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고려(高麗)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고려 (高麗)
우리 나라 중세의 통일 왕조. 왕건이 후삼국 의 분열을 수습하여 세운 나라이다. 918년 태조 왕건이 나라를 세운 뒤로부터 1392년 이성계가 새 왕조를 세우기까지 34대 475년간 계속된 왕조이다.
◈ 지식지도 관계
고려 (高麗) 918 경기체가 (景幾體歌) 산대놀이 (山臺戱) 시조 (時調) 아악 (雅樂) 전시과 (田柴科) 처용무 (處容舞) 향가 (鄕歌) 향악 (鄕樂) 1910 일제 강점기 가사 (歌辭) 고려 가요 (高麗歌謠) 고전 문학 (古典文學) 국악 (國樂) 대원군 (大院君) 속악 (俗樂) 판소리 훈요 십조 (訓要十條) 연시조 (連時調) 1392 조선 (朝鮮) 713 발해 (渤海) 고구려 (高句麗) 남북국 시대 신라 (新羅) 후고구려 (後高句麗) 후삼국 (後三國) 1392년 918년 1897 대한 제국 (大韓帝國) 후백제 (後百濟) 10세기 1390년대 1396년 1399년 1114년 900년 901년 1055 의천 (義天) 1351 공민왕 (恭愍王) 901 궁예 (弓裔) 918 고려 태조 (太祖) 927 최승로 (崔承老) 949 광종 (光宗) 1075 김부식 (金富軾) 1154 경대승 (慶大升) 1337 정도전 (鄭道傳) 1337 정몽주 (鄭夢周) 1348 충정왕 (忠定王) 1392 조선 태조 (太祖) 1418 조선 세종 (世宗) 1455 조선 세조 (世祖) 1488 김구 (金絿) 1749 유득공 (柳得恭) 1812 신재효 (申在孝) 391 광개토대왕 국자감 (國子監) 도병마사 (都兵馬使) 상서성 (尙書省) 중서 문하성 향학 (鄕學) 1258 쌍성총관부 802 해인사 (海印寺) 사헌부 (司憲府) 상정고금예문 1281 삼국유사 (三國遺事) 1425 화산별곡 (華山別曲) 1458 경국대전 (經國大典) 1472 불우헌곡 (不憂軒曲) 1728 청구영언 (靑丘永言) 1876 가곡원류 (歌曲源流) 760 도솔가 (兜率歌) 강호사시가 원왕생가 (願往生歌) 처용가 (處容歌) 1126 이자겸의 난 1135 묘청의 난 (妙淸--亂) 1170 무신의 난 (武臣--亂) 1894 갑오개혁 (甲午改革) 해인사 대장경판 화엄사 각황전 (중복) 경종 (중복) 문종 (중복) 성종 (중복) 직지심경 (중복) 태조
고려·거란 전쟁 제2차 고려·거란 전쟁 고려 현종(顯宗) 제3차 고려·거란 전쟁 고려 덕종(德宗) 고려 정종(靖宗) 고려 문종(文宗) 고려 순종(順宗) 고려 선종(宣宗) 고려 헌종(獻宗) 고려 숙종(肅宗) 예종(睿宗) 고려 인종(仁宗) 고려 의종(毅宗) 명종(明宗) 고려 신종(神宗) 고려 희종(熙宗) 강종(康宗) 고려 고종(高宗) 안향(安珦) 고려 원종(元宗) 충렬왕(忠烈王) 충선왕(忠宣王) 충숙왕(忠肅王) 충혜왕(忠惠王) 충목왕(忠穆王) 우왕(禑王) 창왕(昌王) 공양왕(恭讓王) 견훤(甄萱) 경명왕(景明王) 혜종(惠宗) 고려 정종(定宗) 고려 경종(景宗) 고려 성종(成宗) 제1차 고려·거란 전쟁 목종(穆宗) 고려 대장경 문하부(門下府) 문하성(門下省) 개경(開京) 고려사(高麗史)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 조회순
2024.09.05
010. 고려 왕족들의 거제도 유배, 그 이후는?
【문화】 고려시대 거제도는 수도 개경에서 최남단 도서지방으로서 변방이라는 인식이 강하였다. 그러한 지리적 위치에 의해 거제도는 고려시대에서 조선시대까지 왕족과 지배계층의 정치적 유배지 중 하나였다. 고려시대~조선시대에 왜 거제도를 유배지로 정하였을까? 앞서 말했듯이 고려시대 개경 중심에서 보았을 때 가장 거리가 먼 서남부 도서지역을 유배지로 정하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2024.09.05
007. 고려시대 거제현의 토착세력 성씨 이야기
【문화】 고려시대 거제현의 성씨는 토성, 내성, 속성, 촌성, 백성성으로 분류하고 있다. 토성(土姓)은 거제 본래의 토착성이고 내성(來姓)은 주로 거제지역 인근 군현의 토성에서 이속되어 온 성이며, 속성(續姓)은 여말선초 이래로 거제현의 향리가 부족하여 이를 보충 내지 열읍(列邑) 간 조정한 결과 옮겨와서 형성된 성이고, 촌성(村姓)은 토성이 확정된 후에도 거제현의 관내에서 독자적인 구역을 보유한 채 임내(任內)와 병렬해 있던 촌락의 성이며 백성성(百姓姓)은 거제지역 촌락지배의 성단(姓團)으로서 거제현의 성립 시에 참가한 읍내(邑內)의 인리성(人吏姓)과 함께 토성이 된 성이다.
 
◈ 최근등록순
2024.09.05
010. 고려 왕족들의 거제도 유배, 그 이후는?
【문화】 고려시대 거제도는 수도 개경에서 최남단 도서지방으로서 변방이라는 인식이 강하였다. 그러한 지리적 위치에 의해 거제도는 고려시대에서 조선시대까지 왕족과 지배계층의 정치적 유배지 중 하나였다. 고려시대~조선시대에 왜 거제도를 유배지로 정하였을까? 앞서 말했듯이 고려시대 개경 중심에서 보았을 때 가장 거리가 먼 서남부 도서지역을 유배지로 정하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2024.09.05
007. 고려시대 거제현의 토착세력 성씨 이야기
【문화】 고려시대 거제현의 성씨는 토성, 내성, 속성, 촌성, 백성성으로 분류하고 있다. 토성(土姓)은 거제 본래의 토착성이고 내성(來姓)은 주로 거제지역 인근 군현의 토성에서 이속되어 온 성이며, 속성(續姓)은 여말선초 이래로 거제현의 향리가 부족하여 이를 보충 내지 열읍(列邑) 간 조정한 결과 옮겨와서 형성된 성이고, 촌성(村姓)은 토성이 확정된 후에도 거제현의 관내에서 독자적인 구역을 보유한 채 임내(任內)와 병렬해 있던 촌락의 성이며 백성성(百姓姓)은 거제지역 촌락지배의 성단(姓團)으로서 거제현의 성립 시에 참가한 읍내(邑內)의 인리성(人吏姓)과 함께 토성이 된 성이다.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1018년 (7) 백과 대한 민국 (7) 백과 1010년 (6) 백과 993년 (6) 백과 궁예 (6) 백과 무신 정권 (6) 백과 신라 (6) 백과 (6) 백과 후삼국 (6) 백과 강동 6주 (5) 백과 견훤 (5) 백과 고구려 (5) 백과 고려 현종 (5) 백과 삼국 시대 (5) 백과 조선 태조 (5) 백과 후고구려 (5) 백과 3성 6부 (4) 백과 강감찬 (4) 백과 강조 (4) 백과 거란 (4) 백과 고려·거란 전쟁 (4) 백과 귀주 대첩 (4) 백과 백제 (4) 백과 윤관 (4) 백과 천리 장성 (4) 백과 최충헌 (4) 백과 고려 정종 (3) 백과 고려 태조 (3) 백과 김부식 (3) 백과 남북국 시대 (3) 백과 발해 (3) 백과 배현경 (3) 백과 서희 (3) 백과 (3) 백과 양길 (3) 백과 홍유 (3) 백과 후백제 (3) 백과 911년 (2) 백과 917년 (2) 백과 918년 (2) 백과 강조의 정변 (2) 백과 과거 제도 (2) 백과 기철 (2) 백과 김보당의 난 (2) 백과 김치양 (2) 백과 노국 대장 공주 (2) 백과 대장경 (2) 백과 명종 (2) 백과 상서성 (2) 백과 소손녕 (2) 백과 신검 (2) 백과 신돈 (2) 백과 신숭겸 (2) 백과 양규 (2) 백과 예종 (2) 백과 왕규의 난 (2) 백과 우야소 (2) 백과 은병 (2) 백과 임간 (2) 정습명 (2) 백과 정중부 (2) 백과 정중부의 난 (2) 백과 중서 문하성 (2) 백과 중서성 (2) (2) 백과 첨의부 (2) 충렬왕 (2) 백과 태조 (2) 해동통보 (2) 백과 헌애왕태후 (2) 백과
◈ 참조 키워드
무신 정권 (14) 백과 무신정변 (13) 몽골 (12) 백과 거란 (11) 백과 광종 (8) 백과 농민항쟁 (7) 고려 원종 (6) 백과 이의방 (6) 백과 조선 태조 (6) 백과 강화도 (5) 백과 공민왕 (5) 백과 명종 (5) 삼별초 (5) 백과 신라 (5) 백과 왜구 (5) 백과 고려 대장경 (4) 백과 고려 태조 (4) 백과 무인시대 (4) 발해 (4) 백과 성균관 (4) 백과 (4) 백과 여진족 (4) 백과 윤관 (4) 백과 의종 (4) 이의민 (4) 백과 정중부 (4) 백과 최충헌 (4) 백과 경대승 (3) 백과 과거제 (3) 기황후 (3) 남송 (3) 백과 대각국사 의천 (3) 동국여지승람 (3) 백과 동북9성 (3) 라마단 (3) 백과 무슬림 (3) 삼국 시대 (3) 백과 서희 (3) 백과 여진 (3) 백과 (3) 백과 이고 (3) 백과 천리 장성 (3) 백과 최씨 정권 (3) 최영 (3) 백과 최우 (3) 백과 팔관회 (3) 백과 후백제 (3) 백과 강동 6주 (2) 백과 개경 (2) 백과 거제도 (2) 백과 거제시 (2) 백과 고려 현종 (2) 백과 국자감 (2) 백과 (2) 기자오 (2) 김치양 (2) 백과 다루가치 (2) 백과 (2) 백과 목화 (2) 백과 베이징 (2) 백과 별무반 (2) 백과 서하 (2) 백과 석경산 (2) 송나라 (2) 승려 혜월의 청 (2) 신돈 (2) 백과 요동 정벌 (2) 원나라 세조 (2) 위구르족 (2) 백과 이인임 (2) 백과 인종 (2) 전민변정도감 (2) 백과 조선 (2) 백과 진도 (2) 백과 쿠빌라이 칸 (2) 백과 탕구트족 (2) 백과 토번 (2) 백과 현종 (2) 화엄당 (2)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참조정보
백과 참조
우리나라의 역사(시대) 구분.(태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