. 이 수치는 국외 문화유산 환수 업무를 수행하는 국공립 박물관 등 타 기관의 환수 현황은 제외한 것으로, 지난 2022년의 성과(80건 170점)에 비하면 10배 가량 증가한 수치이다.【국제협력과】
 
◈ 최근등록순
2025.04.13
소재구 학예관, 국립박물관 수장고 유물 목록 조사... 최남선 아들 소장된 매입 사실 확인
【문화】 고산자 김정호가 만든 《대동여지도》/ 소재구 국립중앙박물관 유물관리부 학예연구관은 연구심이 남달라 퇴근 시간이 지나서도 밤늦게까지 남아 박물관 수장고에 있는 유물을 들여다보고 목록을 조사했다. 국립중앙박물관의 유물은 대한제국 순종 황제가 1909년 지은 제실박물관(帝室博物館)에서 시작하여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박물관, 이왕가박물관, 송석하 선생이 지은 남산 국립민족박물관의 소장품을 모두 합친 것으로 1946년에 덕수궁 석조전 건물에서 처음 개관하였다.
2023.12.22
문화재청, 2023년 환수한 국외 문화유산 1,083건 1,550점
【문화】 국외에 소재하는 우리 문화유산 환수에 대한 국민적 관심 속에서 2023년 올 한 해 동안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이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사장 김정희, 이하 ‘국외재단’)과 함께 환수한 국외 문화유산이 총 1,083건 1,550점에 달한다. 이 수치는 국외 문화유산 환수 업무를 수행하는 국공립 박물관 등 타 기관의 환수 현황은 제외한 것으로, 지난 2022년의 성과(80건 170점)에 비하면 10배 가량 증가한 수치이다.【국제협력과】
2015.11.24
대동여지도의 김정호 -4편- 거리 측정기
【문화】 조선 시대 지도를 만들기 위한 거리를 어떻게 잴 수 있을까? 1441년(세종 23) 기리고차(記里鼓車.거리를 기록하는 북 달린 마차)라고 하는 수레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했다는 기록이 있다. 그럼 거리를 측정하던 수레라는 기리고차는 어떻게 생겼고 어떤 원리로 거리를 잴까 하고 궁금해진다. 결론적으로 기리고차는 오늘날 개발된 정밀한 거리 측정 장치들과 비교해도 그 원리나 우수성에 있어 결코 뒤지지 않아 조상의 지혜와 슬기를 살펴볼 수 있다.
2015.11.23
대동여지도 김정호 -3편- 다른 지도들
【--】 이미 앞에서 "김정호는 누구인지" 와 그가 제작하고 간행한 조선지도의 걸작인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에 대해 알아보았다. 오늘은 김정호가 제작한 청구도(靑邱圖), 동여도(東輿圖), 대동여지전도(大東輿地全圖)에 대해서 포스팅한다. 특히 대동여지도를 축소한 대동여지전도에는 대마도를 제주도처럼 조선 영역으로 표시하여 눈에 띈다.
2015.11.22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2편-
【--】 김정호는 누구인지에 대해 알아보았고 오늘은 대동여지도에 대해 포스팅한다. 일반 백성이 지도를 제작한다는 것은 꿈도 꾸지 못할 일이다. 김정호의 걸작 대동여지도는 주변의 최한기, 신헌 등의 도움을 받아 만들었다고 본다.
2015.11.22
대동여지도의 김정호 -1편-
【--】 여행 가길 좋아한다. 가기 전에 우선 지도상에 어디쯤인지 위치와 거리 등을 먼저 알아본다. 그리고 지도를 프린팅 하거나 스마트폰의 앱 지도나 내비게이션을 이용해 찾아간다. 지도는 잘 알다시피 여행, 등산, 퀵서비스 처럼 생활의 편리함 뿐만 아니라 행정, 산업, 군사 목적 등 여러 부문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청구도 (4) 백과 김정호 (3) 대동지지 (3) 백과 동여도 (3) 백과 1865년 (2) 백과 흥선 대원군 (2) 백과
◈ 참조 키워드
김정호 (10)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참조정보
백과 참조
청구도》, 《대동지지》, 《동여도》, 《대동여지도》
목록 참조
【전문】대동여지도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