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국악(國樂)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국악 (國樂)
'한국 음악'의 준말. 한국 음악이란 우리 나라 고유의 음악으로, 거문고, 가야금, 피리, 장구, 북 등을 다루어서 이루어지는 고전 음악을 가리키는 말이다.
국악 (國樂) 아악(雅樂), 범패(梵唄), 무악(무속 음악), 산조(散調), 판소리, 장가, 민요, 농악
◈ 지식지도 관계
국악 (國樂) 가사 (歌詞) 가야금 (伽倻琴) 거문고 농악 (農樂) 당악 (唐樂) 무악 (巫樂) 민요 (民謠) 범패 (梵唄) 산조 (散調) 속악 (俗樂) 시조 (時調) 아악 (雅樂) 장가 (長歌) 판소리 향악 (鄕樂) 가사 (歌辭) 가야금 산조 고려 가요 (高麗歌謠) 고전 문학 (古典文學) 동편제 (東便制) 사설 시조 (辭說時調) 서편제 (西便制) 엇시조 (--時調) 중고제 (中高制) 향가 (鄕歌) 현악기 (絃樂器) 연시조 (連時調) 해금산조 (奚琴散調) 가야 (伽倻) 1114년 551년 가실왕 (嘉悉王) 왕산악 (王山岳) 우륵 (于勒) 1378 박연 (朴堧) 계고 (階古) 이세춘 (李世春) 1360 맹사성 (孟思誠) 1501 이황 (李滉) 1903 이은상 (李殷相) 영산회상 1493 악학궤범 (樂學軌範) 강릉 매화 타령 강호사시가 고금가곡 (古今歌曲) 도산십이곡 변강쇠타령 (----打令) 시용향악보 십이가사 (十二歌詞) 악장가사 (樂章歌詞) 여민락 (與民樂) 춘향가 (春香歌) 흥보가 (興甫歌) 정동방곡 (靖東方曲) 처용가 (處容歌) 1393 납씨가 (納氏歌) 1728 청구영언 (靑丘永言) 1763 해동가요 (海東歌謠) 1876 가곡원류 (歌曲源流) 정읍사 (井邑詞) 황계사 (黃鷄詞) 피리산조
김경남(金景南) 이병문(李炳文) 조이순(趙彛淳) 배희근(裵喜根) 박장원(朴壯元) 김창조(金昌祖) 한숙구(韓淑求) 김채만(金采萬) 한성준(韓成俊) 백낙준(白樂俊) 박종기(朴鍾基) 김정문(金正文) 박동실(朴東實) 박석기(朴錫驥) 정남옥(鄭南玉) 조상선(曺相善) 한주환(韓周煥) 김여란(金如蘭) 조양구락부(調陽俱樂部) 양명사(揚明社) 신쾌동(申快童) 김죽파(金竹波) 서공철(徐公哲) 조선정악전습소 성원목(成元睦) 임소향(林素香) 강도근(姜道根) 박봉술(朴奉述) 한승호(韓承鎬) 한애순(韓愛順) 이생강(李生剛) 최승희(崔承希) 화랑창극단(花郞唱劇團) 서용석(徐龍錫) 조선창극단(朝鮮唱劇團) 대한국악원(大韓國樂院) 한국국악협회 거문고 산조 경기 잡가(京畿雜歌) 관산융마(關山戎馬) 굿거리(-) 남도 잡가(南道雜歌) 농악 12차 단소(短簫) 단소 산조(短簫散調) 대금(大金) 대금(大芩) 대쟁(大箏) 대풍류(竹風流) 도드리(-) 동동(-) 민속 음악(民俗音樂) 박(拍) 부(缶) 생황(笙簧(篁)) 세마치 장단 십이잡가(十二雜歌) 엇모리 장단 음악(音樂) 자진모리(-) 잡가(雜歌) 국악 장단(國樂長短) 정악(正樂) 정읍(井邑) 중모리(-) 중중모리(-) 진양조(----調) 창극(唱劇) 칠현금(七絃琴) 타령(打令) 퉁소(洞簫) 휘모리(-) 휘모리 잡가 판소리 단가 생소병주(笙蕭竝奏) 쟁(箏) 육자배기토리 병창(竝唱) 매화점장단(梅花點長短) 판소리 명창 경드름(京----) 석화제(----制) 대금 산조(大笒散調) 서도 잡가(西道雜歌) 수궁가(水宮歌) 심청가(沈淸歌) 옹고집 타령 자진방아 타령 적벽가(赤壁歌) 추월만정(秋月滿庭) 무숙이타령(武叔-打令)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조선음악사 朝鮮音樂使 근/현대 수필 안확 (10)
◈ 조회순
2023.10.19
과천 K-전통춤의 향연 (1)
【문화】 한뫼국악예술단 창단 25주년 기념 공연 <유일무일(唯一舞逸>을 2023년 10월 14일(토) 오후 5시 과천시민회관 소극장에서 보았다. 과천시는 장수왕 때 율목군(栗木郡)이었고, 신라 제35대 경덕왕 16년(757) 율진(栗津), 고려왕조 태조 23년(940)에 과주(果州)로 불리었다.
2019.09.19
향긋한 찻내음 가득! 박물관이 들썩들썩!
【관광】 부산시(시장 오거돈) 정관박물관은 오는 22일 오후 3시 정관박물관 야외마당에서 ‘락(樂)! 향(香)!-우리 가락, 우리 차’ 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시립박물관 정관박물관 - 신동조 (051-720-6923)】
2019.11.15
【문화】 전주박물관은 국악공연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박물관을 찾은 관람객에게 문화예술 향유의 기회를 선사하고자 전라북도립국악원, 국립민속국악원과 함께 국악향연의 정기공연을 진행 중에 있으며, 이는 오는 12월까지 월 2회 공연할 예정이다. 【기획운영과】
2019.11.13
【문화】 - 공연도 관람하고 직접 체험 할 수 있는 즐거움 선사   【오산시   】  2019.11.13
2019.11.11
【문화】 ○ 광주문화관광 브랜드 ‘오매광주’ SNS에서 국악상설공연 관람 이벤트를 진행한다.【(관광진흥과, 613-3630)】
2019.11.05
진주시립국악관현악단 제62회 정기연주회 개최
【문화】 경남 유일의 시립국악단인 진주시립국악관현악단은 오는 7일 저녁 7시 30분 경남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11월 깊어가는 가을밤의 서정을 느낄 수 있는 정기연주회에 무료로 시민들을 초대한다고 밝혔다.【공보관】
2019.11.01
【문화】 전주박물관의 이번 공연은 국악공연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박물관을 찾은 관람객에게 문화예술 향유의 기회를 선사하고자 지난 9월 전주박물관과 국립민속국악원, 전라북도립국악원이 맺은 업무협약을 통해 기획됐다. 이는 오는 12월까지 월 2회 공연예정이다. 【】
2019.10.28
【문화】 자세한 내용은 국립대구박물관 홈페이지(http://daegu.museum.go.kr)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기획운영과】
 
◈ 최근등록순
2023.10.19
과천 K-전통춤의 향연 (1)
【문화】 한뫼국악예술단 창단 25주년 기념 공연 <유일무일(唯一舞逸>을 2023년 10월 14일(토) 오후 5시 과천시민회관 소극장에서 보았다. 과천시는 장수왕 때 율목군(栗木郡)이었고, 신라 제35대 경덕왕 16년(757) 율진(栗津), 고려왕조 태조 23년(940)에 과주(果州)로 불리었다.
2019.11.15
【문화】 전주박물관은 국악공연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박물관을 찾은 관람객에게 문화예술 향유의 기회를 선사하고자 전라북도립국악원, 국립민속국악원과 함께 국악향연의 정기공연을 진행 중에 있으며, 이는 오는 12월까지 월 2회 공연할 예정이다. 【기획운영과】
2019.11.13
【문화】 - 공연도 관람하고 직접 체험 할 수 있는 즐거움 선사   【오산시   】  2019.11.13
2019.11.11
【문화】 ○ 광주문화관광 브랜드 ‘오매광주’ SNS에서 국악상설공연 관람 이벤트를 진행한다.【(관광진흥과, 613-3630)】
2019.11.05
진주시립국악관현악단 제62회 정기연주회 개최
【문화】 경남 유일의 시립국악단인 진주시립국악관현악단은 오는 7일 저녁 7시 30분 경남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11월 깊어가는 가을밤의 서정을 느낄 수 있는 정기연주회에 무료로 시민들을 초대한다고 밝혔다.【공보관】
2019.11.01
【문화】 전주박물관의 이번 공연은 국악공연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박물관을 찾은 관람객에게 문화예술 향유의 기회를 선사하고자 지난 9월 전주박물관과 국립민속국악원, 전라북도립국악원이 맺은 업무협약을 통해 기획됐다. 이는 오는 12월까지 월 2회 공연예정이다. 【】
2019.10.28
【문화】 자세한 내용은 국립대구박물관 홈페이지(http://daegu.museum.go.kr)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기획운영과】
2019.10.18
오색 단풍 창덕궁 후원에서 즐기는 우리 음악과 춤
【문화】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창덕궁관리소(소장 최재혁)는 국립국악원(원장 임재원)과 공동주최로 오는 19일부터 다음달 9일까지 매주 토요일 오전 11시 창덕궁 후원 연경당에서 「국립국악원과 함께하는 창덕궁 풍류」를 공연한다.【창덕궁관리소】
2019.10.14
【문화】 이번 공연은 지난 9월 전주박물관과 국립민속국악원, 전라북도립국악원이 맺은 업무협약을 통해 이뤄졌으며, 오는 12월까지 매달 운영한다. 【기획운영과】
2019.10.07
【문화】 - 국악+양악+무용(발레, 현대무용, 한국무용)의 복합장르 퓨전콘서트 - 대구문화예술회관 팔공홀 재개관 후 시립국악단 단독 첫 무대 【대구시립국악단】
2019.10.02
【문화】   부산시(시장 오거돈) 정관박물관은 당초 10월 3일 개최 예정이었던 가을맞이 문화행사 ‘락향(樂香)-우리 가락, 우리 차’ 행사를 10월 6일로 연기해 운영한다고 밝혔다. 【시립박물관 - 신동조 (051-720-6923)】
2019.09.19
향긋한 찻내음 가득! 박물관이 들썩들썩!
【관광】 부산시(시장 오거돈) 정관박물관은 오는 22일 오후 3시 정관박물관 야외마당에서 ‘락(樂)! 향(香)!-우리 가락, 우리 차’ 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시립박물관 정관박물관 - 신동조 (051-720-6923)】
2019.09.17
【예술】 ○ 우리나라 대표 국악제인 임방울국악제가 20일부터 23일까지 열린다.【(문화도시정책관실, 613-3180)】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판소리 (28) 백과 산조 (11) 백과 가야금 산조 (10) 백과 조선 성악 연구회 (10) 백과 가야금 (7) 백과 거문고 (7) 백과 국악기 (7) 박동실 (7) 백과 잡가 (7) 백과 민요 (6) 백과 아악 (6) 백과 김채만 (5) 백과 서편제 (5) 백과 속악 (5) 백과 심청가 (5) 백과 정정렬 (5) 백과 거문고 산조 (4) 백과 경기 민요 (4) 백과 김소희 (4) 백과 단소 (4) 백과 대금 산조 (4) 백과 박녹주 (4) 백과 방아타령 (4) 백과 송만갑 (4) 백과 아쟁 (4) 백과 정악 (4) 백과 조양구락부 (4) 백과 창극 (4) 백과 춘향가 (4) 백과 경기 잡가 (3) 백과 광주 광역시 (3) 백과 국립전주박물관 (3) 백과 김창조 (3) 백과 농악 (3) 백과 대금 (3) 백과 동편제 (3) 백과 백낙준 (3) 백과 소춘향가 (3) 백과 신재효 (3) 백과 안기옥 (3) 백과 육자배기 (3) 백과 이날치 (3) 백과 판소리 단가 (3) 백과 한승호 (3) 백과 한애순 (3) 백과 협률사 (3) 백과 1909년 (2) 백과 1933년 (2) 백과 강도근 (2) 백과 강백천 (2) 강정열 (2) 곰보 타령 (2) 관악기 (2) 백과 관우희 (2) 백과 기생 타령 (2) 김경남 (2) 백과 김계철 (2) 백과 김성권 (2) 김여란 (2) 백과 김정문 (2) 백과 김죽파 (2) 백과 김창환 (2) 백과 남도 민요 (2) 백과 대금 (2) 도라지 타령 (2) 백과 독일 음악 (2) 백과 동일창극단 (2) 만학 천봉 (2) 맹꽁이타령 (2) 백과 모흥갑 (2) 백과 무악 (2) 백과 무형 문화재 (2) 백과 미국 음악 (2) 백과 바위 타령 (2) 박석기 (2) 백과 박유전 (2) 백과 박종원 (2) 박초선 (2) 백과 박초월 (2) 백과 박화섭 (2) 방물가 (2) 백과 배희근 (2) 백과 범패 (2) 백과 병정 타령 (2) 병창 (2) 백과 부산 광역시 (2) 백과 생소병주 (2) 백과 서공철 (2) 백과 서도 잡가 (2) 백과 선유가 (2) 백과 성창순 (2) 백과 송만재 (2) 백과 송순섭 (2) 송우룡 (2) 백과 시나위 (2) 백과 신만엽 (2) 백과 심청전 (2) 백과 십이가사 (2) 백과 십이잡가 (2) 백과 십장가 (2) 백과
◈ 참조 키워드
국립 국악원 (7) 백과 잡가 (7) 백과 대금 (5) 백과 백낙준 (5) 백과 오성과 한음 (5) 공연예술 (2) 김세종 (2) 백과 무형 문화재 (2) 백과 시나위 (2) 백과 정관박물관 (2) 정재국 (2) 정책토론회 (2) 포스트 코로나 (2)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참조정보
백과 참조
국악 (아악· 향악· 당악· 속악)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