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간도(間島)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간도 (間島)
중국 동북 지방 길림성 동남부에 있는 지역. 간도(墾島), 간토(艮土), 북간도라고도 한다. 한(韓) 민족 자치주가 설치된 길림성, 랴오닝성, 헤이룽성 일대에 걸친 지역으로 서간도와 동간도로 나뉘는데, 우리 나라에서 간도라고 할 때는 동간도를 가리킨다.
◈ 지식지도 관계
간도 (間島) 동북공정 (東北工程) 1712년 김경문 (金慶門) 1654 김지남 (金指南) 1658 박권 (朴權) 1663 김응헌 (金應瀗) 1664 목극등 (穆克登) 1846 이중하 (李重夏) 1848 어윤중 (魚允中) 간도 문제 (間島問題) 1909 간도 협약 (間島協約) 1931 만주 사변 (滿洲事變) 1962 조중 변계 조약 1712 백두산 정계비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소금 근/현대 소설 강경애 (75) 어둠 근/현대 소설 강경애 (7) 두만강 예찬 근/현대 수필 강경애 (3) 간도를 등지면서 근/현대 수필 강경애 (1) 간도 협약 間島協約 국제법(근대이전) (1) 간도행 間島行 채만식 (0)
◈ 조회순
2019.07.28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항일투쟁시기에 간도지역 운동 기지…한인의 역사가 깃든 장소 (전편에 이어) 우리 일행은 송강진에서 큰 곤욕을 치른 후 올 때와는 달리 남로를 택해 오후 4시 경에 용정시청에 도착했다. 짙은 회색의 5, 6층 건물들이 시가지를 형성한 소도시의 모습이다. 용정(龍井)은 항일투쟁시기에 간도지역 항일운동 기지의 중심이었다.
2018.08.03
【--】 -독도본부 2003. 7.17. 영토위기강좌- 이일걸(성균관대)
2020.05.29
【문화】 □ 국가보훈처(처장 박삼득)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임병극(1885~미상) 선생을 2020년 6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고 밝혔다.【공훈관리과 - 이영자 (044-202-5780)】
2020.03.01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만주국 영역은 중국 한족 땅이 아니라 ‘한민족의 통치영역’
2020.02.23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홍범도 사령관 주도한 전투지역 방문…폭파된 사이섬 비석에 씁쓸
2020.02.16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백두산, 장백산 엄연히 다른 산…중국, 백두산 야욕 차지 위해 왜곡
2019.10.07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남북을 비롯해 미국·중국·일본 등 학자 참석…열띤 토론이어져
2019.08.04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국권 빼앗긴 후 항일 투쟁의 중심기지…도문강이라 불리기도
 
◈ 최근등록순
2020.05.29
【문화】 □ 국가보훈처(처장 박삼득)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임병극(1885~미상) 선생을 2020년 6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고 밝혔다.【공훈관리과 - 이영자 (044-202-5780)】
2020.03.01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만주국 영역은 중국 한족 땅이 아니라 ‘한민족의 통치영역’
2020.02.23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홍범도 사령관 주도한 전투지역 방문…폭파된 사이섬 비석에 씁쓸
2020.02.16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백두산, 장백산 엄연히 다른 산…중국, 백두산 야욕 차지 위해 왜곡
2019.10.07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남북을 비롯해 미국·중국·일본 등 학자 참석…열띤 토론이어져
2019.08.04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국권 빼앗긴 후 항일 투쟁의 중심기지…도문강이라 불리기도
2019.07.28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항일투쟁시기에 간도지역 운동 기지…한인의 역사가 깃든 장소 (전편에 이어) 우리 일행은 송강진에서 큰 곤욕을 치른 후 올 때와는 달리 남로를 택해 오후 4시 경에 용정시청에 도착했다. 짙은 회색의 5, 6층 건물들이 시가지를 형성한 소도시의 모습이다. 용정(龍井)은 항일투쟁시기에 간도지역 항일운동 기지의 중심이었다.
2019.06.29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대학원 박사 과정 후…우리 조상이 만들어낸 역사 현장 찾아
2019.06.22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1941년 이전 체결 조약 무효화 됐지만, 간도협약은 유효…중국 불법 점유 중
2018.09.28
【--】 2018년 10월의 독립운동가로 현천묵 선생 선정【공훈관리과 - 이광현 (044-202-5770)】
2018.08.03
【--】 이 일 걸(성균관대 정치학 강사)
2018.08.03
【--】 한국의 북방정책 ― (백산학회편) 이일걸
2018.08.03
【--】 월간 아리랑 기고문 (2003.09.04) - 이일걸 박사(李日杰. 46. 성균관대 강사)는 지금 분쟁중인 북방지역을 러시아와 연해주, 그리고 동간도 서간도로 규정하고 있다.
2018.08.03
【--】 -독도본부 2003. 7.17. 영토위기강좌- 이일걸(성균관대)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강경애 (4) 백과 1909년 (3) 백과 간도 협약 (3) 백과 박권 (3) 백과 1934년 (2) 백과 간도 문제 (2) 백과 국가 보훈처 (2) 백과 기행문 (2) 백과 룽징 시 (2) 백과 목극등 (2) 백과
◈ 참조 키워드
간도 문제 (5) 백과 김약연 (4) 백과 두만강 (4) 백과 명동촌 (4) 백과 간도 협약 (3) 백과 명동학교 (3) 백과 백두산 정계비 (3) 백과 봉오동 전투 (3) 백과 연해주 (3) 백과 홍범도 (3) 백과 간도영유권 (2) 광복회 (2) 독립 기념관 (2) 백과 룽징 시 (2) 백과 산포수 부대 (2) 신민회 (2) 백과 신흥 무관 학교 (2) 백과 이범윤 (2) 백과 토문강 (2) 백과 한국의 독립운동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