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41 ~ 1457] 조선의 제6대 왕(재위 1452~1455년).
문종이 일찍 세상을 떠나자 12세 때 왕위에 올랐으나, 숙부인 수양 대군(
세조)에게 왕위를 빼앗겨 상왕으로 밀려났다.
세조 2년(1456년)에
성삼문 등 ‘
사육신’이 단종을 다시 왕위에 앉히려다 실패한 일(
단종 복위 운동)을 계기로, 이듬해에 단종은 노산군으로 낮추어지고 강원도 영월로 귀양가게 되었다.
이 해 가을에 금성 대군이 다시 단종을 왕위에 올리려다 잡혀 죽자, 단종은 평민으로 낮추어진 뒤 살해되었다.
세상을 떠난 뒤 241년 만에 다시 임금으로 복위되고, ‘단종’이라는 묘호(임금의 시호)가 내려졌다.
능은 영월에 있는 장릉이다.
3정승
•
황보인 (영의정),
남지 (좌의정),
김종서 (우의정)
•
황보인 (영의정),
김종서 (좌의정),
정분 (우의정)
•
이유 (영의정),
정인지 (좌의정),
한확 (우의정)
■ 즉위 이전
→ 1441 출생 - 단종의 모후는 단종 출산 때 사망하였고, 혜빈 양씨가 단종의 보육을 맡음
→ 1448 세종에 의해 왕세손 책봉
→ 1451 왕세자 책봉
■ 즉위 이후
→ 1452 단종 즉위 - 12세에 왕위에 오름
- 문종의 고명을 받은 영의정 황보인과 좌의정 김종서 등은 단종을 보좌하며 의정부 중심으로 국정이 운영됨
→ 1452 계유정난 - 수양대군은 김종서·황보인 등을 제거하고 권력을 장악
→ 수양대군의 요청으로 단종 혼례 추진
→ 1455 수양대군은 혜빈 양씨와 아들들, 금성대군 등이 반란을 도모한다는 혐의로 귀양 보냄
→ 1455 단종은 왕위를 선양할 것을 결정 → 세조 즉위
→ 1456 사육신 사건 - 단종은 단종 복위 모의에 가담
→ 1457 세조는 단종의 장인이 역모를 꾸민다는 고변을 받음 - 단종은 노산군으로 강봉 되어 영월에 거주
→ 금성대군이 반란 도모하지만, 관노의 고변으로 사전에 발각됨 → 금성대군 사사, 단종의 장인 교형
→ 1457 ‘세종실록’에선 금성대군의 죽음을 들은 단종이 스스로 목을 매었다고 기록
■ 단종 사후
→ 1681 숙종대 노산군의 칭호를 대군으로 높임
→ 숙종대 단종의 왕호 추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