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남이(南怡)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남이 (南怡)
[1441 ~ 1468] 조선 세조 때의 장군. 시호는 충무(忠武)이고, 태종의 외손이다. 예종이 즉위한 1468년에 반역을 꾀한다는 유자광의 모함으로 처형당하였다.
남이 (南怡) [1441 ~ 1468] 조선 세조 때의 장군. 태종의 외손이다. 17세 때에 무과에 급제하여 세조의 사랑을 받았다. 이시애의 난과 건주위를 정벌할 때에 공신이 되었고, 26세에 병조 판서가 되었다. 예종이 즉위한 1468년에 반역을 꾀한다는 유자광의 모함으로 처형당하였다.
◈ 지식지도 관계
남이 (南怡) 1441 1416 권람 (權擥) 건주여진 여진족 (女眞族) 조의제문 (弔義帝文) 1461 간경 도감 (刊經都監) 상원사 (上院寺) 1468년 1392 조선 (朝鮮) 15세기 (15世紀) 1460년대 1460년 1462년 1463년 1464년 1466년 1467년 1450년 1453년 1455년 1390 김종서 (金宗瑞) 1455 조선 세조 (世祖) 1462 유자광 (柳子光) 1468 예종 (睿宗) 1352 권근 (權近) 1387 권제 (權踶) 1395 소헌 왕후 (昭憲王后) 1396 정인지 (鄭麟趾) 1403 황보인 (皇甫仁) 1409 최항 (崔恒) 1410 강맹경 (姜孟卿) 1415 한명회 (韓明澮) 1417 신숙주 (申叔舟) 1418 강순 (康純) 1418 조선 세종 (世宗) 1418 안평 대군 이용 1431 김종직 (金宗直) 1438 조선 덕종 (德宗) 사육신 (死六臣) 생육신 (生六臣) 1441 구성군 이준 1450 조선 문종 (文宗) 1452 조선 단종 (端宗) 1461 성희안 (成希顔) 1469 조선 성종 (成宗) 1616 누르하치 훈구파 (勳舊派) 고려사 (高麗史) 세조실록 (世祖實錄) 1458 경국대전 (經國大典) 1467 이시애의 난 1467 정해서정 1453 계유정난 (癸酉靖難) 1498 무오사화 (戊午士禍) 1506 중종 반정 (中宗反正)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남이 장군 근/현대 소설 신명균 (4) 남이의 힘 근/현대 수필 김동인 (1)
◈ 조회순
2024.08.28
44. 강계 자북사을 찾아서
【문화】 희천군(熙川郡)으로 들어와서 진면(眞面)과 남면(南面)을 돌아본 나는 이제 북으로 올라가면 어디로 갈 것인가? 동남쪽으로 묘향산맥(妙香山脈)이 달리고 북쪽으로는 적유산맥(狄踰山脈)이 요동방면(遼東方面)으로 뻗어 나가면서 명산승경(名山勝景)을 이룬다. 또한 적유령(狄踰嶺)으로부터 흐르는 맑은 물이 청천강(淸川江)을 이루고 구현령(狗峴嶺)에서부터 시작되는 희천강(熙川江)이 흘러 그 유역을 산수(山水)가 수려(秀麗)하다.
2024.10.20
【문화】 장군터 고개라는 이름의 고개가 있다. 그 곳은 옛날에 남이 장군이 태어난 곳으로 유명하다. 남이장군은 커다란 구렁이의 기운을 받아 태어났다고 알려져 있다.
포수 한 명이 금악산으로 사냥을 가서 산 위로 한참을 올라가다가 큰 바위가 있어서 그 곳에서 쉬어가려고 앉았다. 조금 쉬다가 담배를 펴 물고는 바위에 담뱃대를 털자 그 바위가 꿈틀대더니 움직였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 최근등록순
2024.10.20
【문화】 장군터 고개라는 이름의 고개가 있다. 그 곳은 옛날에 남이 장군이 태어난 곳으로 유명하다. 남이장군은 커다란 구렁이의 기운을 받아 태어났다고 알려져 있다.
포수 한 명이 금악산으로 사냥을 가서 산 위로 한참을 올라가다가 큰 바위가 있어서 그 곳에서 쉬어가려고 앉았다. 조금 쉬다가 담배를 펴 물고는 바위에 담뱃대를 털자 그 바위가 꿈틀대더니 움직였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08.28
44. 강계 자북사을 찾아서
【문화】 희천군(熙川郡)으로 들어와서 진면(眞面)과 남면(南面)을 돌아본 나는 이제 북으로 올라가면 어디로 갈 것인가? 동남쪽으로 묘향산맥(妙香山脈)이 달리고 북쪽으로는 적유산맥(狄踰山脈)이 요동방면(遼東方面)으로 뻗어 나가면서 명산승경(名山勝景)을 이룬다. 또한 적유령(狄踰嶺)으로부터 흐르는 맑은 물이 청천강(淸川江)을 이루고 구현령(狗峴嶺)에서부터 시작되는 희천강(熙川江)이 흘러 그 유역을 산수(山水)가 수려(秀麗)하다.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1467년 (6) 백과 강순 (4) 백과 건주여진 (3) 백과 허종 (3) 백과 15세기 (2) 백과 성희안 (2) 백과 예종 (2) 백과 이시애 (2) 백과 조선 세조 (2) 백과 중종 반정 (2) 백과
◈ 참조 키워드
조선 세조 (3)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