넓고 길게 흐르는 큰 물길. 하천이라고도 한다. 하늘에서 내린 빗물이나 지하수가 지표면에 넓고 길게 흐르는 것을 말한다.
강의 형성과 특성
지표면을 흐르는 물은 지표면의 비탈면을 따라 흐르게 되므로 저절로 물길이 생긴다. 물길이 된, 좁고 길게 골이 진 땅을 하도(河道)라 한다.
강이란 골이 진 물길과 그 곳으로 흘러가는 물까지를 포함하여 이른다. 물이 지표면을 흐르는 현상은 흙이 물을 머금을 대로 머금은 다음의 상태에서 나타난다. 물은 처음에는 일정한 물길이 없이 흐르다가 차차 물길이 생겨나서 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강의 유출량(물흐름의 양)은 강 유역의 크기와 형태, 강수량, 지형, 암석, 식생 등 여러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수자원의 이용면에서 볼 때 강의 여러 특성 중에서도 수위, 유출량, 유속, 수질, 수온 등이 특히 중요하다.
강의 수위는 그 강 유역의 지형 과 기후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타난다.
곧, 우리 나라를 비롯한 몬순 지대인 아시아의 강과 같이 여름에 1회 최고 수위를 나타내는 강이 있는가 하면, 콩고강· 아마존강 과 같이 일년 내내 수위의 변화가 없는 강도 있고, 또 라인강 상류와 같이 눈이나 얼음이 녹는 봄에 최고 수위를 나타내는 강도 있다.
강은 인류에게 많은 혜택을 주기도 하지만 때로는 범람과 홍수 등으로 엄청난 재해를 입히기도 한다.
우리 나라 강의 상황
우리 나라 강의 특색의 하나는 여름철에 홍수가 자주 일어나며, 한 해 동안의 유량이 고르지 못하다는 점이다. 홍수는 특히 7~8월에 가장 많이 일어나는데, 총유출량의 70% 이상이 홍수로 유출되며 갈수기에는 유량이 극도로 줄어들어 강바닥이 많이 드러나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은 강의 물흐름 상태가 불안정함을 뜻한다.
최소 유량과 최대 유량의 비율로 표시되는 하상 계수(河狀係數)를 보면, 한강이 1 : 393, 낙동강이 1 : 372, 금강이 1 : 299로 나타난다. 나일강의 1 : 30, 양쯔강의 1 : 22, 라인강의 1 : 8, 콩고강의 1 : 4와 비교할 때, 우리 나라 강의 유량의 변동이 매우 심함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리고 황해와 남해로 흘러드는 강들은 강어귀 부근에서 밀물과 썰물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따라서 수위가 주기적으로 오르내리는데, 이러한 강을 감조 하천(感潮河川)이라 한다. 감조 하천은 강어귀 부근의 논밭에 염도를 증가시켜 농작물에 피해를 주게 된다.
그래서 하구둑(영산강), 방조제(아산·남양· 삽교천)를 건설하여 용수의 공급과 경지 이용도를 높이고 있다.
강의 유형
우리 나라의 큰 강들은 이른바 노년기 지형이 발달한 서부 및 남부 지방을 통과해서 바다로 흘러들면서, 상류에서는 감입 곡류(구불구불한 깊은 골짜기 가운데를 지나는 강의 흐름), 하류의 범람원에서는 자유 곡류하는 경우가 많다.
자유 곡류하는 강은 큰 강의 범람원을 흘러가는 작은 지류나 비교적 넓은 해안 충적 평야를 흘러가는 강에 한해서 볼 수 있다. 자유 곡류하는 강은 물길의 변동이 심하여 강가의 농토를 침식하며, 홍수의 피해를 증대시킨다.
그런데 우리 나라의 경우 곡류하는 강은 모두 규모가 작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조절하기 쉬워서 근래에는 둑을 높게 쌓고 물길을 곧게 개수하여 자연 상태의 것은 거의 볼 수 없게 되었다. 다만, 이전의 물길이 둑 바깥쪽의 농경지에 우각호(牛角湖)처럼 남아 있는 것을 볼 수 있을 뿐이다.
한편 우리 나라의 큰 강의 상류 지방에는 감입 곡류하는 강이 나타나는데, 이것의 평면 형태는 자유 곡류하는 강과 같으나 깊은 골짜기를 강이 흐른다는 점이 다르다. 이와 같은 하도는 한반도가 융기하기 이전, 곧 전국적으로 지면이 평탄했을 때 자유 곡류하던 강이 융기할 때에 원래의 유로를 따라 깊은 골짜기를 팠기 때문에 생겨난 것이다.
그리고 강의 밑바닥이 주위 평야보다 높은 하천인 천정천(天井川)이 있다. 이것은 강바닥에 흙과 모래가 많이 쌓여서 된 것으로 홍수 때에 범람하기 쉽다.
강의 지형
강이 형성되는 주요 평야 지형은 충적 평야로
선상지,
범람원,
삼각주 등이 있다.
선상지는 산지의 계곡이 평지 로 열리는 경계에 흔히 이루어지며 강물을 따라 실려 온 흙, 모래, 자갈 등이 계곡 입구에 부채꼴로 쌓여 발달한다. 그리고 범람원은 강이 범람할 때에 침수되는 지역이다. 삼각주는 강어귀를 중심으로 강의 물흐름을 따라 실려 온 것들이 쌓여 이루어지는 지형으로, 범람원의 연장이라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