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남도 민요(南道民謠)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남도 민요 (南道民謠)
전라도와 경상도 남서부, 충청도 일부지역에서 주로 불려 온 민요.
◈ 지식지도 관계
남도 민요 (南道民謠) 경기 민요 (京畿民謠) 농부가 (農夫歌) 민요 (民謠) 뱃노래 산조 (散調) 서도 민요 성주 풀이 판소리 가야금 병창 가야금 산조 거문고 산조 (----散調) 국악 (國樂) 단소 산조 동편제 (東便制) 민속 무용 (民俗舞踊) 민속놀이 (民俗----) 서편제 (西便制) 속악 (俗樂) 아랑 전설 잡가 (雜歌) 제주도 민요 중고제 (中高制) 추석 (秋夕) 판소리 단가 (--- 短歌) 해금산조 (奚琴散調) 1865 김창조 (金昌祖) 1906 박녹주 (朴錄珠) 1907 김연수 (金演洙) 까투리 타령 둥가 타령 밀양 아리랑 새타령 (--打令) 옹헤야 육자배기 자진육자배기 진도 아리랑 천안 삼거리 쾌지나 칭칭 담바귀타령 강릉 매화 타령 긴아리 타령 난봉가 (----歌) 대금 산조 (大笒散調) 도라지 타령 방물가 (房物歌) 베틀가 (----歌) 변강쇠타령 (----打令) 수궁가 (水宮歌) 수심가 (愁心歌) 심청가 (沈淸歌) 유산가 (遊山歌) 적벽가 (赤壁歌) 춘향가 (春香歌) 흥보가 (興甫歌) 출인가 (出引歌) 십장가 (十杖歌) 달거리 (月令歌) 평양가 (平壤歌) 형장가 (刑杖歌) 집장가 (執杖歌) 소춘향가 (小春香歌) 창부타령 (倡夫--) 강강술래 남도 들노래 선유가 (船遊歌) 제비가 (燕子歌) 피리산조 (미정의) 개구리타령 (미정의) 뒷전타령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성주풀이 민요 (35) 흥타령 민요 (18) 둥당개 타령 민요 (17) 진도아리랑 민요 (10) 새타령 민요 미상 (4) 밀양아리랑 민요 (3) 육자배기 (0)
◈ 조회순
2019.07.18
【학습】 전라남도 진도 지방의 민요. 부요적(婦謠的) 성격이 강한 서정민요이다. 현지에서는 ‘아리랑타령’이라고 부른다. 전라남도 진도에서 발생한 노래이나 지금은 전국적으로 불리고 있다. 사설은 기본적으로 남녀의 사랑과 이별을 주제로 하고 있다.
 
 
◈ 최근등록순
2019.07.18
【학습】 전라남도 진도 지방의 민요. 부요적(婦謠的) 성격이 강한 서정민요이다. 현지에서는 ‘아리랑타령’이라고 부른다. 전라남도 진도에서 발생한 노래이나 지금은 전국적으로 불리고 있다. 사설은 기본적으로 남녀의 사랑과 이별을 주제로 하고 있다.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민요 (6) 백과 육자배기 (5) 백과 잡가 (3) 백과 남도 잡가 (2) 백과 새타령 (2) 백과 진도 아리랑 (2) 백과 천안 삼거리 (2) 백과
◈ 참조 키워드
국립남도국악원 (12) 국악교육콘텐츠 (12) 지선화 (12) 새타령 (4) 백과 육자배기 (4) 백과 가야금 병창 (3) 백과 경기 민요 (3) 백과 서도 민요 (3) 백과 진도 아리랑 (3) 백과 농부가 (2) 백과 상령산 (2) 제비노정기 (2) 흥타령 (2)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